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노인들의 기대에 따른 성공적인 노화 : 모델 구성과 전략적 중재방안의 탐구
The Concept of Successful Aging as Perceived by Korean Elderly: Constructing Prototype Model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in Korean Cultural Contex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41-C00422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1 년 (2004년 12월 01일 ~ 2005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최혜경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한국 사회에서 노인인구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곧 다가올 고령사회에 대한 준비도 그만큼 시급하다. 지난 수년간 대두된 well-being 또는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은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은 노년의 삶과 관련하여 중요한 사회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노인인구에 대한 한국사회의 접근은 아직까지도 예방적인 차원보다는 발생하는 노인문제를 치료적인 차원에서 대처하는데 급급하다.
    앞으로 고령 한국사회에서 노인들은 이전 세대의 노인들과는 질적으로 다른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생활양식을 지닐 것이다. 이전 세대에 비해 교육수준이 높고, 노후의 경제적 자립능력에 가치를 두며, 또한 성장과정에서 서구문화를 체험한 세대로서, 앞으로 한국 노인들의 생활습관과 문화를 빠르게 바꾸어 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높은 교육수준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영위하면서, 확장된 노후의 삶의 질의 수준을 제고하려는 욕구가 커질 것이므로 한국 사회는 이제까지의 노인에 대한 의식이나 접근방법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대응전략이 필요하게 되었다.
    세계적으로 고령 사회들은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노인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노인에 접근하고 있다. 고령 사회에서 노년기에 지향할 바를 ‘성공적인 노화 (successful aging)’ 의 개념으로 설명하면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해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한국사회는 고령사회로의 진입에 대비하여 노인들에게 건강하고 의미 있는 삶을 안내할 수 있는 일관성 있는 성공적인 노화의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아직까지 성공적인 노화에 관한 체계적인 학문적 연구가 거의 없고, 소수의 연구들은 서구이론의 고찰에 그치고 있다. 고령 한국사회는 현대사회의 특성과 함께 한국사회 고유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고령 한국사회에서 노인들의 요구를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는 성공적인 노화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고령사회들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을 규명하는 한편 한국사회 고유의 맥락에 맞는 실천방향을 고려하여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서구사회와 한국사회의 성공적인 노화의 차이점과 유사성을 고찰하며, 이를 바탕으로 고령 한국사회에 적합한 문화적 코드를 지닌 성공적인 노화의 실천방향을 경험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한국의 노년가족학 연구와 한국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노년기의 최적발달을 나타내는 개념인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정의와 지표탐색을 시도함으로써 이제까지 관심을 받지 못하였던 성인기발달에 대한 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다.

    둘째,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비교문화관점을 기반으로 하여 노년가족학자들간의 국제적 교류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확장된 노년기의 요구에 맞는 발달과업을 제안함으로써 고령사회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노인 개개인의 삶에 목적과 의미를 부여해준다.

    넷째, 성공적인 노화의 기준과 실천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노인의 삶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더 나아가 노인 개개인 또는 노인 집단을 보호, 육성하는 정책적 전략을 세우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다섯째, 고령사회에서 노인의 삶에서 가족과 친밀한 관계의 의미를 탐색하고, 이러한 비공식적 관계의 노인부양기능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여섯째, 단편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노년기 삶에 대한 정보를 노인의 전 생활영역을 망라한 성공적인 노화의 견지에서 조직함으로써, 고령사회의 노인문화를 통합적으로 이해, 구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일곱째, 추상적인 개념으로서의 성공적인 노화가 아닌 노인의 ‘실제’ 삶을 나타내는 지표를 제시하여, 보다 많은 노인들의 성공적인 노화를 도울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한국사회에서 건전한 노인문화의 보급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여덟째, 본 연구를 통해 파악한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과 구성지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노인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족과 친밀한 관계의 중재적 기능에 대한 탐색은 노인가족 또는 노인부양가족의 기능성 회복을 위한 다양한 중재프로그램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고령 한국사회에 대비하여, 인구의 고령화라는 범국가적인 현상에서 역동적 노년의 삶을 재조명하면서 동시에 한국 사회에 적합한 새로운 사상과 서비스 모델을 창출하는데 기여하고자,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비교문화적인 접근을 통해 서구사회와 한국사회의 성공적인 노화의 차이점과 유사성을 고찰하며, 이를 바탕으로 고령 한국사회에 적합한 문화적 코드를 지닌 성공적인 노화의 실천방향을 경험적으로 탐색하는데 목표가 있다.
    본 연구는 성공적인 노화는 지속적으로 변동하는 가치 및 주관들로부터 구성되고 상황적으로 정해지는 것으로써 이해한다. 따라서 첫째, 한국노인들의 성공적인 노화 탐색에 있어 기존의 성공적인 노화 이론을 검증할 뿐 아니라, 둘째, 노인들이 실제로 지각하고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기준과 차원들은 무엇이며, 셋째, 노인들이 성공적인 노화를 위해 상황적 걸림돌들에 저항해가는 과정은 어떠한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넷째, 노인들의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지각과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과 친밀한 관계의 맥락을 탐색함으로써, 한국사회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 적절한 성공적 노화의 실천적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내용과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연구문제

    본 연구는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비교문화적인 접근을 통해 서구사회와 한국사회의 성공적인 노화의 차이점과 유사성을 고찰하며, 이를 바탕으로 고령 한국사회에 적합한 문화적 코드를 지닌 성공적인 노화의 실천방향을 경험적으로 탐색하고자 다음과 같은 4개의 연구문제를 수행한다.

    첫째, 한국 노인들은 서구문헌에 나타나고 있는 성공적인 노화의 특징들에 얼마나 동의하고, 중요하게 생각하는 순위는 어떠한가?

    둘째, 한국노인들이 살아온 경험은 어떠하고, 현재 나이가 들어 ‘늙음 (old)'을 어떻게 생각하며,
    성공적인 노화를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셋째, 성공적 노화를 방해할 수 있는 연령과 관련된 상실에 적응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해 노인이
    사용하는 전략들은 무엇이며, 그 안에서 가족 및 친밀한 관계의 의미는 어떠한가?

    넷째, 한국사회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 맞는 성공적인 노화는 무엇이며,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를
    돕기 위한 실천적 방법은 무엇인가?


    2)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성공적인 노화 이론에 한국 노인들이 동의하는 정도를 검증하기 위해 ‘양적연구’를, 노인들의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기대를 파악하고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주체적 노력과 가족 및 친밀한 관계의 의미를 규명하기 위해 ‘질적연구’를, 그리고 한국사회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 맞는 성공적 노화의 실천적 전략을 구상하기 위해 ‘사례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가. 양적연구

    연구문제1: 한국 노인들은 서구문헌에 나타나고 있는 성공적인 노화의 특징들에 얼마나 동의하고, 중요하게 생각하는 순위는 어떠한가?

    연구방법: 직업, 소득, 교육의 구성으로 측정되는 계층분류에서 상층과 중층, 하층을 대표할 수 있는 남녀노인 각각 100명씩 총 600명을 서울과 수도권에서 표집 할 예정이다. 연구대상자들은 혼자 살거나, 배우자와 함께 살거나, 혼자 자녀와 함께 살거나, 배우자와 함께 자녀와 함께 사는 경우의 4가지를 고루 갖추도록 표집할 것이다. 심각한 치매와 같은 것으로 진단받았던
  • 한글키워드
  • 성공적인 노화 / 성공적인 노화 전략 / 노년기 가족의 의미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문화적인 접근을 통해 서구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요소 및 구성차원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령 한국사회에 적합한 문화적 코드를 지닌 성공적인 노화의 실천방향을 경험적으로 탐색하고자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 노인들이 성공적인 노화의 요소들에 대해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그 동의하는 정도에 대해 살펴보았을 때, 첫째, 한국노인들의 경우 성공적인 노화를 이루는데 있어, 건강, 관계지향적인 요소, 마음적 평안함을 중요한 요소로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나치게 과하지 않은 정도로 삶에서 한발 물러나 성공적인 노화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노인들이 인식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차원을 살펴본 결과, 일상의 안녕, 효능감, 물리적 안녕, 사회통합, 현실수용 등 5가지 차원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으며, 셋째, 한국노인들의 경우 서구에서 강조하는 효능감 보다 '修身齊家'의 일상의 안녕이 성공적인 노화를 이루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공적인 노화의 차원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에 따라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사회인구학적인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의 상황적인 맥락에 따라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기대에 있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한국 노인들의 지각, 의미 그리고 경험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기대를 예측하고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주체적 노력과 가족 및 친밀한 관계의 의미를 규명하며 한국사회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 맞는 성공적인 노화의 실천적 전략을 구상하기 위해 질적연구를 수행한 결과,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기대에 있어 한국 노인들이 추구하는 성공적인 노화는 하나의 이상형을 가지고 있었고 이는 한국 노인들이 경험한 공통적인 세대적 문화 배경에 따른 영향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전쟁과 그 후 국가 재건을 위한 경제발전을 추구하던 산업화 세대였으므로 한국 노인들이 살아오면서 부여했던 우선적 가치는 경제적 안정을 이루는 것이었고 이에 경제적 안정을 이룬 사람들을 인생에 있어 성공한 사람의 모습으로 인정하고 있었다. 또한 가족중심적 가치관이 강한 한국 노인들은 성공적인 노화를 이루는 요소로 자신의 상황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자녀가 안정적이고 평안한 삶을 살아가는 것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소들이 이루어져 정서적인 안정과 심신의 평안함을 가지고 자신의 상황에서 적정한 타협을 이루며 수용하는 마음가짐을 중요한 미덕으로 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 한국의 노인들이 추구하는 성공적인 노화는 건강과 경제적 안정을 갖추고 있고 마음의 평안함을 가지며 자녀들이 화목한 가정을 이루고 사회적으로 성공한 삶을 살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에게 폐를 끼치지 않는 삶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상적인 모습을 이루는데 있어 어떠한 문제든 긍정적인 마음으로 대응하고 수용하며, 자신의 의지와 노력이 가장 우선적인 요소이고 이에 더하여 가족의 이해와 지지가 필요한 요소임을 제안한다.
  • 영문
  • This study attempts to find the elements and dimensions of Successful Aging for the Korean elderly and to explore intervention strategies in Korean cultural context. The survey and depth-interview on Successful Aging in the life of Korean elderly who were influenced Korean history and culture help to understand the unique expectations of the Korean elderly.
    The survey on the elements of Successful Aging perceived by Korean elderly reveals that : 1) Korean elderly nowadays perceive the important elements of Successful Aging to be 'health', 'relational-orienta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xpect successful aging to keep within compass backed off on their life, 2) the dimensions of Successful Aging were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 ‘peaceful and comfortable life,’ ‘sense of efficacy', 'financial stability', 'social integration', and 'acceptance of own real life', 3) the elderly in the Western cultures lay emphasis on 'sense of efficacy', while Korean elderly consider 'peaceful and comfortable life' as essential dimension of Successful Aging than 'sense of efficacy', and 4) the dimensions of Successful Aging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two agreement-types of Successful Aging. The elderly groups sorted by the type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uccessful Aging of Korean elderly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The Successful Aging and intervention strategi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Korean cultural context and the life of Korean elderly, therefore depth-interview was conducted. The analysis of depth-interview reveal one accorded image which is constituted by five themes of Successful Aging for Korean Elderly : 'health', 'financial stability', 'peace of mind', 'happiness of his/her children', and 'do not impose a burden on others'. And Korean elderly regard 'positive view and acceptance', 'self-reliance', and 'support of family members' as essential strategies to achieve the Successful Aging. It can explore that the concept of Successful Aging and intervention strategies among Korean elderly may reflect the Confucious and Family-centered ideology which has been internalized among Korean people for a hundred of years and historical events like the Korean War and industri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Successful Aging research in the field of gerontology in Korea and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elderly in our aging socie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문화적인 관점에서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요소 및 구성차원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령 한국사회에 적합한 문화적 코드를 지닌 성공적인 노화의 실천방향을 경험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성공적인 노화 이론에 한국 노인들이 동의하는 정도를 검증하기 위해 ‘양적연구’를, 노인들의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기대를 파악하고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주체적 노력과 가족 및 친밀한 관계의 의미를 규명하기 위해, 그리고 한국사회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 맞는 성공적 노화의 실천적 전략을 구상하기 위해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첫째, 한국노인들의 경우 성공적인 노화를 이루는데 있어 건강, 경제적인 안정, 마음의 평안함, 관계지향적인 요소, 자식이 화목하게 잘 사는 것,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노인들의 경우 서구에서 강조하는 효능감 보다 '修身齊家'의 일상의 안녕이 성공적인 노화를 이루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나, 지나치게 과하지 않은 정도로 삶에서 한발 물러나 성공적인 노화를 기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모습은 현 한국노인들이 살아오면서 겪은 시대적, 문화적인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서구의 것과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이상적인 성공적인 노화를 이루기 위해 어떠한 문제든 긍정적인 마음으로 대응하고 수용하는 것과 자신의 의지와 노력이 중요하며, 이에 더하여 친밀한 가족의 이해와 지지가 중요함을 제안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연구결과 :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문화적인 접근을 통해 서구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요소 및 구성차원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령 한국사회에 적합한 문화적 코드를 지닌 성공적인 노화의 실천방향을 경험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한국 노인들이 성공적인 노화의 요소들에 대해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그 동의하는 정도에 대해 살펴보았을 때, 첫째, 한국노인들의 경우 성공적인 노화를 이루는데 있어, 건강, 관계지향적인 요소, 마음적 평안함을 중요한 요소로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나치게 과하지 않은 정도로 삶에서 한발 물러나 성공적인 노화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노인들이 인식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차원을 살펴본 결과, 일상의 안녕, 효능감, 물리적 안녕, 사회통합, 현실수용 등 5가지 차원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으며, 셋재, 한국노인들의 경우 서구에서 강조하는 효능감 보다 '修身齊家'의 일상의 안녕이 성공적인 노화를 이루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공적인 노화의 차원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에 따라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사회인구학적인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의 상황적인 맥락에 따라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기대에 있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한국 노인들의 지각, 의미 그리고 경험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기대를 예측하고 한국사회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 맞는 성공적인 노화의 실천적 전략을 구상하기 위해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기대에 있어 한국 노인들이 추구하는 성공적인 노화는 하나의 이상형을 가지고 있었고 이는 한국 노인들이 경험한 공통적인 세대적 문화 배경에 따른 영향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전쟁과 그 후 국가 재건을 위한 경제발전을 추구하던 산업화 세대였으므로 한국 노인들이 살아오면서 부여했던 우선적 가치는 경제적 안정을 이루는 것이었고 이에 경제적 안정을 이룬 사람들을 인생에 있어 성공한 사람의 모습으로 인정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경제적 안정을 이루기 위해서 가장 중요시되는 요소는 성실과 자신의 강한 의지였으며 이를 뒷받침해줄 수 있는 가족의 이해와 지지가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 나타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공적인 삶을 이루는데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가족중심적 가치관이 강한 한국 노인들은 성공적인 노화를 이루는 요소로 자신의 상황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자녀가 안정적이고 평안한 삶을 살아가는 것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소들이 이루어져 정서적인 안정과 심신의 평안함을 가지고 자신의 상황에서 적정한 타협을 이루며 수용하는 마음가짐을 중요한 미덕으로 삼고 있었다. 따라서 현 한국의 노인들이 추구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모습은 건강과 경제적 안정을 갖추고 있고 마음의 평안함을 가지며 자녀들이 화목한 가정을 이루고 사회적으로 성공한 삶을 살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에게 폐를 끼치지 않는 삶을 살아가는 것을 이상적인 모습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 색인어
  • 성공적인 노화, 문화적인 접근, 중재방안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