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빈곤과 아동발달에 대한 패널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협동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42-B00112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1 년 (2004년 12월 01일 ~ 2005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박현선
연구수행기관 전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정익중(덕성여자대학교)
구인회(서울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표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1) 빈곤과 아동발달에 대한 통합적인 이론적 모형 개발
    본 연구는 빈곤과 아동발달의 관계를 다룬 서구의 이론적 성과에 대한 비판적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빈곤아동의 발달을 분석하는데 적용될 수 있는 통합적 이론적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2) 빈곤과 아동발달간의 경험적 관련성 규명
    본 연구는 개발된 통합적 이론적 모형에 근거해서 우리 사회에서 빈곤과 아동발달의 관련 여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 시점에서의 빈곤 여부뿐만 아니라 빈곤의 지속성을 분석에서 고려하여 빈곤을 지속적 빈곤(persistent poverty)과 일시적 빈곤(transient poverty)의 두 유형으로 나누어 각각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교육수준과 가족구조 등 빈곤과 관련성이 높은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모형에서 이들 변수를 포함함으로써 아동발달에 미치는 빈곤의 독립적 영향을 밝히고, 아동발달에서 빈곤, 부모의 교육수준, 가족구조 각각의 상대적 중요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3) 빈곤과 아동발달간의 매개요인 규명
    본 연구는 빈곤이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경로를 밝히고자 한다. 최근에 빈곤이 가족과정(family process)을 변화시킴으로써 아동에게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지역사회, 학교, 또래집단 등의 가족외적 환경을 통해서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이 강력히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발전에 기초하여 빈곤과 아동발달의 관계에서 다양한 잠재적 매개요인이 차지하는 역할을 규명하고자 한다.

    4) 빈곤지위변화에 따른 아동발달 양상의 역동적 변화모형 및 발달궤적 분석
    본 연구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빈곤과 아동발달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역동적인 변화를 규명할 것이다. 횡단분석 위주라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빈곤지위 및 가족 내․외의 환경적 특성, 아동 발달산물을 3개년간에 걸쳐 반복 측정한 종단적 추적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할 것이다. 이와 같이 반복․측정된 종단자료를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빈곤아동의 일반적 발달모형(growth modeling) 혹은 유형별 발달궤적(developmental trajectory)을 분석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한국 빈곤관련 이론의 지평 확대
    본 연구는 생태체계이론의 틀에서 기존의 다양한 이론들을 통합하여 빈곤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종단적 자료의 분석을 통해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한국의 빈곤 연구가 상대적으로 거시적인 맥락에서의 이론에만 치중해온 것을 감안할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빈곤과 아동발달 관련 기초이론은 기존의 빈곤 논의를 질적으로 다양화하고, 확대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2) 종단적 연구설계를 통한 선행연구의 방법론적 한계 극복
    국내에서 수행된 다양한 빈곤관련 선행연구의 대부분이 1회 시점만 조사하는 횡단적 연구설계를 채택하고 있어서 인과관계의 확신성이라는 측면에서 한계가 매우 많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종단연구의 방법과 분석을 체계적으로 적용하고 있어, 사회복지 분야 및 빈곤 연구 분야의 패널연구의 시발이라는 획기적인 기여를 할 것이다.

    3) 빈곤아동을 위한 생태체계적인 개입 방안 마련
    빈곤지위가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다양한 변수로서 가정, 또래집단, 학교, 지역사회 환경을 설정하여 빈곤아동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체계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비교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빈곤아동을 위한 다차원적인 개입 지점의 우선순위를 확인할 수 있고, 이는 개입이나 정책수립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것이다.

    4) 빈곤아동을 위한 예방적인 개입의 필요성과 방향 제안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빈곤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인과관계적 경로를 밝히는 작업을 통해 현재 문제를 보이고 있지 않은 다수의 고위험 빈곤가정 자녀들의 잠재적인 문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또한 이들에 대한 예방적 개입의 필요성과 방법을 제안할 것으로 기대한다.

    5) 빈곤유형별로 차별적 개입의 필요성 제안
    중산층의 실직과 같이 일시적이고, 급성적인 형태의 경제적 상실 또는 결손가정의 지속적인 빈곤, 그리고 이 양자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 등 다양한 빈곤의 유형이 아동의 장기적인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빈곤가정의 빈곤력과 빈곤 양상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전략의 필요성과 실천적인 지침을 제안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상급반 학령기의 아동들을 3년간 추적조사하는 종단적 조사 연구(panel study)로서 사회정서적 발달(socio-emotional development), 비행(delinquency), 학업성취(academic achievement)의 세 가지 영역에서 빈곤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주제는 우선, 빈곤과 아동발달의 관계를 다룬 다양한 기존 이론의 성과와 한계를 정리하고 통합적인 이론적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개발된 이론적 모형을 종단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검증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빈곤과 아동발달의 관련 여부를 분석하고, 빈곤과 아동발달의 관계를 매개하는 요인들을 규명하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빈곤과 아동발달양상의 역동적 변화를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위계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 준모수적 집단중심모형(semi-parametric group-based modeling) 등 다양한 통계적 방법을 통해 분석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발달,표본추적,또래집단,가족구조,경제적 상실,학교,지역사회,준모수적 집단중심모형,사회정서적 발달,패널연구,표본유지,청소년,아동,일시적 빈곤,지속적 빈곤,빈곤,구조방정식모형,위계선형모형,발달궤적,발달모형,매개요인,보호요인,위험요인,비행,학업성취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빈곤과 가족소득이 아동의 우울/불안, 공격성, 학업성취,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은 ‘서울 아동발달 및 복지실태 조사’(이하 서울아동패널) 2004-2005 원자료를 이용한다. 서울아동패널은 서울지역의 12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아동 1800여명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연 1회 이루어지는 종단적 조사(panel survey)이다. 서울아동패널은 1차년도인 2004년에 12개 초등학교 4학년인 아동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학업성취, 사회․정서적 발달, 비행을 중심으로 기본적인 가족배경 변수와 가족환경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2차년도에는 5학년 재학 아동과 부모를 전수 추적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1차년도에 조사되었던 1811사례 중 92.1%인 1677사례가 조사되어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를 전반적으로 요약한다면, 가족 소득이나 빈곤은 아동의 우울/불안과 공격성, 학업성취, 비행과 유의미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학업성취의 경우에는 소득과 빈곤도 일관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의 영향은 작은 것으로 보이나 빈곤의 영향은 소득의 영향에 비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1차년도 자료와 결합하여 연속빈곤과 일시빈곤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연속빈곤은 아동 학업성취에 큰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일시빈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학업성취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연속빈곤일 경우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아동의 우울/불안과 공격성의 경우 2차년도 자료에서는 소득이 감소할수록 문제는 증가하는 부정적 관련을 보였다. 이에 비해 1차년도 자료에서는 빈곤 여부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을 보였다. 연속빈곤과 일시빈곤의 영향을 분석한 경우에도 연속빈곤이나 2차년도의 일시빈곤은 아동의 우울/불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을 보이지 않았으나 1차년도의 일시빈곤은 유의한 관련을 보였다.
    아동 비행의 경우에는 소득의 영향이 다른 양상을 보였다. 비행경험 점수를 종속변수로 한 경우 경제적 어려움과 빈곤은 아동비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을 보였다. YSR비행점수를 종속변수로 분석할 경우에는 소득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1차년도 자료를 분석할 경우 소득의 영향은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았다.
    가족소득이 아동의 다양한 발달 산물에 관련을 가지지만 그 양상은 발달 산물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가족소득이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발달 산물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가족소득과 발달 산물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다양한 변수를 발견하고 가족소득이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주요한 과제이다.
  • 영문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family income and poverty on children's depression/anxiety, aggression, academic achievement, and delinquency. Data come from Seoul Panel Study of Children (SPSC) 2004-2005. SPSC is an annual longitudinal study which surveys 1811 fourth-grade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children was attending one of 12 elementary schools in Seoul.
    Results show that family income and/or poverty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children's depression/anxiety, aggression, academic achievement, and delinquency. Fo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both family income and poverty have consistently significant effects. The effect of income is rather small, but the effect of poverty is much larger than that of income. Continuous poverty has a large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but transient poverty does not.
    Income shows a negative association with children's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analyzing the second-year data. Analysis of the first-year data shows the significant effect of poverty. Continuous poverty and transient poverty in the second year do not have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children's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but transient poverty in the first year shows a positive relationship. Economic deprivation and poverty have effects on a frequency of delinquent behaviors. For the YSR delinquency score, income also shows a significant association. Yet, income's effect is not consistent, analyzing the first-year data.
    In sum, this study shows the effect of income and poverty varies by developmental outcomes. This may happen because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income or poverty affects differ by outcomes. Future studies should examine the pathways via which income affects child develop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아동빈곤을 규명하는 학문적 노력의 일환으로 빈곤경험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빈곤이 아동의 사회정서적 발달, 학업성취, 비행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의 교육수준과 가족구조 등 여타의 가족배경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의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1800여명을 대상으로 서울아동패널조사을 수행하고, 1-2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가족소득과 빈곤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가족 소득이나 빈곤은 아동의 우울/불안과 공격성, 학업성취, 비행과 유의미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나 아동의 특성 변수를 통제한 이후에도 이러한 관련은 대부분 지속되었다. 그러나 가족 소득이 관련을 갖는 양상은 아동의 발달 산물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아동의 학업성취의 경우에는 월평균소득이나 욕구소득비가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경제적 어려움, 빈곤 등도 일관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아동의 우울/불안과 공격성의 경우 2차년도 자료에서는 월평균소득액이나 욕구소득비가 감소할수록 문제는 증가하는 부정적 관련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가족소득의 영향이 저소득가구나 빈곤가구에서 심각하게 나타난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1차년도 자료에서는 월평균소득액이나 욕구소득비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반면 빈곤 여부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마지막으로 아동 비행의 경우에는 소득의 영향이 다른 양상을 보였다. 비행경험 점수를 종속변수로 한 경우 월평균소득이나 양적으로 측정된 욕구소득비는 아동비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을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경제적 어려움은 아동비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을 보였고, 빈곤 또한 한계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을 보였다. 그러나 YSR비행점수를 종속변수로 분석할 경우에는 가족소득이나 욕구소득비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족소득이나 빈곤이 아동의 발달산물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 양상은 발달산물이 무엇인가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하겠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결과는 빈곤 아동을 위한 개입에 있어서 구체적인 실천적 지침을 제공한다. 빈곤 외에도 많은 발달산물과 발달산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분석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빈곤 아동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1. 발달 산물에 따른 빈곤 아동 개입 전략 구체화:
    가족소득, 가족내 인지적 자극 환경, 가정의 정서적 기능 등이 관련 변수들이 아동의 사회정서적 발달이나 비행, 학업성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아동 발달산물에 따른 실천적 개입전략을 구체화할 수 있었다.

    2. 빈곤 정책의 우선순위 제안 :
    아동의 다양한 발달 산물별로 상이한 빈곤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빈곤의 영향에 취약한 발달산물에 대해 보다 우선적인 정책적 투자를 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3. 빈곤유형에 따른 차별적인 개입 전략 제안 :
    빈곤의 지속기간에 따라서 아동의 발달산물에 어떻게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빈곤 유형에 따른 차별적인 개입과 최적 시점에서의 개입을 제안 할 수 있었다.

    4.패널 데이타 축적을 통한 빈곤 관련 후속 연구 활성화 :
    본 연구의 자료는 종단적 조사로 이루어지는 패널자료로서 빈곤의 인과적 효과와 기제를 밝히는데 유용하다.
    따라서 차후 빈곤을 심층적으로 연구할 후속연구자들과 자료를 공유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적극적인 연구성과를 양산할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빈곤, 빈곤아동, 사회정서적발달, 학업성취, 비행, 패널연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