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상업스포츠시설 서비스제공자의 운동지원이 관계의 질, 관계몰입 및 운동참가지속에 미치는 영향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박사후연수과정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37-G00030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1 년 (2004년 11월 01일 ~ 2005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김경식
연구수행기관 경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스포츠센터는 물품을 제조, 판매하는 사업과 달리 서비스제공자인 지도자나 직원이 참가자를 대상으로 하여 운동을 지도하고 시설이용의 편의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역동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상업스포츠시설이라 할 수 있다. 스포츠센터에서는 참가자의 중도탈락이나 운동참가지속 등과 같은 일련의 사회 현상이 끊임없이 일어난다. 그렇다면 상업스포츠 참가자가 중도에 운동을 포기하거나 지속적으로 등록하여 운동을 행하는 사회 현상은 과연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이러한 의문을 던지는 배경에는 상업스포츠 참가자들이 단지 개인적인 사정으로 운동을 중도에 포기하거나 건강과 체력 증진을 위해 상업스포츠 운동참가지속 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설명만으로 도저히 이해될 수 없는 어떤 무언가의 사회적 힘(social power)을 이같은 사회 현상 속에서 감지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상업스포츠 중도포기 및 운동참가지속 현상이 나타난 원인은 사회인구학적 특성이나 서비스질 등과 같은 시설환경적 요인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보다 더 큰 동인은 상업스포츠 서비스제공자(지도자, 직원)과 참가자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한 사회적 관계에 배태되어 있다. 이처럼 상업스포츠 중도포기 및 운동참가지속 현상이 다른 어떤 사회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면 이에 대한 규명과 논의가 학문적, 생활체육 활성화 측면에서 마땅히 이루어져 한다.
    이에 이 연구는 사회적 지원, 관계의 질과 관계몰입 그리고 운동참가지속 등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상업스포츠 서비스제공자의 운동지원이 관계의 질, 관계몰입 및 운동참가지속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적 구조모델을 설정한 다음 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상업스포츠 서비스제공자의 운동지원이 관계의 질, 관계몰입 그리고 운동참가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관계의 질이 관계몰입 및 운동참가지속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몰입이 운동참가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며, 나아가 현실적합도가 높고 설명력이 높은 이론적 구조모델을 개발, 제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측면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간과되어온 상업스포츠 서비스제공자의 운동지원과 관계의 질, 관계몰입 및 운동참가지속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상업스포츠 참가자의 운동참가지속 영향 요인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학문 분야에서의 경험적 연구의 축적과 지속적인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서비스제공자와 참가자간의 관계의 질과 관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상업스포츠 지도자, 직원의 운동지원과 운동참가지속 변수들에 대하여 이론적 모델을 개발, 제시함으로써 상업스포츠 참가자의 운동참가지속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다시 말해, 상업스포츠 서비스제공자의 운동지원, 관계의 질, 관계몰입 그리고 운동참가지속간의 관계에 구조방정식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변수간의 관계 및 운동참가지속 영향 요인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자의 박사학위논문인 상업스포츠 참가지속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에서는 상호작용 이론과 사회자본 이론을 도입하여 운동참가지속 영향 요인을 규명, 설명하려 하였다. 본 연구는 박사학위논문인 상업스포츠 참가지속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에서 미흡하였던 내용을 보완하여 현실을 보다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상업스포츠 운동참가지속 모델을 개발, 제시하여 모델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2. 정책적 측면

    본 연구는 생활체육 정책 측면에서 상업스포츠 운동참가지속 영향요인에 대한 경험적이고 유용한 자료를 확보함으로써 국민의 생활체육 활동을 진작시킬 수 있는 체육 정책 입안 및 수립과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운동참가지속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상업스포츠 참가자의 운동을 지속시키거나 새로운 상업스포츠 참가자를 유인할 수 있는 생활체육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업스포츠 참가자의 운동참가지속에 상대적으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정책 투자우선 순위를 결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업스포츠 서비스제공자의 역할 및 행동에 대한 중요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해 냄으로써 상업스포츠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교육, 관리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상업스포츠 서비스제공자의 운동지원이 관계의 질, 관계몰입 및 운동참가지속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모델을 설정하고 이론가꾸기를 통해 모델을 개발,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4년 경기도 수원지역 사회 소재 상업스포츠센터에 다니고 있는 회원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유층집락무선표집법(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240명을 추출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설문지 개발, 3차례의 전문가회의, 2차례의 예비검사 그리고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자료처리방법은 공변량구조분석 등의 기법이 활용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운동지원,운동참가지속,공변량구조분석,사회자본으로서의 신뢰,만족,배태성,관계의 질,관계몰입,상업스포츠,서비스제공자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상업스포츠시설 서비스제공자의 운동지원이 소비자의 관계의 질, 관계몰입 및 소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즉, 상업스포츠시설 운동참가자의 소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밝혀내고 현실에 적합하고 설명력이 높은 모델을 개발․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2005년 경기도 수원 지역사회 소재 상업스포츠센터에 다니고 있는 회원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유층집락무선표집법(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240명을 표집하였으나, 최종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34명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분석의 알파값과 공변량구조분석의 최대우도법을 이용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는 외생변수의 경우 .506, 내생변수의 경우 .549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이 .700이상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설문지의 신뢰도분석과 상관분석을 위해 SPSSWIN 1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과 공변량구조분석을 위하여 AMOS 4.0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이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제공자가 소비자인 운동참가자에게 운동지원을 많이 해주면 운동참가자의 관계의 질은 높아진다. 둘째, 서비스제공자의 운동지원은 운동참가자의 관계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서비스제공자가 운동참가자에게 운동지원을 많이 해주면 운동참가자의 소비행위는 지속된다. 넷째, 운동참가자의 관계의 질이 높으면 관계몰입 또한 높아진다. 다섯째, 운동참가자의 관계의 질이 높으면 소비행위는 더욱 강화․지속된다. 여섯째, 운동참가자의 관계몰입이 높으면 소비행위는 더욱 강화․지속된다. 상업스포츠시설 서비스제공자의 운동지원은 운동참가자의 소비행위를 직접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만족과 신뢰 등 관계의 질과 관계몰입을 심화시켜 소비행위를 지속시키고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상업스포츠시설 서비스제공자의 운동지원이 관계의 질, 관계몰입 및 소비행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경험적으로나 이론적으로 매우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 영문
  • The Influence of Exercise's Support of Service Provider on the Relationship Quality, Commitment and Consuming Behavior at Commercial Sport Facilities

    This study was to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consuming behavior in commercial sport facilities. This study was to test an influence of exercise's support on the relationship quality, commitment and consuming behavior in commercial sport facilities.
    To attain the goal of the study described above paragraphs, the members of commercial sports center located in Suwon, Kyonngi, 2005 year were set as a collected group. Then, using th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finally drew out and analyzed 234 people in total.
    The material collection device was the brochure named <the survey on the factors of exercise's support, relationship quality, commitment and consuming behavior>. The result of reliability check up was here below; Chronbach' α=.700~.865.
    To analyze materials,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EM were used as statistic analysis techniques.
    The conclusion based on above study method and the result of material analysis are here below.
    First, exercise's support influences on the relationship quality. The more exercise's support, the better relationship quality.
    Second, exercise's support don't influences on the relationship commitment.
    Third, exercise's support influences on the consuming behavior. The more exercise's support, the more consuming behavior.
    Fourth, the relationship quality influences on the relationship commitment. The better relationship quality, the better relationship commitment.
    Fifth, relationship quality influences on the consuming behavior. The better relationship quality, the more consuming behavior.
    Sixth, relationship commitment influences on the consuming behavior. The better relationship commitment, the more consuming behavior.
    The relationship quality and commitment are an important variable connecting the exercise' support and consuming behavior.


    * Key words : exercise's support, relationship quality and commitment, consuming behavio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상업스포츠시설 서비스제공자의 운동지원이 소비자의 관계의 질, 관계몰입 및 소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2005년 경기도 수원 지역사회 소재 상업스포츠센터에 다니고 있는 회원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유층집락무선표집법(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240명을 표집하였으나, 최종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34명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분석의 알파값과 공변량구조분석의 최대우도법을 이용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는 외생변수의 경우 .506, 내생변수의 경우 .549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이 .700이상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설문지의 신뢰도분석과 상관분석을 위해 SPSSWIN 1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과 공변량구조분석을 위하여 AMOS 4.0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이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제공자가 소비자인 운동참가자에게 운동지원을 많이 해주면 운동참가자의 관계의 질은 높아진다. 둘째, 서비스제공자의 운동지원은 운동참가자의 관계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서비스제공자가 운동참가자에게 운동지원을 많이 해주면 운동참가자의 소비행위는 지속된다. 넷째, 운동참가자의 관계의 질이 높으면 관계몰입 또한 높아진다. 다섯째, 운동참가자의 관계의 질이 높으면 소비행위는 더욱 강화․지속된다. 여섯째, 운동참가자의 관계몰입이 높으면 소비행위는 더욱 강화․지속된다. 상업스포츠시설 서비스제공자의 운동지원은 운동참가자의 소비행위를 직접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만족과 신뢰 등 관계의 질과 관계몰입을 심화시켜 소비행위를 지속시키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제공자의 운동지원은 운동참가자의 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서비스제공자의 운동지원은 운동참가자의 관계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서비스제공자의 운동지원은 운동참가자의 소비행위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운동참가자의 관계의 질은 관계몰입에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운동참가자의 관계의 질은 소비행위에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운동참가자의 관계몰입은 소비행위에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학문적인 측면에서 이 연구는 상업스포츠시설 운동참가자의 소비행위 또는 운동참가지속의 이론적 모델을 구축하여 기존의 이론 및 모델을 보완하고 스포츠 소비행위 모델의 설명력과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특히, 기존에 체육학 연구영역에서 다루지 않았던 운동지원 변수의 척도개발과 개념화는 향후 이 분야의 후속연구에 획기적 기여를 할 것으로 보여진다. 사회정책적 측면에서는 일반대중의 상업스포츠시설 이용시 스포츠 소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제공자의 운동지원 변수를 분석하여 향후 운동참가자의 욕구 및 필요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체육정책을 수립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현재 정부에서는 생활체육 참가율 1% 늘리는데 엄청난 국가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새로운 생활체육 참가자를 늘리는 것도 중요하나, 현재의 생활체육 참가자를 유지하는 것은 더욱 중요한 과제라 사료된다. 또한 이 연구는 상업스포츠시설 현장 운동지도자나 직원을 위한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교육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크게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색인어
  • 상업스포츠시설 서비스제공자의 운동지원, 운동참가자, 소비자, 관계의 질, 관계몰입, 소비행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