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전시방식과 관람행동분석에 의한 전시환경 디자인지침에 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3-041-G20024
선정년도 2003 년
연구기간 1 년 (2003년 12월 01일 ~ 2004년 12월 01일)
연구책임자 임채진
연구수행기관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박물관의 전시부분에 대한 전시레이아웃과 동선환경, 관람 행태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환경디자인지침을 제안함으로써 전시디자이너에게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최종적인 목표를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시레이아웃과 동선 환경, 관람 행태 특성을 고려한 행태과학자들이 추구했던 전시계획의 교육적 효과, 즉 전시품과 관람객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의 수행 이전에 디자인의 초기단계에서부터 전시물의 속성과 지식전달 체계를 위한 기반연구가 선행되어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를 통하여 전시디자인환경에 대한 실용 가능한 구체적 디자인지침을 가설과 실험, 실증적 방법으로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2차년도의 연구목표는 1차년도에 수행한 배경연구를 바탕으로 국내의 박물관들을 대상으로 전시공간디자인을 관람객과 박물관의 관점에서 평가하고자 한다. 미술관이나 박물관은 각각의 특성에 따라 정해진 목표가 있다. 따라서 각기 정해진 목표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전시디자인은 그 박물관의 성패에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박물관이 목표로 하고 있는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관람객의 활동 패턴으로서 관람객이 전시공간과 내용을 따라 어떤방식으로 움직이는가에 따라 그 박물관이 관람객에게 보여주고자 의도하는 순서가 적절하게 잘 구현되었는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박물관은 언제나 적절한 양의 관람을 가능하게 하고 관람객으로 하여금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관람객의 효율적인 유인과 유물(작품)의 배열, 공간적 순로, 동선이 일치해야 하는 공간적인 해결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모든 관람객들은 각기 다른 개별적인 여러 가지 이유로 박물관을 방문하게 되지만 궁극적으로 이들은 박물관 내부에 들어서면서부터 물리적인 공간구조조직과 박물관을 이루는 복잡 다대한 요소들에 의해 움직이게 된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박물관의 전시계획은 관람객이 양질의 정보를 전달받기 위하여 박물관의 규모와 전시계획 및 순로형식 등의 기준에 따른 관람객의 행태와 공간 구조 분석, 관람객의 움직임 특성을 필연적으로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공간적 장치에 의한 강제적인 동선 유도가 아닌 전시의 전모를 자연스럽게 관람시키기 위한 관람객의 관행적 행태와 이동특성을 고려한 동선체계에 따른 전시계획이 수반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는 1차년도의 배경연구결과를 토대로 실내, 전시 디자이너가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구체적인 디자인 코드를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의 사례와 구미국가의 여러 성공적 사례들에 대한 비교검토, 문헌조사와 공간분석, 현장필드조사 등의 정량적, 정성적 방법을 통하여 관람객의 행태특성과 관람유형, 관람자들의 유동과 분포에 대한 조사․분석을 수행한다. 또한 이와 더불어 박물관의 전시동선을 크게 광의적인 측면에서의 global exhibition circulation(글로벌 전시동선)과 지엽적인 측면에서의 local exhibition circulation(로컬 전시동선)으로 대별하여 이들을 결정하는 상위개념의 요인과 하위개념의 세부요인들을 가설을 통하여 추정하고 이를 검증한다. 또한 박물관 전시디자인에서의 관람객 동선 특성을 파악하고, 동선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여 박물관 전시관람 동선에 대응한 전시레이아웃 및 단위전시실 형태에 관한 건축 계획적 지침을 제안함으로서 향후 미래지향적인 박물관 전시공간의 디자인 모델안에 대한 제시를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 기대효과
  • 1) 박물관 전시부분의 공간디자인 전략수립에 대한 시사
    박물관의 전시디자인부분은 전시물과 관람객간의 지적 교류가 목적이다. 따라서 전시공간의 구성은 특정의 지식을 전달하기 위한 체계와 방식을 가지고 있을 것이며, 이에 대하여 본 연구는 전시 디자인 수립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공간적 전략을 수립하는데 일정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전시물의 내용과 속성에 근거한 환경디자인의 기준 및 발전방향 제시
    박물관의 전시디자인은 전시물의 고유가치와 내재의미와 그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에 따라 다양한 대응방식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공간디자인의 계획기준 또한 정형화된 하나의 규범적 틀을 설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전시공간이 전달하고자 하는 지식의 유형 및 전시매체의 성격에 따라 적절한 기준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교육학의 평가기준과 실내디자인 차원의 평가 그리고 공간디자인상의 원칙 등을 기준으로 종합적인 Design Criteria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계획기준은 향후 우리의 박물관 그리고 그 전시공간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동시에 제안해 줄 것이다.

    3) 박물관 전시공간 디자인 지표(code)로서의 활용
    신축 박물관의 경우, 디자인계획안에 대한 평가를 통해 보다 적절한 공간구성 및 전시디자인의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 결과의 활용이 박물관 전시공간 디자인시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만큼 확대되면 결과적으로 상당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이고 다양한 전시효과를 지닌 박물관 디자인을 지향할 수 있을 것이다.

    4) 관람객과 전시물사이의 원활한 소통체계를 위한 공간적 지침의 마련
    박물관에서의 전시공간은 관람객과 전시자료의 의사소통이 발생되는 장으로서 관람객이 자유롭게 전시자료를 접할 수 있고 관람자 스스로 전시자료에 대한 이해도제고와 자발적 경험창출이 그 근본적 근간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관람자의 행동 성향과 공간에 대한 반응, 관람객 동선의 흐름과 특성에 대한 조사분석은 박물관에서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총체적 환경구축마련의 가장 기본적인 지침이 될 것이다.

    5) 관람객 전시동선체계에 대한 접근성 증진방안의 마련
    관람자적 측면, 전시공간적 측면, 전시자료적 측면에서 전시동선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관람자들의 행태와 이동특성을 분석하여 전시동선 유형화와 이들 간의 상관관계체계를 분석함으로써차후 박물관 동선계획 수립과정에서의 기초적 지침을 마련하고 기존의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한 보다 체계적인 동선연구에의 접근과정을 정립한다.

    6) 전시디자인의 평가방식과 도구에 대한 기준으로 활용
    박물관의 전시공간은 끊임없이 변화한다고 보아야 한다. 즉 전시내용이나 전시기획에 따라 단기간이던 장기간이던 전시물과 그 공간매체는 변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에 대비한 평가와 준비가 되어 있어야 보다 효율적인 방향으로의 발전이 가능하다. 관람객에 대한 동선추적조사와 관찰조사, 행태특성파악을 통한 연구 결과는 보다 효과적인 지식전달을 위한 전시공간 구성과 디자인 평가요소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판단기준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1) 2차년도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관람객 행태분석을 통한 전시방식의 평가와 디자인 코드 제안

    관람객 행태분석과 전시평가에 대한 조사와 분석의 기본틀은 박물관 단위전시공간을 위주로 하여 진행된다. 단위전시실에 대한 현장 필드조사(추적조사와 관찰조사의 병행)와 단위전시실의 전시레이아웃에 따른 유형분류(유형화, 코드화), 형태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국지적인 공간내에서의 다양한 동선유형과 실제 전시공간 디자인에 있어서 활용 가능한 단위전시실의 케이스를 도출 한다. 또한 박물관 관람객의 행태분석과 전시물의 내용적 흐름을 비교분석하여 기존의 전시디자인과 연출매체들을 평가함으로써 새로운 디자인지침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특히 관람객의 행태분석에 있어서 박물관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제시되고 있는 전시의 의미, 내용과 관람순서가 관람객에게 자연스럽게 인식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는 전제하에 그들의 이동 패턴을 중심으로 전시공간환경의 효율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박물관의 전시동선을 크게 광의적인 측면에서의 global exhibition circulation(글로벌 전시동선)과 지엽적인 측면에서의 local exhibition circulation(로컬 전시동선)으로 대별하여 이들을 결정하는 상위개념의 요인과 하위개념의 세부요인들을 가설을 통하여 추정하고 이를 검증하여 봄으로서 박물관 전시디자인에서의 관람객 동선 특성을 파악하고, 동선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한다.
    이와 더불어 단위전시실의 전시 배치와 평면형태, 단위 전시공간의 크기, 입·출구의 위치와 개소, 동선의 순회형식, 공간과 전시물과의 관계, 관람의 완성도 등에 따라 단위전시공간의 코드화와 유형화를 시도하여 다양한 단위전시실의 케이스에 따른 동선 유형을 파악하여 본다. 또한 단위전시실을 구성하는 공간의 물리적인 요소들(전시실 폭과 길이에 따른 세장비, 전시벽면의 길이, 전시공간의 크기, 전시공간의 크기와 전시물 수에 의한 전시밀도, 전시매체와 전시기법 등)에 대한 정량적인 데이터 군과 전시자료의 내재한 속성과 이동경로분석에 따른 관람행동의 법칙성, 혼잡시 관람유동의 흐름 변화 등의 정성적인 데이터 군을 중심으로 이를 요인화와 군집화하는 과정을 거쳐 단위전시공간의 동선을 발생시키는 주요인과 세부적인 부요인들을 추출하여 본다. 단위전시공간의 정량적인 데이터군과 단위전시공간의 구조적인 조건인자들에 의한 각 항목들은 부분적인 공간구문론적 해석과 다변량 분석에 의해 유형화하고 이를 현장 필드조사에 의해 검증하는 과정적 수순을 거치려 한다.

    전시공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려는 시도는 크게 두 부분으로 진행할 예정 이며, 공간의 물리적, 구조적인 요소들의 분석과 관람객 이동행태에 대한 추적조사와 관찰조사가 그것이다. 이와 같은 조사․분석에 의하여 도출된 전시공간에 있어서 동선요인인자들을 다변량분석이라는 해석을 통하여 요인화․군집화 해나가는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단위전시공간의 케이스를 도출하고 이들에 따른 동선 특성을 파악하여 공간계획상의 기초적 지침을 마련한다. 또한 단위전시공간의 유형화와 동선 특성파악에 대한 접근성 증진방안과 관람객 행태분석을 통한 전시방식의 평가 디자인 코드 제안을 시도한다.
    2) 연구수행에 따른 세부 항목 및 조사분석 방법 설정

    ① 조사대상 전시공간의 물리적 속성조사
    - 전시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각 소단위전시공간들에 대한 물리적 속성조사
    - 전시물의 속성분류, 크기, 개별전시물별 감상 조건등에 대한 기초 데이터 수집.

    ② 관람객 추적조사에 의한 이동궤적과 관람행태 분석방법 : 관람객의 움직임 패턴 기록조사
    - 각 조사원들이 전시공간의 입구에서부터 출구까지 관람객을 따라 가면서 그들의 움직임 패턴을 정밀하게 기록한다. 각 공간구성에서 나타나는 관람객의 행위와 행태를 유형화하여 관찰, 기록한다. 이는 관람행태와 동선패턴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관람객의 이동경로를 직접 추적 관찰하는 방법과 단위전시공간에서의 관람객의 관람행태를 관찰하여 세밀하게 기록하는 방법으로 크게 대별하여 연구 진행.
    - 이동경로에 대한 추적조사는 Robinson과 Melton이 사용한 방법을 응용하여 관람동선 그리기와 시간재기 방법으로 추적조사를 행하여 이를 데이터화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동선패턴에서 나타나는 물리적 현상을 정량화 한다.
    - 관찰조사의 방법에 의한 관람객 행태 파악은 ethogram에 착안하여 박물관에서의 관람객들의 행동평가 차트 리스트를 제안하고 이를 코드화하여 기록한다.

    전시공간의 물리적 속성에 대한 데이터와 동선패턴에서 나타나는 물리적 현상을 정량화한 데이터군은 유형화의 유효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다변량해석방법 중 여
  • 한글키워드
  • 관람 행태 특성,동선의 순회형식 공간과 전시물과의 관계,박물관 전시레이아웃,부동선축),Llocal exhibition circulation(로컬전시동선) 공간구성,인터뷰,동선영향요인인자 관람객 추적조사,관람 완성도,동선환경,환경디자인지침 전시방식 평가 디자인 코드 제안 단위전시실 전시 배치,평면형태,단위 전시공간 크기,입·출구의 위치와 개소,단위전시공간의 코드화,설문조사분석,행태관찰조사 Global exhibition circulation(글로벌전시동선),동선축(주동선축,박물관 제시순로,관람동선,전시배치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1차 년도에 수행되어진 국내외 박물관 전시공간디자인과 지식전달 방식의 변화과정 고찰이라는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미래지향적인 전시공간구성에 대한 개념을 설정하고 그에 대한 디자인 지침을 마련하고자 박물관의 전시부분에 대한 전시레이아웃과 동선환경, 관람 행태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환경디자인지침을 제안함으로써 전시디자이너에게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전시레이아웃과 동선 환경, 관람 행태 특성을 고려한 행태과학자들이 추구했던 전시계획의 교육적 효과, 즉 전시품과 관람객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의 수행 이전에 디자인의 초기단계에서부터 전시물의 속성과 지식전달 체계를 위한 기반연구가 선행되어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를 통하여 전시디자인 환경에 대한 실용 가능한 구체적 디자인지침을 가설과 실험, 실증적 방법으로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 영문
  • Accomplishing on the first time research subject "Variation process study of domestic-foreign museums' exhibition design and idea communication method" ,this study has the aim for giving exhibition designers actual data to establish the concept about the prospective exhibition-space-composition as well as provide its design guide by the suggestion of the systematic environmental design guide considering exhibition layout, circulation circumstance, and inspecting tendency about the exhibition part of museum.

    For the purpose of accomplishing the aim, it is more important to execute the base study firstly for the display factors and idea communication system from the first designing stage, rather than the study of exhibition plan's educational effects being pursued by scientists, who are studying spectators' behavior considering exhibition layout, circulation circumstance, and inspecting tendency, such as the relation between display factors and spectators. At the same time, through above these things, this study has the aim to suggest practically possible systematic-design guide about exhibition design environment with hypothesis, experience, and demonstrative metho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현대적 개념의 박물관은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실로 다원화된 사회패러다임의 Need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공간적 쟝르로 세분화․전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역사계, 미술계, 자연사계, 이공(과학)계열로 대별되는 현대 뮤지엄 분야의 전시디자인 방법은 그 전시 방식 자체가 Inter-active한 매체들의 진전과 활용에 의해, 이러한 내용들이 필요로 하는 공간의 레이아웃과 전시형태들이 크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 박물관에 있어서 합리적인 전시는 전시물 전체를 관람객에게 인지시키거나 관람객으로 하여금 심도 있는 관람이 이루어지도록 추구하는 것만은 아니다. 다양한 관람객에게 각각의 관람객이 가지는 고유한 관람패턴에 맞는 양질의 정보를 적절하게 그리고 선택적으로 전달 될 수 있도록 전시물과 공간이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박물관의 목적이 달성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 과학기술 진보에 의해 정보전달은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는 반면, 관람주체인 관람객의 움직임으로부터 만들어지는 고유한 패턴과 공간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계획단계에서 관람객과 공간에 대한 본질적인 연구가 심도 있게 이루어 지지 않고 있음으로 인하여 다수의 박물관에서 관람객이 신체적 피로와 심리적 포화 상태에 빠지게 되어 전시물에 대한 정보충족 욕구가 저하되고 있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박물관의 계획당시 「선(先)전시 / 후(後)건축」의 방향이 제시되고는 있으나 이 또한 관람객의 행동패턴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전시물의 표현방식 및 전달방법으로 관람객의 동선을 예측하고 이에 따라 공간이 배치되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박물관은 언제나 적절한 양의 관람을 가능하게 하고 관람객으로 하여금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관람객의 효율적인 유인과 유물(작품)의 배열, 공간적 순로, 동선이 일치해야 하는 공간적인 해결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박물관의 전시환경은 관람객이 양질의 정보를 전달받기 위하여 박물관의 규모와 전시계획 및 순로형식 등에 따라 관람객의 관행적 행태와 이동특성을 고려한 동선체계와 전시디자인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박물관의 전시동선은 관의 입구로부터 전시관람, 휴식, 부대 시설이용 등의 행위를 통하여 출구에 이르기까지의 건축공간에 대한 회유와 순회의 이동경로궤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James Gardener와 Caroline Heller가 그들의 저서 "전시회와 전시"에서 언급한 것처럼 박물관은 그것을 보는 사람이 존재치 않는다면 그 의미를 상실할 것이며 그것을 보고 이용하는 관람객들이 전시물과 전시공간이라는 물리적인 여건에 대하여 어떠한 반응을 하는가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인 것이다. 따라서 전시는 Museum 활동의 표현이며, 그 결과물은 그대로 박물관의 평가와 직결된다. 그리고 현대박물관의 환경 디자인적 경향은 항구적, 상설적인 형태의 ‘정지된 형식’으로는 존립하기 힘든 것이 특징으로, 「행동과학적 측면」과 「컬렉션의 내재적 가치와 의미」, 「관람자의 시지각 환경과 체험적 커뮤니케이션환경」을 고려한 그 시대의 첨단적 메커니즘과 재료에 의해 지속적인 전시환경 디자인의 교체와 기획을 필요로 한다. 전시공간구성은 전시예정인 소장품의 질적 특성과 관람방법을 고려하여 디자인초기에서부터 긴밀한 상호협력과 축적된 연구기반에 근거하여 전시공간의 계획이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국내의 박물관디자인분야에서도 단순한 연출형의 디스플레이와 시각적 관람에 그치지 않고 실제의 전시자료가 가지는 내재적 가치와 의미를 효과적인 지식전달의 체계와 다양한 관람형식, 전시 커뮤니케이션 방법론을 구축하여 디자인 되도록 전시환경디자인코드의 정립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시방식과 관람행동분석에 의한 전시환경 디자인 지침에 대한 제안과 동선특성분석을 위하여 박물관을 구성하는 주된 구성인자를 관람자적 측면, 전시공간적 측면, 전시자료적 측면의 3가지로 크게 대별하고 이들을 전시환경영향요인의 주축으로 간주하여 이들에 대한 특성 분석을 시도한다. 또한 이들에 대한 요인화·군집화 작업을 통해 전시동선을 유형화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체계를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요소별로 세부요소를 재구성하고 재분류하여 전시동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파악과 레이아웃에 따른 전시공간구성방식 제안에 대한 체계화 방안모색을 그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차후 박물관디자인 수립과정에서의 계획상의 기초적 지침을 마련하고 기존의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한 보다 체계적인 관람자와 동선연구 방법의 접근과정을 통해 전시환경디자인코드 정립의 계기가 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2차년도의 연구의 주된 내용은 1차 년도에 수행되어진 국내외 박물관 전시공간디자인과 지식전달 방식의 변화과정 고찰이라는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관람객 행태분석을 통한 전시방식의 평가디자인 코드를 제안하기 위한 조사 및 분석에 있다. 이를 위하여 조사대상 전시공간의 물리적 속성조사 및 관람객 추적조사에 의한 이동궤적과 관람행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한 전체 공간구성에서의 전시공간의 위치와 감상순로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중 1차적으로 전시공간의 물리적 속성조사에 따른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내용을 정리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① 전시공간의 물리적 속성조사를 위하여 선행연구의 이론적 고찰 및 지금까지 사용되었던 분석지표들을 검토를 통한 단계적 선정과정을 통하여 분석결과가 유효할 것으로 판단되는 20개의 분석지표를 선정하였다.

    ② 선정된 20개의 분석지표를 조사 분석하기 위한 조사대상을 국내․외 총 19개의 역사계․미술계 박물관의 42개의 전시공간(층별기준)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③ 실제적으로 조사된 데이터를 통계학적 분석방법 중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전시공간의 그룹별 분포특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앞서 선정된 20개 분석지표 중 선행연구의 고찰과 분석지표의 유효성 검토 및 다변량해석에 의해 전시공간의 속성을 파악하는 데 유효하리라고 판단되는 9개의 주요 분석지표를 추출하였으며 그 지표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전시부문면적
    2) 가시선개수
    3) 단위공간 명료성
    4) 축공간 연결도
    5) 단위공간 장변길이
    6) 단위공간의 세장비
    7) 전시활용도
    8) 전시율
    9) 대공간 구성율

    둘째, 정량적 분석지표의 비교와 요인, 군집분석을 통하여 조사대상전시공간을 소형, 중형, 대형, 특대형의 4그룹으로 유형화하였다. 즉, 박물관을 분류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당연한 지표는 ‘박물관의 규모’에 의해 주요특성이 대별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주성분분석을 통하여 전시공간의 결정짓는 ‘규모와 공간의 인지성’(제 1주성분)의 축을 통해서도 이러한 점들이 추정되며, 규모의 경우 ‘전시부문면적’으로, 공간의 인지성은 ‘가시선 개수’와 ‘단위공간 명료성’의 지표에 의해 관계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공간의 인지성’은 ‘규모’가 커짐에 따라 공간의 인지가 점진적으로 곤란해진다는 점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전시공간의 성격을 나타내는 또 다른 주요한 지표는 ‘공간의 방향성’과 ‘경로선택’(제 2주성분)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주요 분석지표는 공간의 방향성의 경우 ‘단위공간 세장비’의 지표, 경로선택은 ‘축공간 연결도’의 분석지표에 의한 관계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조사대상전시공간의 경우 ‘공간의 방향성’과 ‘경로선택’이 상호 상충적이라는 사실이 나타났다.


    넷째, 관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전시공간의 다양성이 커지며 이로 인해 경로선택의 다양성과 공간의 방향성의 차이가 크게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박물관 전시공간의 정량적 분석에 의해 공간구성적 차이 비교 시 규모적 측면에서 중형 이상의 전시공간을 대상으로 해야 유효성 있는 차이점 파악에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 인해 주성분분석의 적용으로 박물관․미술관의 그룹별 공간구조적 차이점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였으며 향후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지속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까지의 1차적 연구와 연계하여 후속연구로 관람행동과의 상관성 검증 및 향후 관람행동과 전시공간의 속성을 연계한 분석지표의 구체화 및 유효성 분석의 연구결과를 정리 중에 있으며 차후 대한건축학회 및 실내디자인학회의 학회논문집을 통해 발표할 예정에 있다.

    연구결과에 따른 활용방안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박물관의 전시공간디자인에 대한 사회문화적 요구의 도출

    2) 박물관 전시부분의 공간디자인 전략수립에 대한 시사

    3) 전시물의 내용과 속성에 근거한 환경디자인의 기준 및 발전방향 제시

    4) 박물관 전시공간 디자인 지표(code)로서의 활용

    5) 관람객과 전시물사이의 원활한 소통체계를 위한 공간적 지침의 마련

    6) 관람객 전시동선체계에 대한 접근성 증진방안의 마련

    7) 전시디자인의 평가방식과 도구에 대한 기준으로 활용

  • 색인어
  • 박물관 전시레이아웃, 동선환경, 관람 행태 특성, 환경디자인지침, 전시방식 평가 디자인 코드 제안, 단위전시실 전시 배치, 평면형태, 단위 전시공간 크기, 입·출구의 위치와 개소, 동선의 순회형식, 공간과 전시물과의 관계, 관람 완성도, 단위전시공간의 코드화, 동선영향요인인자, 관람객 추적조사, 설문조사분석, 인터뷰, 행태관찰조사, Global exhibition circulation(글로벌전시동선), Local exhibition circulation(로컬전시동선), 공간구성, 동선축(주동선축, 부동선축), 박물관 제시순로, 관람동선, 전시배치와 공간 디자인 유형화, 단위전시실유형에 따른 동선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