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조선후기 북한지역 관방 자료의 군현별 정리 및 군사체계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지원국내외지역
연구과제번호 2003-072-AS1001
선정년도 2003 년
연구기간 3 년 (2003년 09월 01일 ~ 200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강석화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고승희(경인교육대학교)
이선희(중앙대학교)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조선후기 북한지역의 관방자료를 수집하고 정리, 분석하여 각 도별, 군현별 군사방어체계와 군사지리 정보를 정리한 것이다. 북한지역은 중국대륙과 연결되어 외침의 직접적인 대상이 되었기 때문에 이 지역에 대한 국가적 관심은 1차적으로 군사부문에 집중되었다. 따라서 지리 관련 자료도 군사시설, 관방 도로, 군수지원 재정체제 등 관방 관련 자료가 중심을 이루었다. 그러므로 이 지역은 다른 도에 비해 군사관련 자료가 비교적 풍부하게 남아있다.
    본 연구를 통해 연대기, 병서, 개인문집 및 지리지와 고지도에 수록된 관방관련 자료를 종합적으로 수집한 후 이를 군현별로 정리하였다. 여러 종류의 사료에 단편적으로 실려 있는 관방관련 자료를 수합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하고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세 가지 정보를 집중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첫째, 각 군현의 주요한 관방시설, 둘째, 청나라 및 각 도와 군현의 군사요해지와 연결되는 주요 관방 도로, 셋째 지역별 관방대책에 관한 논의와 실제 시행 여부 등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연구책임자와 공동연구원들은 매년 한 차례씩 연구발표회를 실시하여 연구 성과를 점검하였다. 이 때 발표한 글은 토론과 보완, 수정을 거쳐 연구논문으로 완성하였으며 심사를 거쳐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문화연구원에서 간행하는 학술지『한국문화』에 매년 수록하였다.
    1차 연도(2003년 9월 - 2004년 8월)에는 평안도지역의 관방자료를 수집, 정리하였고, 2차 연도(2004년 9월 - 2005년 8월)에는 함경도 지역의 관방자료 정리와 지역 방어체제의 특징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3차 연도(2005년 9월 - 2006년 8월)에는 황해도 지역의 관방 자료 정리와 지역 방어체제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각 군현을 기준으로 자료를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도의 전체적인 관방체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구체적인 실상에 대한 확인이라는 미시적 분석과 아울러 한 지역 전체의 사정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거시적 접근을 동시에 수행한 것으로 지역사연구의 새로운 틀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 평안도, 함경도, 황해도 3개도의 조선후기 관방체계 및 국방대책, 군사운용의 여건과 실태에 대한 기본적인 자료 수집과 번역, 정리가 이루어졌다. 자료는 도단위, 군현단위로 분류하였고 자료의 성격을 알려주는 주제어를 붙여 손쉽게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범용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을 사용한 D/B화 전단계까지 작업을 수행하였다.
  • 영문
  • The defense system of Pyeongan Province(平安道) in late Joseon was made up with Yalu River line, Jeokyuryeong(狄踰嶺) mountains line and strategic points. In case of Ching China's invasion, the officers of Yalu riverside fortresses had to renounce their own point and support the strategic point in early-17th century. But after 1678, officers could hold their fortresses, because the riverside fortresses were reinforced and the number of soldiers was increased in mid-17th century. In 18th century, after the treaty of 1712, the possibility of war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individual or small group violation of the border became more important issue. To protect violation, the riverside guard posts from Ganggye to Uiju county were increased to 230. One officer and 2~10 soldiers were arranged per one post. In late 18th and early 19th centuries, the cultivation and residence in the area of Four Abolished Outposts was permitted and the guard posts became the base of local reclaim and development.
    There were 6 counties along the Duman river in Hamkyeong Province. The defence system of these counties was made up with guard posts, beacon fire and supporting system - crossing support between forts and support from southern Provinces. About 25 thousands farm soldiers, consisted with infantries and cavalry, were resided in these counties, they had trained in archery, gunshot and battle formation regularly. The bravery and fighting ability of them were well-known all over the country. 70 guard posts were arranged along the riverside and one officer and two soldiers were posted in each. They had to observe the opposite site, announce an alarm and prohibit the violation of the border. In the winter, northern army commander of Hamkyeong Province(Bukbyeongsa) had been stationed at temporary headquarter (Haengyoung) in Jongseong - the center of 6 counties - to provide against invasion. In late Joseon Dynasty, the possibility of conflict was decreased, but alert and military drills didn't become relaxed, because these counties were northern forefront bases of Joseon.
    To prevent the invasion from Yellow Sea, new coast bases and guard posts had been established, and battle ships and patrol men, cavalry had been arranged. But, in late 18th century, the possibility of war had decreased, on the other hand, smuggling between Korean and Chinese were increased. In 19th century, the Yellow Sea had become the place of private foreign trad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조선후기 북한지역의 관방자료를 수집하고 정리, 분석하여 각 도별, 군현별 군사방어체계와 군사지리 정보를 정리한 것이다. 북한지역은 중국대륙과 연결되어 외침의 직접적인 대상이 되었기 때문에 이 지역에 대한 국가적 관심은 1차적으로 군사부문에 집중되었다. 따라서 지리 관련 자료도 군사시설, 관방 도로, 군수지원 재정체제 등 관방 관련 자료가 중심을 이루었다. 그러므로 이 지역은 다른 도에 비해 군사관련 자료가 비교적 풍부하게 남아있다.
    본 연구를 통해 연대기, 병서, 개인문집 및 지리지와 고지도에 수록된 관방관련 자료를 종합적으로 수집한 후 이를 군현별로 정리하였다. 여러 종류의 사료에 단편적으로 실려 있는 관방관련 자료를 수합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하고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세 가지 정보를 집중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첫째, 각 군현의 주요한 관방시설, 둘째, 청나라 및 각 도와 군현의 군사요해지와 연결되는 주요 관방 도로, 셋째 지역별 관방대책에 관한 논의와 실제 시행 여부 등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연구책임자와 공동연구원들은 매년 한 차례씩 연구발표회를 실시하여 연구 성과를 점검하였다. 이 때 발표한 글은 토론과 보완, 수정을 거쳐 연구논문으로 완성하였으며 심사를 거쳐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문화연구원에서 간행하는 학술지『한국문화』에 매년 수록하였다.
    1차 연도(2003년 9월 - 2004년 8월)에는 평안도지역의 관방자료를 수집, 정리하였고, 2차 연도(2004년 9월 - 2005년 8월)에는 함경도 지역의 관방자료 정리와 지역 방어체제의 특징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3차 연도(2005년 9월 - 2006년 8월)에는 황해도 지역의 관방 자료 정리와 지역 방어체제에 대해 연구하였다.
    발표된 논문의 제목과 수록학술지는 다음과 같다.
    1차년도 연구성과
    강석화, 2004 「조선후기 평안도지역 압록강변의 방어체계」『한국문화』34
    고승희, 2004 「조선후기 평안도지역 도로 방어체계의 정비」『한국문화』34
    노영구, 2004 「조선후기 평안도지역 내지 거점방어체계」『한국문화』34
    2차년도 연구성과
    강석화, 2005 「조선후기 함경도 육진지역의 방어체계」『한국문화』36
    고승희, 2005 「조선후기 함경도 내지진보의 변화」『한국문화』36
    노영구, 2005 「조선후기 함경 남도 간선 방어체계」『한국문화』36
    3차년도 연구성과
    강석화, 2006 「조선후기 황해도 연안 방위 체계」『한국문화』38
    고승희, 2006 「조선후기 황해도 내지 방어체계」『한국문화』38
    이선희, 2006 「조선후기 황해도 수영의 운영」『한국문화』38
    본 연구는 각 군현을 기준으로 자료를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도의 전체적인 관방체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구체적인 실상에 대한 확인이라는 미시적 분석과 아울러 한 지역 전체의 사정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거시적 접근을 동시에 수행한 것으로 지역사연구의 새로운 틀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 평안도, 함경도, 황해도 3개도의 조선후기 관방체계 및 국방대책, 군사운용의 여건과 실태에 대한 기본적인 자료 수집과 번역, 정리가 이루어졌다. 자료는 도단위, 군현단위로 분류하였고 자료의 성격을 알려주는 주제어를 붙여 손쉽게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범용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을 사용한 D/B화 전단계까지 작업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이미 3차례 연구발표회를 열었고 9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조선후기 북한지역 국방체계 전반에 관한 기본 사료를 수집, 번역, 정리하였다. 소수 정예 전문인력을 집중 투입하여 이루어진 본 연구의 성과는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은 연구 가운데 가장 우수하고 유용한 것이라 평할 수 있을 것이다.
    조선후기 북한지역의 군사관련 주제는 물론 지역사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는 본 연구팀에서 발표한 연구업적을 통해 기본적인 상황을 이해할 수 있고 번역하고 읍별로 정리한 자료를 이용하여 핵심적인 내용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본 연구팀에서 정리하고 번역한 자료들은 대단히 유용한 1차 자료의 성격을 지니며, 역사학을 비롯하여 지리학, 경제학 등 지역관련 연구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조선후기 북한지역사 연구의 가장 기본적인 출발점이 될 것이며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북한지역 연구의 필수적인 자료가 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이미 3차례 연구발표회를 열었고 9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조선후기 북한지역 국방체계 전반에 관한 기본 사료를 수집, 번역, 정리하였다. 소수 정예 전문인력을 집중 투입하여 이루어진 본 연구의 성과는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은 연구 가운데 가장 우수하고 유용한 것이라 평할 수 있을 것이다.
    조선후기 북한지역의 군사관련 주제는 물론 지역사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는 본 연구팀에서 발표한 연구업적을 통해 기본적인 상황을 이해할 수 있고 번역하고 읍별로 정리한 자료를 이용하여 핵심적인 내용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본 연구팀에서 정리하고 번역한 자료들은 대단히 유용한 1차 자료의 성격을 지니며, 역사학을 비롯하여 지리학, 경제학 등 지역관련 연구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조선후기 북한지역사 연구의 가장 기본적인 출발점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역사학, 지리학 등 학문적 측면만이 아니라 실용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군현별로 정리된 문헌지리 정보는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북한지역 연구의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현재 북한지역에 대한 연구는 지리적인 접근의 한계로 인하여 북한지역 전체를 하나로 놓고 분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북한지역은 서쪽의 평안도, 황해도지역과 동북방의 함경도지역 사이에 서로 다른 지형적 특성을 보이며, 이에 따라 양 지역 주민의 생활방식이나 역사적 경험이 상이한 이질적인 지역이다. 따라서 각 지역에 대한 기본적인 지리 및 군사관련 정보를 군현 단위와 도 단위로 정리한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북한지역 연구를 보다 구체적으로 심화시킬 수 있다.
  • 색인어
  • 평안도, 방어체계, 파수처, 진보, 압록강, 강계부, 도로방어체계, 직로, 영로, 행성, 거점방어, 평양, 안주, 영변, 구성, 함경도, 육진, 두만강, 행영, 파수, 봉수, 내지진보, 번호, 방어선, 지역개발, 강변지역, 함흥, 마천령, 철령, 방어체계, 황해도, 황해해방, 연안방위, 밀교역, 전선, 요망처, 추포무사, 황해병영, 영애방어, 태백산성, 청석동,분방, 해방, 황해수영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