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동사활용 사전]을 편찬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대학교수해외방문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3-013-A00071
선정년도 2003 년
연구기간 6 개월 (2003년 01월 01일 ~ 2003년 07월 01일)
연구책임자 김종록
연구수행기관 한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한국어는 어미의 수와 불규칙 용언의 종류와 수가 너무나 많기 때문에 외국인들이 이러한 것들을 제대로 이해하고 배우기가 매우 어려운 언어에 속한다. 따라서 외국인들이 쉽게 한국어의 사용할 수 있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동사활용사전』을 편찬하는 것은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외국인의 관점에서 한국어 동사활용형을 보다 잘 학습할 수 있는 사전을 만드는 데 필요한 이론적 바탕을 마련하고, 나아가 동사활용사전의 편찬 방법 및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이 연구가 제대로 수행이 되면,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동사활용사전]을 만드는 데 필요한 이론과 실제적 방법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데 있어 가장 어려운 점 가운데 하나가 매우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는 한국어 어미의 활용 양상을 잘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인데, 어떤 형태로든 이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논문이며, 이러한 관점에서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논의가 진행되면,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동사활용사전]을 만들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필자는 이 작업을 수 년 전부터 이러한 사전을 만들기 위해 준비를 해왔고, 이제 더욱 많은 자료를 보충하고 또 보다 정교한 이론적 검토를 함으로써 완성도를 높여가고자 한다. 본고는 이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제안서라 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어미 및 접사의 분류 및 체계화
    2. 용언의 규칙 및 불규칙 활용의 분류 및 체계화
    3. 높임법의 분류 및 체계화
    4. 위의 내용의 도표화 방법론 개발
    5. 종결어미와 접속어미, 선어말어미의 기본목록 작성
    6. 기본동사 목록의 작성 및 활용양상 검토
  • 한글키워드
  • 동사활용,어미체계,규칙활용,사전,불규칙활용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논문에서 논의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작동사(action verb), 상태동사(descriptive verb), 지정사(copula), 존재사(existential verb) 등은 활용양상이 매우 다르다. 특히 상태동사, 지정사, 존재사 등은 명령형, 청유형 형태로 쓰일 수 없고, ‘하다’의 경우는 동작동사로서의 ‘하다1’과 상태동사로서의 ‘하다2’로 나뉘어지기 때문에 이를 둘로 나누어서 도표화해야 한다.

    둘째, 한국어 동사에는 규칙동사와 불규칙 동사를 나누되, 모음조화 현상이 반영되는 활용체계를 수립해야 한다. 예컨대, ‘ㄷ'활용의 경우
    ㄷ1 - 불규칙활용, 양성모음(-아서) : 깨닫다, 치닫다
    ㄷ2 - 불규칙활용, 음성모음(-어서) : 듣다, 싣다, 묻다
    ㄷ3 - 규칙활용, 양성모음(-아서) : 받다, 쏟다, 돋다
    ㄷ4 - 규칙활용, 음성모음(-어서) : 믿다, 뻗다, 얻다
    등과 같이 분류하고 체계화함으로써 외국인들이 보다 쉽게 한국어의 동사활용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한국어는 높임법(styles of speech level)이 발달되어 있는 언어이기 때문에 이들을 동사활용 사전에 반영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높임법을 1단계(level1 speech)에서 7단계(level7 speech)로 구분하여 외국인들이 보다 쉽게 쓸 수 있도록 하였다.
    아주높임 : 1단계 - ‘-습니다’체, 7단계 - ‘-나이다’체
    예사높임 : 2단계 - ‘-어요’체, 5단계 - ‘-으오’체
    예사낮춤 : 3단계 - ‘-는다’체, 6단계 - ‘-네’체
    아주낮춤 : 4단계 - ‘-어’체

    넷째, ‘-게 하-, -도록 하-, -이-’ 등의 사동형(causative), ‘-게 되-, -어지-, -이-’ 등의 피동형(passive) ‘-음, -기’ 등의 명사형(nominal), ‘-고 하-’의 인용형(quotational)은 동사마다 다른 특성을 지니므로, 이들 특성이 잘 드러나도록 하는 동사활용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

    다섯째, ‘-는-, -었-, -겠-, -리-, -더-, -었었-, -었겠-, -겠더-, -었겠더-, -ㄹ것-’ 등의 시제(tense) 및 양상(aspect) 선어말어미, 그리고 ‘-시-, -으옵-’ 등의 높임 및 겸양 선어말어미 형태가 반영되도록 해야 한다. 특히 양상의 경우는 ‘단순상’과 ‘복합상’이 함께 제시되어야 한다.

    여섯째, 접속어미 형태의 활용이 반영되어야 한다. 접속어미의 분류는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81개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인.이유]관계어미에는 ‘-거늘, -기에, -길래, -느니만큼, -느라고, -다니, -답시고, -대서, -는지라, -아서, -니까, -으매, -므로, -는즉, -을세라’ 등이 있으며, [양보]관계어미에는 ‘-기로서니, -는다손치더라도, -더라도, -는대도, -어도, -었자, -나마, -은들, -을망정, -을지라도, -을지언정’, [조건.가정]관계어미에는 ‘-거든, -거들랑, -는다면, -아야(지)’, [상황설명]관계어미에는 ‘-는데, -는바, -다시피’, [목적.의도]관계어미에는 ‘-러, -려(고), -고자’ [선택]관계어미에는 ‘-거나, -든지, -는지, -는가’, [정도]관계어미에는 ‘-기까지, -으리만큼, -을락말락, -을수록’, [반복.습관]관계어미에는 ‘-곤’, [나열]관계에는 ‘-고, -며’, [결과]관계에는 ‘-도록, -게(끔)’, [계기]관계에는 ‘-아서’, [동시]관계에는 ‘-면서’, [비유]관계에는 ‘-듯이’, [망설임]관계어미에는 ‘-을지말지, -을까말까’, [첨가]관계어미에는 ‘-거니와, -을뿐더러’ 등이 있다.

    일곱째, 관형사형 어미는 [현재], [과거], [미래], [복합형]의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 형태는 선행하는 동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요컨대, 한국어의 동사활용은 세계 어느 나라 언어보다 복잡한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는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은 관점에서 동사활용 양상이 정리된다면,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데 매우 유용한 ꡔ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동사활용 사전ꡕ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is is a summary of "Basic Study of [Korean Verbal Conjugation for Foreigners]"

    The first, Korean action verb, descriptive verb, copula, and existential verb have a different Verbal Conjugation Form. Especially, Korean descriptive verb, copula, and existential verb don't have command and suggestion sentential endings. And ‘하다’ has two types of verbs, that is, action verb ‘하다1’ and descriptive verb ‘하다2’.

    The second, Korean Verbs are divided into regular and irregular verbs. and These have vowel harmony, that is to say, yang vowels(light vowels) and yin vowels(dark vowels). So these grammatical feature must be included Korean Verbal Conjugation Matrix. For example, ‘ㄷ' Verbs have four types of Verbal Conjugation.
    ㄷ1 - irregular, yang vowel : 깨닫다, 치닫다
    ㄷ2 - irregular, yin vowel : 듣다, 싣다, 묻다
    ㄷ3 - regular, yang vowel : 받다, 쏟다, 돋다
    ㄷ4 - regular, yin vowel : 믿다, 뻗다, 얻다

    The third, Korean has many styles of speech level from level 1 speech to level 7 speech.
    Extremely respect speech level : speech level 1, speech level 7
    Somewhat respect speech level : speech level 2, speech level 5
    Somewhat blunt speech level : speech level 3, speech level 6
    Extremely blunt speech level : speech level 4

    The forth, Causative forms ‘-게 하-, -도록 하-, -이-’, Passive forms ‘-게 되-, -어지-, -이-’, and Nominal forms ‘-음, -기’, Quotational forms have each different grammatical characters.

    The fifth, Korean Tense and aspect fre-final endings ‘-는-, -었-, -겠-, -리-, -더-, -었었-, -었겠-, -겠더-, -었겠더-, -ㄹ것-’ have a different styles of conjugation.

    The sixth, Korean Sentence Connectives are divided into eighteen groups. There are [cause], [concession], [condition], [contrast], [circumstance], [augmentation], [intention], [selection], [degree], [interruption], [habitual], [result], [serial], [completion], [configuration], [comparison] [hesitation], [simultane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나온 한국어 동사활용에 대한 이론서를 자세히 검토한 후, 이를 바탕으로 ꡔ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동사활용 사전ꡕ을 편찬하는 데 필요한 이론과 실제적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는 동작동사(action verb), 상태동사(descriptive verb), 지정사(copula. -이다), 존재사(existential verb) 등에 따라 그 활용양상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이들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도록 해야 한다.

    둘째, 한국어 동사에는 규칙동사와 불규칙 동사가 있는데, 이들은 그 활용양상이 매우 다르다. 따라서 이들 특성이 활용표에 반영되도록 하되, 각 동사를 분류하여 어떤 특성을 지닌 동사인지를 명시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특히 한국어의 모음조화(vowel harmony) 양상이 반영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동사 활용양상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한국어는 높임법(styles of speech level)이 발달되어 있는 언어이기 때문에 이들을 동사활용 사전에 반영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높임법을 1단계(level1 speech)에서 7단계(level7 speech)로 구분하여 외국인들이 보다 쉽게 쓸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사동형(causative), 피동형(passive) 명사형(nominal), 인용형(quotational) 등의 어미(ending) 형태의 활용이 반영되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시제(tense) 및 양상(aspect) 선어말어미 형태가 반영되도록 해야 한다. 특히 양상의 경우 [진행] [완료] [경험], [추측] [의지] [회상] [보고] 등의 ‘단순상’, [완료]+[회상], [추측]+[회상] 등의 ‘복합상’이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

    여섯째, 접속어미 형태의 활용이 반영되어야 한다. 접속어미의 분류는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이유], [대립], [양보], [조건], [상황설명], [의도], [선택], [정도], [반복],[습관적 반복], [나열], [결과], [계기], [동시], [비유], [망설임],[동시], [첨가] 등의 18개로 나눌 수 있다.

    일곱째, 관형사형 어미는 [현재], [과거], [미래], [복합형]의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 형태는 선행하는 동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본 논문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동사활용 사전]을 편찬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이고 실질적인 문제를 다루었다. 따라서 본고에서 논한 바에 따라 한국어 동사활용을 편찬한다면 외국인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매우 유용한 한국어 동사활용 사전을 편찬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의 연구 요약문 참조)

    둘째, 본 논문의 논의 결과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재’ 개발에 직접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한국어 교재가 많이 편찬이 되었지만, 한국어의 어미 활용을 전반적으로 다루는 교재는 없었다. 따라서 본고의 논의 결과를 활용하면, 한국어 활용체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교재의 편찬이 가능해 질 것이다.

    셋째,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에 직접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한국어 활용연습을 도표를 통해 효과적으로 한국어 동사의 활용양상을 공부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뿐만 아니라. 국내의 초등학교용 한국어 교재를 개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한국어의 동사활용에 대한 지식내용을 체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초등학생들이 국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동작동사, 상태동사, 지정사, 존재사, 동사활용, 어말어미, 선어말어미, 종결어미, 접속어미, 관형사형어미, 명사형어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