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스웨덴의 아동보육제도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지원국내외지역
연구과제번호 2003-072-CS2001
선정년도 2003 년
연구기간 1 년 (2003년 09월 01일 ~ 2004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한유미
연구수행기관 호서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안경온(전북대학교)
이영환(전북대학교)
박은숙(원광대학교)
오연주(숙명여자대학교)
이진숙(전북과학대학교)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현장연구를 통해 스웨덴 보육제도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 및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웨덴의 공보육 제도는 공보육이란 국가와 부모가 공동의 책임과 협력으로 함께 아이를 키우는 것으로서 보육시설에 의한 교육과 보호의 서비스의 제공뿐 아니라 부모의 양육지원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접근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복지부에서 교육부로 보육업무의 이관이 순조롭게 이루어진 스웨덴은 유아교육과 보육의 이원화 및 여성부 이관으로 갈등과 혼란이 야기되고 있는 우리 보육현실에 커다란 의미를 갖는다. 셋째, 끊임없이 변화, 발전하고 있는 스웨덴의 보육정책(예, 바우처 제도, 보육료상한제, 통합적 교사양성)은 우리나라 보육정책 입안 시 참고로 할 수 있다. 넷째, 스웨덴의 개방형 프리스쿨과 같은 포괄적 보육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보육욕구를 충족해야 할 것이다. 다섯 번째, 아동중심 및 비형식성, 자연친화, 부모의 적극적 참여 등 스웨덴 보육 프로그램의 특성도 많은 교훈을 남긴다. 여섯 번째, 경제마인드보다 보육의 질을 우선시하여 소규모로 운영되는 스웨덴 보육시설들은 우리나라 보육현장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 영문
  • This study investigates Swedish childcare system to understand advanced childcare systems and get suggestions for Korean childcare system developing public childcare and childcare policy. The study was conducted by the following research steps. First, the researchers analyzed childcare related journal articles and books, and pamphlets from the government and each municipality including their homepages. Second, the researchers met personnel whom are related to Swedish childcare system in order to get much detailed information that could not be acquired by literature review. They were professors in Göteborg University and Stockholm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and public officers of central government and municipality. Third, the researchers visited Stockholm, Göteborg, and Nacka municipality in Sweden for two times in 2004. They observed and recorded various types of childcare centers and interviewed with child and their parents. Fourth, the researchers evaluated the quality of 27 preschools in Sweden and 24 child care centers in Korea using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cale (ECERS). Also,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parents and teachers of the childcare center in Sweden and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und that underpinning the Swedish system is the expectation that men and women will equally participate in the workforce, child rearing, and domestic life. Also, the childcare policy has been implemented to develop easy access and affordable childcare centers according to childcare universalism which has an aim of establishing childcare system to facilitate children's whole development and providing childcare for children as their right to receive. Second, the Swedish childcare services have been transferred to Education and Science department from Social and Welfare department without discord, which is a good example for Korea that has difficulties in regard to childcare services. Third, the constantly developed Swedish childcare policy can give suggestions for Korean childcare policy such as voucher system and maxtaxa, and the new integrated teacher education system. Fourth, it is found that Swedish childcare system provides various types of care and makes efforts to satisfy parents' diverse desires for childcare. Fifth, the curriculum of Swedish childcare is child centered, eco-friend, and unstructured. Finally, the quality of Swedish childcare is distinguished that was confirmed by the result of structured survey of this study. The parents' satisfaction of childcare and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and childcare quality itself in Sweden showed higher scores than Korean on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선진보육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높이고 우리나라에 적절한 공보육 모델을 설정하고 보육정책을 입안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스웨덴의 보육제도를 연구하였다. 첫째, 스웨덴의 보육에 관한 연구물과 중앙정부 및 지자체, 보육시설의 홍보자료 및 인터넷 홈페이지를 분석하였다. 둘째, 문헌연구로 파악하기 어려운 세부 정보는 스웨덴 Goteborg 대학교와 Stockholm 교원대학교의 교수진, 중앙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보육공무원으로부터 자문을 구하였다. 셋째, 2004년 2월과 5월 등 2 차례에 걸쳐 스웨덴 수도 Stockholm과 사민당 집권 지자체 Goteborg, 그리고 보수당이 우세 지자체 Nacka의 다양한 보육유형을 참여 관찰기록하고, 원장과 교사, 그리고 보육아동 및 부모를 면접했다. 넷째, ECERS를 사용하여 Goteborg의 보육시설 27곳과 서울의 보육시설 24곳을 평가하고, 이들 기관의 교사, 보육아동의 어머니와 아버지에게 구조화된 질문지 조사를 실시했다.
    주요 연구결과 및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웨덴의 공보육제도의 발전은 출산율과 가족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여성노동력을 산업에 끌어들이기 위한 노력에서 시작되었지만 보편주의 보육이념에 따라 공보육을 구현한 오늘날에는 아동의 권리 차원에서 아동의 건전한 성장 발달을 지원한다는 보다 상위의 목표를 지향하고 있다. 또한 스웨덴의 사례는 공보육이란 국가와 부모가 공동의 책임과 협력으로 함께 아이를 키우는 것으로서 보육시설에 의한 교육과 보호의 서비스의 제공뿐 아니라 부모의 양육지원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접근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복지부에서 교육부로 보육업무의 이관이 순조롭게 이루어진 스웨덴은 유아교육과 보육의 이원화 및 여성부 이관으로 갈등과 혼란이 야기되고 있는 우리 보육현실에 커다란 의미를 갖는다. 셋째, 끊임없이 변화, 발전하고 있는 스웨덴의 보육정책을 우리나라 보육정책 입안 시 참고로 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아동별 지원이나 차등보육료 제도는 스웨덴의 바우처 제도나 보육료 상한제가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 또한 유아교사와 초등학교 교사, 그리고 학령기 아동의 방과 후 보육교사의 교육과정을 통합하여 각 기관간의 긴밀성을 높이고 유아교사의 질을 높이는데 공헌한 새로운 교사양성제도도 보육교사의 자격과 질, 처우 등이 문제시되고 있는 우리나라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넷째, 다양한 보육 욕구의 충족 및 보육시설의 다양화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기혼 여성의 취업증대를 위해서 프리스쿨과 같은 종일제 시설이 늘어나야 하지만, 이외에도 개방형 프리스쿨과 같은 포괄적 보육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보육욕구를 충족해야 할 것이다. 다섯 번째, 보육 프로그램의 내용이다. 아동중심 및 비형식성 외에 스웨덴보육 프로그램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자연친화로서 이는 실내외 환경 구성은 물론이고 실외 놀이의 강조 등을 통해 일과의 한 부분으로 녹아있다. 또한 부모가 프로그램의 구성 및 기관 운영과 예산 책정 및 집행에 직접 참여하는 주체적 역할을 하고 있다. 여섯 번째, 스웨덴 보육의 질은 세계 최고의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경제 마인드보다는 보육의 질을 우선시하여 소규모로 운영되는 스웨덴 보육시설들은 보육시설이 대형화하고 있는 우리나라 보육현장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교사 대 아동의 상호작용의 질과 같은 과정적 질이나 서비스로서의 질의 관점에서도 매우 우수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문헌연구 및 현장연구를 통한 질적인 연구의 결과는 스웨덴과 우리나라 보육시설의 평가한 결과나 질문지를 통해 두 나라의 보육 아동의 부모나 교사를 대상으로 실태조사한 양적인 연구 결과에서도 확인되었다. 즉, 보육관이나 양육관, 아버지의 양육참여 등과 같은 보육의 기저 이념이나 배경, 실제 보육시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보육내용 및 보육의 질, 그리고 보육 결과 나타나는 부모나 교사들의 만족도 등에서 대체로 스웨덴이 우리보다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출산율 저하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기혼 여성의 취업과 출산의 병행을 가능하게 한 스웨덴의 진보적인 보육제도에 대한 연구 결과는 보편주의적 관점에 근거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개발하고 우리나라에 산적한 보육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스웨덴의 보육제도를 스웨덴 문화, 사회적, 경제적 상황과 역사 맥락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선진 보육제도를 보다 심도 깊게 이해하고,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보육정책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스웨덴이 보육과 유아교육을 성공적으로 일원화한 과정과 이를 가능하게 했던 여러 요인들에 대한 이해는 현재 우리나라의 보육과 유아교육의 이원화 및 여성부 이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보육행정 정책을 수립하는 데 참고자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문헌조사나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스웨덴 보육의 질을 주로 구조적 측면(예, 교사:아동 비율)에서 설명해 왔던 기존의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고, 현장 연구 및 ECERS를 통해 스웨덴 보육의 질을 과정적 측면에서(예, 교사와 아동의 상호작용) 파악함으로써 질 높은 보육 프로그램 개발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다섯째, 참여관찰과 면접 등을 통해 수집한 스웨덴 보육 프로그램의 내용 및 특성에 관한 결과는 발달에 적합한 보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 색인어
  • 스웨덴, 보육, 공보육, 보육제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