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GM 농산물 표시제 시행의 소비자가치 측정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2-041-B00134
선정년도 2002 년
연구기간 1 년 (2002년 12월 01일 ~ 2003년 12월 01일)
연구책임자 김태균
연구수행기관 경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에서는 GM 농산물 표시제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GM 농산물 표시제 시행에 대한 소비자가치를 평가하고자 하며, 그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GM 농산물 표시기준에 따라 단계별 소비자가치를 측정한다.
    ②소비자가치와 소비자 특성변수와의 관련성을 규명한다.
    ③시장의 분리 가능성을 검토하고,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 기대효과
  • ①학문적 기여도: 실험적 경매는 가상가치평가법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므로 이 방법의 이용 및 개발은 가치평가 분야에서 학술적 기여도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②사회적 기여도: GM 농산물 표시제의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국내 소비자들의 후생과 생산자들의 후생을 증가시킬 것이다.
    ③연구결과의 교육현장에의 활용방안: 실험적 경매는 대학원 강의에서 소개하며, GM 농산물 표시제에 대한 소비자가치 추정결과는 전문학술지에 게재하여 학부 및 대학원 강의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연구요약
  • ①연구대상 품목 및 표시기준: 콩나물과 감자 가공 식품의 경우에 대해서 그 연구범위를 제한하며, 가치의 추정은 표시기준에 따라 4단계로 구분한다.
    ②가치추정: 실험적 경매를 이용하여 GM 농산물 표시제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을 측정한다. 실험적 경매는 약 120호의 표본가계를 무작위 추출하여 실시하며, nth-price 경매방법을 채택한다.
    ③특성변수와의 관계 규명: 지불의사금액과 소비자 특성변수들과의 관련성을 규명한다.
    ④정책적 함의 제시: 위의 추정치와 분석결과들을 이용하여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 한글키워드
  • 소비자가치(Consumers' Value),지불의사금액(Willingness to Pay),실험적 경매(Experimental Auction),GM 농산물 표시제(GM Labeling)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동시적 제2가격 실험경매를 이용하여 GM 농산물 표시제의 표시기준에 따른 단계별 지불의사금액을 측정한다. 또한 시장분리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지불의사금액의 분포를 추정하고, non-GM 농산물의 목표수요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불의사금액의 결정요인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GM 농산물 포함’과 ‘GM 농산물 포함가능성 있음’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은 크지 않지만, ‘GM 농산물 아님’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 non-GM에 대한 소비자들의 높은 선호를 반영하고 있다. 지불의사금액의 분포에 대한 추정결과는 ‘GM 농산물’과 ‘GM 농산물 아님’의 시장분리는 쉬운 반면에 ‘GM 농산물 포함’이나 ‘GM 농산물 포함가능성 있음’의 시장분리는 상대적으로 어렵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non-GM 농산물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의 결정요인은 학력, 소득, 자연생태계 파괴에 대한 평가, 인체 유해성에 대한 평가 등으로 분석된다.
  • 영문
  • Korean consumers' willingness to pay (WTP) for GM food is studied in an experimental auction market. A simultaneous second-price auction is designed to elicit the complete distribution of WTP differences between four alternatives according GM food labeling system. The results show that the estimated WTPs for ‘GM food included’ and ‘GM food included possible’ are relatively low and the estimated WTP for ‘non-GM food’ is very high.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market segmentation between ‘GM food’ and ‘non-GM food’ is relatively possible. The results of this paper could be an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stable establishment and efficient operation of GM food labeling system in Kore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동시적 제2가격 실험경매를 이용하여 GM 농산물 표시제의 표시기준에 따른 단계별 지불의사금액을 측정한다. 또한 시장분리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지불의사금액의 분포를 추정하고, non-GM 농산물의 목표수요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불의사금액의 결정요인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GM 농산물 포함’과 ‘GM 농산물 포함가능성 있음’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은 크지 않지만, ‘GM 농산물 아님’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 non-GM에 대한 소비자들의 높은 선호를 반영하고 있다. 지불의사금액의 분포에 대한 추정결과는 ‘GM 농산물’과 ‘GM 농산물 아님’의 시장분리는 쉬운 반면에 ‘GM 농산물 포함’이나 ‘GM 농산물 포함가능성 있음’의 시장분리는 상대적으로 어렵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non-GM 농산물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의 결정요인은 학력, 소득, 자연생태계 파괴에 대한 평가, 인체 유해성에 대한 평가 등으로 분석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GM 농산물 포함’과 ‘GM 농산물 포함가능성 있음’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은 크지 않지만, ‘GM 농산물 아님’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남.
    2) ‘GM 농산물 포함’과 ‘GM 농산물 포함가능성 있음’을 하나의 등급으로 통합하는 것이 적합함.
    3) ‘GM 농산물 아님’의 목표 수요자는 고학력 집단, 고소득 집단, GM 농산물이 자연생태계를 파괴할 것이라고 평가하는 집단, GM 농산물이 인체에 유해할 것이라고 평가하는 집단으로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임.
    4) 위의 결과들은 GM 농산물 표시제의 방향을 제시하는 자료로 활용될 것임.
  • 색인어
  • GM 농산물 표시제(GM Food Labeling), 지불의사금액(Willingness to Pay), 실험경매법(Experimental Auction)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