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령 한국사회에 대비하여, 인구의 고령화라는 범국가적인 현상에서 역동적 노년의 삶을 재조명하면서 동시에 한국 사회에 적합한 새로운 사상과 서비스 모델을 창출하는데 기여하고자,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비교문화적인 접근을 통해 서구사회와 한국사회의 ...
본 연구는 고령 한국사회에 대비하여, 인구의 고령화라는 범국가적인 현상에서 역동적 노년의 삶을 재조명하면서 동시에 한국 사회에 적합한 새로운 사상과 서비스 모델을 창출하는데 기여하고자,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비교문화적인 접근을 통해 서구사회와 한국사회의 성공적인 노화의 차이점과 유사성을 고찰하며, 이를 바탕으로 고령 한국사회에 적합한 문화적 코드를 지닌 성공적인 노화의 실천방향을 경험적으로 탐색하는데 목표가 있다.
본 연구는 성공적인 노화는 지속적으로 변동하는 가치 및 주관들로부터 구성되고 상황적으로 정해지는 것으로써 이해한다. 따라서 첫째, 한국노인들의 성공적인 노화 탐색에 있어 기존의 성공적인 노화 이론을 검증할 뿐 아니라, 둘째, 노인들이 실제로 지각하고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기준과 차원들은 무엇이며, 셋째, 노인들이 성공적인 노화를 위해 상황적 걸림돌들에 저항해가는 과정은 어떠한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넷째, 노인들의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지각과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과 친밀한 관계의 맥락을 탐색함으로써, 한국사회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 적절한 성공적 노화의 실천적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내용과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연구문제
본 연구는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비교문화적인 접근을 통해 서구사회와 한국사회의 성공적인 노화의 차이점과 유사성을 고찰하며, 이를 바탕으로 고령 한국사회에 적합한 문화적 코드를 지닌 성공적인 노화의 실천방향을 경험적으로 탐색하고자 다음과 같은 4개의 연구문제를 수행한다.
첫째, 한국 노인들은 서구문헌에 나타나고 있는 성공적인 노화의 특징들에 얼마나 동의하고, 중요하게 생각하는 순위는 어떠한가?
둘째, 한국노인들이 살아온 경험은 어떠하고, 현재 나이가 들어 ‘늙음 (old)'을 어떻게 생각하며,
성공적인 노화를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셋째, 성공적 노화를 방해할 수 있는 연령과 관련된 상실에 적응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해 노인이
사용하는 전략들은 무엇이며, 그 안에서 가족 및 친밀한 관계의 의미는 어떠한가?
넷째, 한국사회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 맞는 성공적인 노화는 무엇이며,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를
돕기 위한 실천적 방법은 무엇인가?
2)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성공적인 노화 이론에 한국 노인들이 동의하는 정도를 검증하기 위해 ‘양적연구’를, 노인들의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기대를 파악하고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주체적 노력과 가족 및 친밀한 관계의 의미를 규명하기 위해 ‘질적연구’를, 그리고 한국사회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 맞는 성공적 노화의 실천적 전략을 구상하기 위해 ‘사례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가. 양적연구
연구문제1: 한국 노인들은 서구문헌에 나타나고 있는 성공적인 노화의 특징들에 얼마나 동의하고, 중요하게 생각하는 순위는 어떠한가?
연구방법: 직업, 소득, 교육의 구성으로 측정되는 계층분류에서 상층과 중층, 하층을 대표할 수 있는 남녀노인 각각 100명씩 총 600명을 서울과 수도권에서 표집 할 예정이다. 연구대상자들은 혼자 살거나, 배우자와 함께 살거나, 혼자 자녀와 함께 살거나, 배우자와 함께 자녀와 함께 사는 경우의 4가지를 고루 갖추도록 표집할 것이다. 심각한 치매와 같은 것으로 진단받았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