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 아동의 지식 발달에 대한 연구: 물리, 생물, 마음 지식을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지원일반연구
연구과제번호 2003-074-HM0001
선정년도 2003 년
연구기간 2 년 (2003년 09월 01일 ~ 200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현진
연구수행기관 영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양혜영(한국심리학회)
정명숙(꽃동네대학교)
김혜리(충북대학교)
김기형(영남대학교)
박선미(한국심리학회)
김영숙(영남대학교)
김경아(영남대학교)
김경미(이화여자대학교)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인지발달에 대한 지식중심접근에서 주장하는 이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3세에서 11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물리, 생물, 심리 영역에 대해 어떤 지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이러한 지식이 이론의 형태인지, 어떤 이론적 특성을 가지는지, 어떤 발달적 변화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존재론적 구분에서는 3세 아동들도 각 영역에 속하는 대상을 과제의 약 25%에서 정확하게 구분함을 보여 줌으로써 3세부터 아동들은 이론을 형성할 수 있는 기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과관계의 법칙에서는 5세부터 세 영역의 지식이 모두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도구로서의 기능을 초보적인 수준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집성은 심리이론의 경우는 3세부터 상당한 수준의 응집성을 보이지만 물리이론과 생물이론의 경우는 7세부터 조금 나타나기 시작하며 9세와 11세 아동들의 이론도 여전히 응집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상적 구성체로서의 특성은 심리영역에서는 3세 이후, 물리와 생물영역에서는 9세나 11세가 되어야 추상적인 구성체로 인과관계를 설명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아동들의 지식은 기존에 알려진 것 보다 더 어린 연령에서 초보적 이론의 형태를 갖추고 존재하며 영역별로 각기 다른 발달적 변화를 보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인지발달의 영역특정성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3세에서 11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물리, 생물, 심리 영역에서 어떤 지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이러한 지식이 영역 별로 구분된 지식인지, 영역특정적인 발달을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물리, 심리, 생물지식이 구분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존재론적 구분, 영역 간 교차 설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동들의 물리, 심리지식은 3세부터 구분되어 있는 독립적인 영역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생물지식은 7세가 되어야 독립적인 영역으로 확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특정적 발달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영역 간 과제와 영역 내 하위과제의 수행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연령에서 영역 간 과제수행의 상관관계가 낮게 나와 영역특정적 발달을 시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역 내 하위과제간의 상관관계도 영역 간 상관관계와 마찬가지로 낮아서 영역특정성 가설에 반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그리고 영역 간 상관관계의 연령에 따른 변화는 체계적이지 않았다. 따라서 영역특정성이 아동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변화하는지의 여부는 확인하지 못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인지발달의 영역특정성 가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있어서의 방법론적 문제점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 영문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heory hypothesis suggested by the knowledge oriented approaches to cognitive development. We investigated 3- to 11-year-old children's physical, psychological and biological knowledge and examined whether they were organized as a theory,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they had and how they have changed with increasing age. Results indicated that, for ontological distinctions, 3-year-old children performed correctly in about 25% of the tasks in each domain. This suggested that they had foundational abilities to form a theory. For causal law, from 5 years of age, children's physical, psychological and biological knowledge were used as a causal device to give explanations to why questions. For coherence, in psychological domain, coherence of knowledge system has emerged from 3 years of age, however in physical and biological domains, it has emerged after 9 and 11 years of age respectively. For abstract construct, in psychological domain, after 3 years of age, children explained behaviors by the abstract construct such as the state of mind. However, in physical and biological domains, not until at 9- and 11-year-old, children explained the causal relations by an abstract construct.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children's knowledge exists as a theory much earlier than known by the traditional theory and the theories of each domain develop specifically with increasing ag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issue of domain specificity in cognitive development. We investigated 3- to 11-year-old children's physical, psychological and biological knowledge to examine whether they were distinctive knowledge systems and have developed domain specifically with increasing age. To assess children's distinctive knowledge systems, we analyzed ontological distinctions and cross domain explanations. Results indicated that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omains were independent from at 3 years of age, but the biological domain was not until at 7 years of age. To assess domain specific developmental changes, we analyzed rank order correlations of between domain tasks and within domain tasks.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rrelations of between domain tasks were not very high. This suggested that the levels of performances in each domain were not the same or homogeneous and supported the domain specificity hypothesis. However, the correlations of within domain tasks were also not very high. These were unexpected results and inconsistent with the domain specificity hypothesis. There were no systematic changes in the correlations of each age group. So we couldn't find any systematic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domain specific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or further empirical testing of domain specificity hypothesis in cognitive develop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지식중심으로 인지발달을 설명하는 접근에서는 아동이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떤 지식들이 필요한지, 이러한 지식들은 언제부터 존재하고, 어떤 형태로 체제화되어 있는지, 새로운 지식을 획득하게 되면 기존의 지식은 어떻게 변화되는지 등이 중요한 연구 문제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세상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지식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물리, 생물, 심리 영역의 지식발달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와 이와 관련되어 확대된 지식을 살펴보는 연구들을 7개의 세부 연구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연구 1, 2, 3은 인지발달 연구의 새로운 이론적 접근을 배경으로 하여 지식이 어떻게 발달하며 지식의 발달이 인지발달과정을 설명하는 주요한 기제가 될 것인지 하는 문제에 접근하고자 하는 첫 번째 단계의 연구로 계획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아동들이 과연 언제 어떤 지식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지식은 어떻게 체제화되어 있으며 이것이 연령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몇 가지 기본적인 지식을 중심으로 조사해 보았다. 연구 2에서는 물리, 생물, 심리 현상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이야기를 아동에게 들려주고 각 현상을 아동이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지식이 구분되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3에서는 아동이 어른과의 대화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이러한 지식을 사용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아동 10명이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어른(주로 엄마)과의 대화 내용을 1년 동안 종단적으로 채집하여 그 대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4, 5, 6에서는 특정 지식에 의해 사고과정이 달라지는지를 인과관계 추론, 외양-실제구분, 단어의미추론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4에서는 심리, 물리와 생물 영역에서의 지식에 근거한 인과적 힘에 대한 이해가 인과관계의 지각과 이해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5에서는 물리, 생물, 심리 지식이 외양-실제를 구분하는 추론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외양-실제를 구분하는 데에 물리, 생물, 또는 심리 지식이 요구되는 과제들을 사용하였다. 연구 6에서는 물리, 생물, 심리 영역의 지식이 일반명사와 고유명사의 추론과정에 영향을 주는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의도성이나 지식 상태를 고려하는 심리적 속성을 가지는 사람(마음지식), 의도성이나 지식상태를 고려하지 않지만 생명을 가지는 하등동물(생물지식), 의도성도 생명도 가지지 않는 인공물(물리지식)의 세 영역에서의 단어의미 추론을 비교하였다.
    연구 7에서는 성에 대한 지식이 어떻게 발달하고 타인과 자신을 지각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음에 대한 지식이 타인과의 관계를 맺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 이러한 심리 지식에는 보다 다양한 내용이 포함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 7에서는 성에 대한 지식이 어떻게 발달하고 분화되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사회인지적 측면에서 심리지식을 접근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아동들의 지식은 기존에 알려진 것 보다 더 어린 연령에서 초보적 이론의 형태를 갖추고 존재하며 영역별로 각기 다른 발달적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인과기제로서의 역할, 응집성, 추상성 등의 이론적 특성이 강해지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뚜렷한 발달적 경향성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들을 물리, 생물, 심리 현상에 대한 독자적인 인과 추론 체계가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논의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연구결과보고서에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결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첫째, 물리, 생물, 심리 영역의 지식이 어떻게 발달하는지를 이론이론 입장에서 접근함으로써 인지발달을 지식 발달이라는 관점에서 재조명했다는 이론적 측면에서의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본 프로젝트에서 보고하고 있는 다양한 연구들은 물리, 생물, 심리 지식, 어휘지식 및 성지식의 발달에 대한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며 이 결과를 이론 이론, 제약적 접근 대 화용적 접근 등 다양한 이론적 논쟁에 대한 경험적 증거로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인지발달의 여러 이론들의 논쟁에 대한 실증적 증거로 해석될 수 있기에, 본 연구의 결과는 순수한 이론적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프로젝트에서의 연구 결과들은 어떤 지식이 어떤 연령대에서 나타나는지를 기술적(descriptive)으로 보여주고, 또한 그러한 지식이 왜 나타나는지를 설명(explain)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료는 학령기 아동의 과학 및 언어 교육, 또는 사회성 지도를 위한 교수자료나 교육과정 개발에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실용적 가치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물리, 생물, 심리지식에 대한 아동의 이해를 접근하기 위해 분석 및 실험 과정을 통제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특히 영아를 대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습관화법과 선호법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은 해외에서는 영아 연구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국내 연구에서는 거의 시도되지 않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실험을 위해 개발된 영아응시 시스템과 에니메이션 자료 등은 추후의 연구에 활용될 수 있고, 방법론적인 면을 발전시키는데 공헌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색인어
  • 인지발달, 지식발달, 물리지식, 심리지식, 생물지식, 이론 이론, 마음이론, 영역특정적 발달, 영역일반적 발달, 중력, 관성력, 부력, 마찰력, 생물지식, 질병의 인과기제, 병균이론, 내재적 정의, 대중생물학, 어휘습득, 제약적 접근, 화용적 접근, 어휘적 제약, 화용적 의도, 상호배타성, 학습된 책략, 외양, 실제, 성역할, 성고정관념, 성도식, 성역할 정체감, 다차원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