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T.S. 엘리엇과 여성: 모더니스트 정전의 한계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41-A00451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1 년 (2004년 12월 01일 ~ 2005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김구슬
연구수행기관 협성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연구 목표

    최근의 문학 비평에 있어서의 중요한 발전으로 철학이나 문학이론, 문화연구 등에 있어서의 상대론적인 해석을 꼽을 수 있다. T.S. 엘리엇(Eliot) 사후 50여 년이 흐르는 과정에서 엘리엇 연구 역시 이러한 비평적 관심에 힘입어 그의 생전에 주목하지 않았던 문제들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시도되고 있고 그것이 가져온 파장은 꽤 격심한 것 같다. 엘리엇 사후 그의 두 번째 부인인 발레리 여사(Valerie Eliot)에 의해 출간이 유보되었던 자료들이 차례로 발간됨으로써 엘리엇 연구에 중요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엘리엇 사후 진행되어온 엘리엇과 여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엘리엇의 작품에서 여성혐오적인 면을 부각시키면서 그를 여성혐오자로 결론짓는 동시에 그의 반여성적 견해를 통해 그를 성차별주의자로 간주하는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의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그 가장 극단적인 비평가로서 지난 10여년간 성의 정치학의 기치를 드높인 길버트(Sandra Gilbert)와 구바(Susan Gubar)등을 들 수 있다. 길버트와 구바는 기본적으로 모더니즘을 은유적인 성의 전쟁으로 규정하고 다른 어떤 남성 작가들보다 엘리엇을 여성혐오자이자 인종차별주의자로 비난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단지 비평가로서가 아니라 여성으로서 엘리엇의 작품을 읽었으며, 그것은 필연적으로 여성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에게 엘리엇의 여성혐오주의와 인종차별주의를 폭로하고 반박하는 입장을 취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 엘리엇 사후 조심스럽게 진행되어오던 엘리엇과 여성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그동안 단순히 여성혐오자로 간주되어왔던 엘리엇을 재평가하고, 나아가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에 의해 왜곡되어왔던 엘리엇과, 울프(Virginia Woolf) 외의 대부분의 여성작가들이 제외되어 왔던 문학적 모더니즘의 관계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모더니스트 정전에서 제외되었던 여성 작가들을 재검토하고 이들의 역할과 의미를 재평가함으로써 모더니스트 정전을 재정립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기대효과
  • 기대효과

    최근의 중요한 비평적 발전으로 제기되는 것은 문학이론이나 문화연구 등에 있어서의 상대론적인 해석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엘리엇 연구 및 해석을 재규명해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서 그동안 작품의 의미 생산에 있어 주변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왔던 것들, 예컨대 엘리엇의 가족사나 결혼, 정치, 성, 인종 등의 문제를 엘리엇 연구의 중심부에 자리잡게 하려는 최근의 비평적 발전의 한 반영이다. 이는 문학 작품의 의미란 역사적 진공 속에서 발생될 수 없다는 원론적 인식의 자연스러운 귀결이다. 특히 엘리엇의 작품에서 발견되는 반여성주의적 시각은 많은 논란의 여지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엘리엇 연구의 정전을 근원적으로 수정하게 하는 결정적인 비평적 발전으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영미권의 엘리엇 학자들, 예컨대 고든(Lyndall Gordon), 스타인버그(Erwin Steinberg), 리겟(P.A. Liggett), 기쉬(Nancy Gish), 브루커(Jewel Spears Brooker) 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국내에서는 거의 시도되지 않고 있고, 또 이러한 접근을 하나의 시각으로 통합적으로 시도한 연구는 영미권에서조차 아주 미미한 형편이다. 이러한 새로운 접근은 궁극적으로 엘리엇과 여성의 관계를 문학적 모더니즘의 관점에서 재조명함으로써 엘리엇 연구의 해석학적 지평을 확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근거로 20세기 최고의 모더니스트로 평가받고 있는 엘리엇과 모더니스트 정전을 재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연구요약

    엘리엇과 여성의 관계를 고찰하는 이러한 새로운 접근은 우선 엘리엇의 작품에 여성들이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가로부터 출발하게 될 것이다.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이 엘리엇의 작품을 통해 발견한 여성혐오를 전적으로 부정할 수는 없지만 엘리엇의 작품을 통해 볼 때 엘리엇은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도 부정적으로 그리고 있다는 것이 필자의 기본적인 생각이다. 이러한 접근을 시도한 학자로는 소말린(Marianne Thormahlen), 벤틀리(Joseph Bentley), 자이버트(Teresa Gibert) 등이 있다. 엘리엇과 여성의 관계, 그리고 엘리엇과 문학적 모더니즘의 관계에 대한 정확한 재평가를 위해서는 문학이라는 문화에 있어서의 여성의 역할 그리고 문학적 문화의 여성화에 대한 엘리엇의 태도의 점검이 필요할 것이며, 나아가 엘리엇과 맨스필드(Katherine Mansfield), 마리언 무어(Marianne Moore), 울프(Virginia Woolf) 등 여성 작가들과의 관계의 규명 또한 재검토가 요구되는 필연적인 과제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문학적 문화의 여성화에 대한 엘리엇의 태도를 점검하고 엘리엇과 여성 작가들과의 관계를 재검토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일차적으로는 엘리엇과 여성의 관계로부터 출발하여 궁극적으로 여성 작가들이 모더니스트 정전에서 제외될 수 밖에 없었던 배경을 제시하면서 동시에 모더니스트 정전을 재정립하게 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버지니어 울프,맨스필드,브루커,머리언 무어,황무지,T.S. 엘리엇,길버트,구바,모더니즘,모더니스트 정전,페미니스트 비평가,인종차별주의,문화의 여성화,소말린,반여성적,벤틀리,여성혐오주의,여성,3월 토끼의 노래,초기 미발표 시집,여성작가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논문은 엘리엇과 여성의 관계에 주목하여 영미 모더니즘의 논의의 원론인 엘리엇의 "전통과 개인의 재능"을 중심으로 엘리엇의 시학에 드러나는 남권주의적 암시를 고찰하고, 그간 모더니스트 정전의 형성과정에 대해 많은 문제점을 제기하며 이에 반격을 시도했던 페미니즘 비평가들의 문제점과 한계를 동시에 지적함으로써 이를 통해 양자의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고자 한 것이다. 엘리엇과 여성의 관계를 그의 시학과 정치학의 고리 속에서 고찰하려는 시도는 예술적, 사회적 문맥 속에 밀착되어 있는 모더니스트 정전에서 그가 차지하고 있는 정확한 위치를 가늠하기 위한 것이다. 엘리엇에 대한 정당한 평가는 그것이 어떤 접근법을 통한 것이든 한때는, (어쩌면 지금까지도 어느 정도로는) 정전의 중심에 서 있었던 엘리엇을 추락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의 시학과 정치학의 결합을 통해 오히려 단순한 오해나 적대감을 뛰어넘어 궁극적으로 엘리엇의 작품 이해의 지평을 더욱 확장시키기 위한 것이 되어야 한다는데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혁신과 유보의 의미를 동시에 가정하고 있는 엘리엇의 전통론의 역동성을 제대로 읽어내는 방법이 될 것이다. 그것은 엘리엇의 시에서 끊임없이 두려움과 때로는 혐오의 대상으로 재현되는 여성적 타자가 실은 그의 작품의 상상적 구조에 내재적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의 산문이나 서한 등에서 엘리엇이 부정하고 때로 혐오하는 듯한 여성성은 오히려 그것 때문에 그의 상상적 구조를 더 풍부하게 만들어 그의 개인적, 예술적 세계를 더 깊고 넓게 들여다볼 수 있는 상징적 구조가 될 수도 있으며, 엘리엇의 왜곡된 시적 에너지를 재점검하는 일은 모더니즘이 가정하는 다의성, 중층성, 차이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진정 균형 잡힌 문학사는 한 시대의 단면적인 해석에 의한 것이 아니라 밀도 있는 해석으로 가능할 것이다. 문학사의 이해 방법. 하나의 해석 방법이 더 큰 문학사적 전통 속에 수용되면서 수정될 때, 권위적이며 폭력적인 전통이 아니라, 진정한 의미의 역동적인 전통이 확립될 것이며, 그러한 과정 속에서 전통은 더욱 더 큰 의미의 울림으로 살아남을 것이다.
  • 영문
  • T. S. Eliot and Women: The Limits of the Modernist Canon.

    Literature cannot be discussed in a vacuum, because it is a culture-bound political constru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imits of the modernist can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 S. Eliot and women. Previous formalistic readings of Eliot isolated the readers from social and biographical concerns, which made it impossible to evaluate him in a balanced viewpoint. In recent decades, as Gibert indicates, "the criteria used to evaluate writers and to understand literary history have shifted from an emphasis on formal elements on ethical and moral ones." The poetics of Eliot who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nfluential leading modernists, is closely related to his politics implied in his poetics. Sandra M. Gilbert and Susan Gubar, in their essay entitled "Tradition and Female Talent" in No Man's Land, attacks the masculinity of the modernists, especially Eliot, identifying modernism as masculinism. This paper reviews the re-evaluation of Eliot and of literary modernism by such feminist critics. There can be found some problems and limits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modernist canon, which is delicately related with masculinism as indicated by Gibert and Gubar. However, their presumption that modernism is a product of sexual battle also reveals its limits, because it is developed by the use of binary logic. Consequently, this paper, trying to pin down the position of Eliot in the modernist canon, aims to extend the horizon of the understanding of Eliot and modernism, by indicating the problems and limits in the formation of the modernist canon, and also those of the feminist criticism. Its clue lies in Eliot's essay "Tradition and the Individual Talent." 'Tradition' by which Eliot means involves in it the possibility of the revision and innovation as well as the reservation. It is because "The existing monuments form an ideal order among themselves, which is modifi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new (the really new) work of art among them." as Eliot emphasized in his essay. When the dynamics implied in the concept of "tradition" is properly understood, the new (the really new) work of art by women writers will be included in tradition, and the feminist criticism will be properly evaluated beyond its misunderstandings and distortions shown in the blind attack on modernist writers and the modernist canon as wel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엘리엇은 추락하는가
    예술이란 문화적, 정치적 구축물이어서 진공 속에서는 탄생될 수 없다. 예술이 진정 예술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문화적, 정치적 환경과 갖는 고도로 복합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문학 역시 그 심미적이며 사회적인 문제들을 사회적,역사적 관점에서 고찰할 때 동시대적 의미를 넘어선 초시대적 의미를 가지게 될 것이다. 엘리엇(T. S. Eliot) 식으로 말하자면,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긴장이며, 과거에 대한 현재적 판단이기 때문이다. 역사는 문학이나 다른 인문학과 마찬가지로 항상 창조를 지향하며, 현재란 단지 과거를 살아 있게 하는 것이다. 현재적 가치의 압박이 과거에 대한 우리의 지식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20세기 전반으로부터 시작된, 그리하여 21세기의 문턱을 넘어서면서 예술계 전반에서 더욱 거세게 일고 있는 복합적인 메카니즘으로서의 문학의 본질에 대한 이러한 원론적인 인식의 흐름을 반영하듯, 최근 문학비평에 일고 있는 새로운 변화는 종래의 형식적 요소들에 집중되었던 관심이 윤리적이며 도덕적인 요소들로 전이됨으로써 야기되는 것으로, 그것은 모더니스트 정전의 개념에 대한 일대 변혁으로까지 확대되어 가고 있다. 정전이 보편적 합의를 요구하는 기존의 문학의 위계를 객관적으로 반영한다는 모더니스트 개념이, 정전이란 ‘문화에 기반을 둔 정치적 구축물’이라는 믿음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 글은 일차적으로 대표적인 모더니스트 시인, 비평가이면서, 모더니스트 정전의 핵심에서 흔들림 없는 입지를 유지해 온 T. S. 엘리엇(Eliot)을 모더니스트 정전의 형성 과정을 통해 재평가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엘리엇의 산문, 특히 "전통과 개인의 재능"이나 서한에서 드러나는 엘리엇의 여성관을 통해 그의 시학과 정치학의 긴밀한 관계 구조망을 재점검하고, 문학의 모더니즘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그 한계를 드러내줄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또한 모더니즘 비판의 선봉자격인 페미니즘 비평가들의 시각의 문제점과 한계를 드러내 줄 것이며, 이를 통하여 양자의 그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실마리를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최근의 중요한 비평적 발전으로 제기되는 것은 문학이론이나 문화연구 등에 있어서의 상대론적인 해석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엘리엇 연구 및 해석의 문제점과 한계를 모더니스트 정전의 형성과정을 통해 재규명해보려는 시도이다. 그러한 시도는 그간 문학 작품의 의미 생산에 있어서 주변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왔던 것들, 에를 들어 엘리엇의 개인사나 엘리엇과 여성의 관계 등으로 드러나는 그의 여성관을 중심으로 일차적으로 그 이면의 정치적 암시를 고찰하고, 이에 반격을 시도했던 페미니즘 비평의 문제점과 한계를 동시에 고찰함으로써 양자의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고자 한 것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영미모더니즘의 원론으로 간주되어왔던 엘리엇의 "전통"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것이 페미니즘 비평가들에 의해 어떻게 왜곡되어 왔으며, 그의 "전통"의 개념의 진정한 의미를 회복하기 위하여 어떻게 해석되어야 할 것인가에 논의의 촛점을 두었다. 엘리엇의 "전통"이 내포하고 있는 수정과 유보의 역동성을 제대로 이해할 때, 모더니스트 정전의 한계, 그리고 이에 반격을 시도했던 페미니즘 비평가들의 한계도 드러날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모더니즘과, 모더니스트 정전의 핵심에 위치했던 엘리엇에 대한 균형잡힌 시각이 확립될 것이며, 이는 또한 앞으로 문학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모더니즘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T. S. 엘리엇. 여성. 모더니즘, 모더니스트 정전의 한계, 페미니즘 비평, "전통과 개인의 재능"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