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1920년대 사회주의사상의 수용과 일월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3-041-A00036
선정년도 2003 년
연구기간 1 년 (2003년 12월 01일 ~ 2004년 12월 01일)
연구책임자 박종린
연구수행기관 역사문제연구소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삼일운동을 계기로 민족해방운동의 지도이념으로 한국에 본격적으로 수용되기 시작한 사회주의사상에 대한 연구는 매우 소략한 형편이다. 대부분의 연구는 사회주의운동과 그 과정에서 제기된 운동론 그 자체에 집중되었다. 따라서 실제로 1920년대 이후 민족운동의 가장 유력한 흐름을 형성했던 사회주의운동의 이념적 기초가 되었던 사회주의사상이 언제 누구에 의해 어떠한 경로로 수용되었으며, 수용과정에서의 한국적 특징이나 수용된 사회주의사상의 내용과 그 특질이 무엇인가 하는 점에 대해 천착한 연구는 소략하다. 이러한 현상은 식민지라는 상황으로 인해 당대 사회주의운동에 직접 참여했거나 사회주의사상을 수용했던 지식인들의 인식을 고찰할 수 있는 자료 자체가 기본적으로 제한적이라는 점과 현실 사회주의의 붕괴라는 학문외적인 상황으로 더욱 증폭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몇 가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1920년대 수용된 사회주의사상의 내용과 특징을 고찰하여 당대 사회주의자들의 인식의 지형의 일단을 정리하기 위해서는 사회주의운동이나 사회주의사상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사회주의 조직이나 개인들의 글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이다. 이런 의미에서 주목되는 조직 가운데 하나가 재일조선인 사회주의운동의 지도적 기관이자 '통일'조선공산당의 주도 세력이 된 일월회다. 이러한 위상을 갖는 일월회에 참여했던 사회주의자들의 인식을 고찰하기 위해 일월회의 기관지인 <<사상운동>>과 일월회가 사회주의사상의 선전을 위해 발행한 권독사 팜플렛을 주된 분석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1920년대 한국에 수용된 사회주의사상의 내용과 특징을 고찰하는 작업의 일환이자, 한국 사회주의사상사의 전개 속에서 이 시기가 갖는 위상을 정리하는 토대가 될 것이다.
  • 기대효과
  • 1920년대 사회주의사상의 수용 문제를 일월회를 중심으로 고찰하는 작업은 몇 가지 문제에 대한 해결에 도움을 줄 것이다. 첫째, 한국 사회주의사상사에서 사상의 단계적 발전(맑스주의에서 맑스레닌주의로)에 대한 실체성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재일조선인들의 민족해방운동과 사회주의사상에 대한 이해를 체계화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일제강점기 민족해방운동의 한 축으로 주요하게 활동한 사회주의세력의 사상에 대한 객관적인 접근을 통해 우리 민족해방운동사와 사회주의사상사를 풍부하게 하는 작업의 밑바탕이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1925년 1월부터 1926년 11월까지 일본 동경에 존재했던 재일조선인 사회주의 사상운동단체인 일월회를 중심으로 1920년대 사회주의사상의 수용 문제를 고찰하고자 한다. 일월회는 재일조선인 사회주의운동의 지도적 지위를 가졌던 조직으로, 1925년 후반기 이래 조선에서 전개된 사회주의운동의 통일운동 과정에도 참여하여 혁명사, 서울신파, 만주공청파 등과 함께 통일적 전위당인 '통일'조선공산당을 조직하고 이후 조선 사회주의운동을 주도한 조직이었다. 일월회의 기관지인 <<사상운동>>의 분석을 통해 일월회에 참여하고 있던 사회주의자들이 맑스주의의 연구와 보급을 위해 활동하는 것을 넘어 한국 사회주의사상사에서 최초로 제국주의시대의 맑스주의인 맑스레닌주의를 적극적으로 천명하고 연구, 보급하려 했다는 것을 고찰할 수 있다. 이러한 일월회의 활동은 1920년대와는 질을 달리 하는 1930년대 한국 사회주의사상의 기반의 하나가 되는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산천균,계리언,스탈린,<<사상운동>>,번역,레닌,권독사,맑스레닌주의,사회주의,재일조선인운동,복본화부,공산주의,맑스주의,일월회,혁명사,사회주의사상의 수용,개념,<<대중신문>>,마르크스,엥겔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일월회는 1925년 1월부터 1926년 11월까지 일본 동경에 존재했던 재일조선인 사회주의 사상운동단체이다. 재일조선인 사회주의운동의 지도적 조직이었던 일월회는 1925년 후반기부터 전개된 사회주의운동의 통일과정에 혁명사, 서울신파, 만주공청파 등과 함께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1926년 ‘통일’조선공산당을 조직하고 이후 조선 사회주의운동을 주도하였다.
    일월회는 초기부터 사회주의사상을 대중들에게 선전 보급할 목적으로 기관지인 『사상운동』을 발행하였고, 산하에 권독사(勸讀社)를 설치하여 이론과 실천의 문제에 대한 여러 종류의 팜플렛을 발간하였다. 특히 맑스주의 원전에 대한 번역에 관심을 갖고 『공산당선언』과 『유토피아에서 과학으로의 사회주의의 발전』을 한국 최초로 번역 출판하였다.
    일월회의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1920년대 사회주의사상의 수용문제와 관련하여 한국 사회주의사상사에서 최초로 제국주의시대의 맑스주의인 맑스레닌주의를 적극적으로 천명하여 사상의 단계적 발전(맑스주의에서 맑스레닌주의로)에 대한 실체성을 잘 보여 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즉 레닌의 사상에 대한 적즉적인 소개와 맑스주의 인식론과 유물변증법에 대한 본격적인 문제 제기는 종래 역사적 유물론의 강조 속에서 사회주의의 필연적 도래를 강조하던 1920년대 전반기의 사상적 단계를 극복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1920년대와는 질을 달리하여 전개되는 1930년대 한국 사회주의사상사를 예비하는 토대가 되었다.
  • 영문
  • January Association, a socialism activity group, existed in Tokyo, Japan from January 1925 to November 1926. January Association was leading organization of Chosun people’s socialism activity in Japan. They participated in unification of socialism activity actively with Revolution Society, New Seoul faction, Manchurian General Bureau under Korean Communist Youth Association from late 1925, founded ‘Unification' Chosun Communist Party, and lead it.
    January Association published 『Sashangwoondong』, party organ, for propaganda, and made Kwondogsa for publishing pamphlets for the problems about theory and practice. They were especially interested in translation of Marxism text and published 『Manifesto of the Communist Party』 and 『Socialism: Utopian and Scientific』for the first time in Korea.  
    We should focus on these doings of January Association because they showed the existence of the each steps of development in Marx-Leninism in imperialism ear related with acceptance of socialism in 1920s.  Active introduction of Lenism and the theory of knowledge and dialectical materialism of Marxism were the critical moment for overcoming ideological level in early 1920s. And it became foundation of socialism ideology in Korea of 1930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일월회는 1925년 1월부터 1926년 11월까지 일본 동경에 존재했던 재일조선인 사회주의 사상운동단체이다. 재일조선인 사회주의운동의 지도적 조직이었던 일월회는 1925년 후반기부터 전개된 사회주의운동의 통일과정에 혁명사, 서울신파, 만주공청파 등과 함께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1926년 ‘통일’조선공산당을 조직하고 이후 조선 사회주의운동을 주도하였다.
    일월회는 초기부터 사회주의사상을 대중들에게 선전 보급할 목적으로 기관지인 『사상운동』을 발행하였고, 산하에 권독사를 설치하여 이론과 실천의 문제에 대한 여러 종류의 팜플렛을 발간하였다. 특히 맑스주의 원전에 대한 번역에 관심을 갖고 『공산당선언』 3장과 『유토피아에서 과학으로의 사회주의의 발전』 3장 (『과학적 사회주의』라는 제목으로 번역)을 한국 최초로 번역 출판하였다.
    일월회의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1920년대 사회주의사상의 수용문제와 관련하여 한국 사회주의사상사에서 최초로 제국주의시대의 맑스주의인 맑스레닌주의를 적극적으로 천명하여 사상의 단계적 발전(맑스주의에서 맑스레닌주의로)에 대한 실체성을 잘 보여 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즉 레닌의 사상에 대한 적즉적인 소개와 맑스주의 인식론과 유물변증법에 대한 본격적인 문제 제기는 종래 역사적 유물론의 강조 속에서 사회주의의 필연적 도래를 강조하던 1920년대 전반기의 사상적 단계를 극복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1920년대와는 질을 달리하여 전개되는 1930년대 한국 사회주의사상사를 예비하는 토대가 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1920년대 사회주의사상의 수용문제를 일월회를 통해 고찰한 것이다. 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주의사상사에서 사상의 단계적 발전(맑스주의에서 맑스레닌주의로)에 대한 실체성을 밝힐 수 있던 점이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일차적으로 재일조선인들의 민족해방운동과 사회주의사상에 대한 이해를 체계화하는 작업과 일본을 통해 수용된 사회주의사상의 내용과 특질을 검토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제강점기 민족해방운동의 한 축으로 활동했던 사회주의자들의 사상에 대한 객관적인 접근을 통해 한국근대변혁운동사와 한국근대사상사를 풍부하게 하는 밑바탕이 될 것이다.
  • 색인어
  • 사회주의사상의 수용, 일월회, '통일'조선공산당, 사상운동, 권독사, 공산당선언, 유토피아에서 과학으로의 사회주의의 발전, 과학적 사회주의, 맑스주의, 맑스레닌주의, 번역, 유물변증법, 역사적 유물론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