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광범위한 사회적 관심을 유발하고 있는 대학서열체제의 형성과정 및 이로 인한 교육경쟁력 약화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서열체제가 형성된 ...
이 연구는 광범위한 사회적 관심을 유발하고 있는 대학서열체제의 형성과정 및 이로 인한 교육경쟁력 약화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서열체제가 형성된 원인을 해명하고 그 현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둘째, 대학 서열체제로 인한 교육적, 사회문화적, 경제적 영향은 무엇인가를 살펴본다. 셋째, 대학 서열체제를 해소하기 위한 입시 및 교육체제 개편방향은 무엇인가를 살펴본다.
연구요약
이 연구의 내용 및 범위는 한국의 대학서열체제의 문제에 한정한다. 한국의 대학서열체제가 1980년대이후 일정한 형태로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전제하에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 연구의 내용은 그 성격에 따라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 1부는 대학 ...
이 연구의 내용 및 범위는 한국의 대학서열체제의 문제에 한정한다. 한국의 대학서열체제가 1980년대이후 일정한 형태로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전제하에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 연구의 내용은 그 성격에 따라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 1부는 대학서열체제의 형성과정과 그 원인을 살펴본다. 이와 관련하여 대학서열체제의 형성과정을 광범위한 실증적 자료들을 바탕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나아가 대학서열체제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교육적 요인, 그리고 국가정책, 나아가 사회문화적 요인 등에 대해서 검토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대학의 서열이 어떠한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어떤 방식으로 고착화되어 하나의 체제로서 작동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제 2부는 대학서열체제의 교육내외적 결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대학서열체제가 구체적으로 무엇이 문제이고, 그것이 교육을 어떠한 방식으로 왜곡시키고 있는 가를 살펴본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대학서열체제가 중등교육 및 고등교육, 그리고 입시제도 등 교육체제에 미친 영향을 일차적으로 살펴보고, 나아가 그것이 사회·문화적 측면, 그리고 정치·경제적 측면 등에서는 어떠한 영향을 가져왔는 가를 분석한다. 제 3부는 대학서열체제를 해소하여 교육체제의 정상적 운영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동시에 교육체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안들을 제시한다. 대학서열체제의 해소방안은 크게 입시제도의 개선과 더불어 대학의 서열을 고착상태에서 벗어나 유동화시키기 위한 대학의 경쟁력 강화방안에서 찾아질 수 있다. 따라서 3부에서는 대학서열체제를 해소하기 위한 입시제도의 개혁방안을 제시하고, 이에 대응하는 고등교육의 개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면에서 이 연구는 통계자료를 포함한 기존의 문헌 및 자료에 대한 분석, 그리고 심층면접의 기법을 주로 사용한다. 문헌자료는 서열체제와 관련된 실증적인 자료들, 대학서열체제의 형성원인 및 그것이 미친 영향과 관련된 정부 각 부처의 통계자료, 그리고 언론 및 학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사회경제지표들을 수집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심층면접은 자료의 수집 및 분석, 그리고 대안의 도출과정에서 광범위하게 실시하며, 교원, 학생, 그리고 학부모 및 교육학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한글키워드
서열체제,대학서열,서열화,지역격차,교육경쟁,입시제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이 연구는 광범위한 사회적 관심을 유발하고 있는 대학서열체제 및 이로 인한 교육경쟁력 약화문제의 근본 원인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서열체제의 형성원인을 교육내외적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고착 ...
이 연구는 광범위한 사회적 관심을 유발하고 있는 대학서열체제 및 이로 인한 교육경쟁력 약화문제의 근본 원인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서열체제의 형성원인을 교육내외적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고착화된 대학서열체제의 해소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현대사회에서 대학교육만큼 수월성과 경쟁이 강조되는 체제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열화된 한국의 대학교육은 이러한 점에서 많은 한계를 지니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으며, 이는 초중등교육을 대입준비학원으로 전락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와 같이 서열구조가 고착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하위권으로 분류되는 대학들이 경쟁을 위해서 독자적인 교육활동을 전개하기를 기대한다는 것은 어렵다. 이들 하위권의 대학들이 경쟁을 통해서 서열을 유동화할 수 있다는 일정한 수준의 기대가 형성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대학들을 이처럼 경쟁의 대열에 나설수 있게 만드는 것은 바로 고등교육에 대한 수요자들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학부모를 비롯한 사회적 의식이나 신뢰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신뢰와 의식의 형성은 제도나 실생활을 통해서 가시화되거나 경험되어질때 강화될 수 있는 것이다. 국가의 역할은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즉 대학들이 공정한 경쟁을 전개하는데 방해요소가 될 수 있는 사회경제적 불균등발전을 해소하고, 또한 이들 지역의 대학들이 경쟁의 대열에 참여해서 자신들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주는 일을 국가가 담당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서열체계 유동화의 최종주자는 바로 대학이라는 점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영문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 of formation of the rank of a university in the public perception of South Korea, then proposes the policy for fluctuating that solid ranking system. is determined to a great extent by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regi ...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 of formation of the rank of a university in the public perception of South Korea, then proposes the policy for fluctuating that solid ranking system. is determined to a great extent by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region in which it is located rather than by its educational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include the points that follow. The reason for this is largely the state policies of concentrating resources on to strategically important industries and regions-the nation's capital and the Kyungsang region in particular. As scarce resources were absorbed by those regions, so too were the migrating population seeking economic opportunity. The state then introduced policies to curb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especially in the capital city area, including one to limit universities' student quotas. In effect, admission to those universities became harder and their prestige enhanced. In the study conclusion, policies to address the problems related to fixed rankings of universities should not be literally "educational." They should be comprehensive enough to include policies to secure equality in economic development and welfare for disadvantaged regions.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이 연구는 광범위한 사회적 관심을 유발하고 있는 대학서열체제 및 이로 인한 교육경쟁력 약화문제의 근본 원인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서열체제의 형성원인을 교육내외적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고착 ...
이 연구는 광범위한 사회적 관심을 유발하고 있는 대학서열체제 및 이로 인한 교육경쟁력 약화문제의 근본 원인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서열체제의 형성원인을 교육내외적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고착화된 대학서열체제의 해소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현대사회에서 대학교육만큼 수월성과 경쟁이 강조되는 체제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열화된 한국의 대학교육은 이러한 점에서 많은 한계를 지니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으며, 이는 초중등교육을 대입준비학원으로 전락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와 같이 서열구조가 고착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하위권으로 분류되는 대학들이 경쟁을 위해서 독자적인 교육활동을 전개하기를 기대한다는 것은 어렵다. 이들 하위권의 대학들이 경쟁을 통해서 서열을 유동화할 수 있다는 일정한 수준의 기대가 형성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대학들을 이처럼 경쟁의 대열에 나설수 있게 만드는 것은 바로 고등교육에 대한 수요자들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학부모를 비롯한 사회적 의식이나 신뢰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신뢰와 의식의 형성은 제도나 실생활을 통해서 가시화되거나 경험되어질때 강화될 수 있는 것이다. 국가의 역할은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즉 대학들이 공정한 경쟁을 전개하는데 방해요소가 될 수 있는 사회경제적 불균등발전을 해소하고, 또한 이들 지역의 대학들이 경쟁의 대열에 참여해서 자신들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주는 일을 국가가 담당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서열체계 유동화의 최종주자는 바로 대학이라는 점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대학서열체제가 고착화된 원인은 국가의 입시정책과 고등교육정책, 그리고 국가의 지역편중개발정책, 국민의 맹목적인 교육관 등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러한 서열체제를 체념적으로 수용하거나 이에 안주한 대학들의 문제로 요약될 ...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대학서열체제가 고착화된 원인은 국가의 입시정책과 고등교육정책, 그리고 국가의 지역편중개발정책, 국민의 맹목적인 교육관 등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러한 서열체제를 체념적으로 수용하거나 이에 안주한 대학들의 문제로 요약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서열체제의 해소방안 역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지 않으면 안되며, 이들은 개별적으로 해결될수는 없으며,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은 크게 세가지 측면에서 제시될 수 있다. 먼저 학문적인 측면에서는 대학서열체제, 입시문제, 국가균형발전 등과 관련된 논의의 지평을 확대하고 이에 대한 다학문적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활용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다. 사회적인 측면에서는 국민의 왜곡된 교육의식을 합리화하고 지역간 계층간 화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정책적인 측면에서는 입시제도의 개선, 대학경쟁력의 강화, 그리고 국가균형발전의 전략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의미있는 방향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