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해방 후 해외 한인의 미귀환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지원심화연구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5-079-AM0009
선정년도 2005 년
연구기간 3 년 (2005년 09월 01일 ~ 200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장석흥
연구수행기관 국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여성구(국민대학교)
채영국(인하대학교)
신주백(성공회대학교)
김승일(동국대학교)
최계수(국민대학교)
조용욱(국민대학교)
손염홍(홍익대학교)
김도형(독립기념관)
김춘선(延邊大學)
염인호(서울시립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미귀환'이란 말 그대로 '귀환'의 대칭 개념으로서, 일제 강점기 해외로 나갔던 한인이 해방 후 국내로 돌아오지 못하거나 않은 것을 말한다. 미귀환 한인 중에는 조국으로 돌아오고 싶었으나 오지 못한 사람이 대부분이었다. 물론 그 가운데는 개인 및 현지 사정 등으로 돌아오지 않은 사람들도 있었다. 그런데 미귀환 문제는 살아있는 사람만으로 그치지 않았다. 일제 침략전쟁에 동원되어 해외로 끌려갔다가 희생당해 돌아오지 못한 사람도 많았기 때문이다. 그 규모를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이무렵 희생당한 사람은 적어도 7,80여 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게 볼 때 해방 후 '미귀환자'는 살아있던 사람 2백 50여 만명에 희생당한 사람 7,80여 만명을 포함하여 대략 3백 2,30여 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해방 직후 '귀환'과 '미귀환'으로 엇갈린 해외 한인의 문제는 식민지배의 질곡과 전후처리 과정에서 열강의 이익이 최우선된 국제정세의 소용돌이 속에서 복잡다기한 양상을 띠고 있었다. 그런데 '귀환'은 어쨌든 돌아왔다는 점에서 역사의 귀결점을 이루고 있으나, '미귀환'은 아직도 끝나지 않은 역사라는 점에서 여전히 현재진행형의 민족적 과제로 남아 있다.
    '미귀환'은 '귀환'과 동전의 양면처럼 불가분의 관계를 이루고 있다. 때문에 미귀환문제는 귀환 문제의 후속 연구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한인의 미귀환 문제는 역사적으로나 민족적으로나 국제적으로나 아직도 해결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중요성과 시의성에서 더욱 절실히 제기되는 과제라 하겠다.
    해방 당시 중국에서는 230여 만명의 한인 가운데 8,90여 만명만이 국내로 돌아오고, 140여 만명이 중국 국민당·공산당의 정책에 따라 현지 정착의 길을 걸어야 했다. 일본에서도 200여 만명 가운데 140 만명이 귀국한 뒤 60여 만명의 한인이 조국의 땅을 밟을 수 없었다. 구소련에서는 20여 만명의 한인이 중앙아시아로 강제로 이주당한 후 거주 이전의 자유가 엄격히 제한되었으며, 5만여 명의 사할린 한인은 구소련의 강제억류 정책에 의해 조국으로 돌아오는 길이 원천 봉쇄되었다.
    주지하듯이 이들 해외 한인의 대부분은 식민지시기 일제 침략전쟁에 강제연행되거나 식민수탈에 못이겨 고향을 등진 사람들이었다. 따라서 자유 의지에 따라 해외로 이주한 것과는 그 역사성을 달리하고 있었다. 때문에 2차대전 전후 처리를 위한 포츠담선언 제9항에서도 명시했듯이, 해외 한인이 조국으로 귀환하는 것은 인도주의적 원칙에서도 마땅한 일이었다. 일제 패망으로 해방을 맞이했으나 조국이 독립국가를 건설하지 못한 상황에서, 해외 한인의 지위는 국제적 미아나 다름없었다.
    이렇듯 해방 당시 해외 한인은 중국·일본·구소련·동남아·미국 등지의 세계 각처에 산재해 있었다. 그리고 이들 해외 한인의 자취는 일제 식민지지배와 침략전쟁의 산물로 남겨진 민족수난을 대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일제가 패망한 뒤에도, 이들 가운데 절반은 결국 조국으로 돌아올 수 없었다. 전후 새롭게 형성된 국제정세 속에서 이들은 해당 국가의 이해에 따라 억류되거나 예속되어야 했다. 그것은 또다른 민족수난사의 시작이었다. 그리고 이들이 돌아오지 못하는 원인도 다양했다. 이러한 미귀환 한인의 숙명적 수난은 단지 민족적 기준 뿐아니라 인도주의적 차원에서도 반드시 해명되어야 할 역사적 과제이다.
    본 연구 과제에서는 그러한 문제들을 실증적이고 심층적으로 점검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목표를 수행하고자 한다.
    1) 해방 후 2백 5십여 만명의 한인이 왜 해외에 남겨져야 했던가를 역사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2) 오늘날 중국·일본·러시아 등지에 형성된 해외한인사회의 역사적 원형과 그 본질성을 찾고자 한다.
    3)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해외 한인의 희생을 발굴하고, 그 역사적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
    4) 식민지지배의 미청산 문제를 해명하는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해외 한인의 미귀환 문제는 한국근현대사에서 아직까지 그 실상도 파악되지 않은 우리민족의 수난사이다. 더욱이 이 문제는 해방 후 지금까지 미해결상태로 남아 있는 역사적 과제이다. 그러므로 미귀환이 지니는 역사성을 밝히는 연구야말로 과거사 청산을 위한 학문적·사회적·교육적 연구의 기본적 토대가 될 것이다.
    미귀환 문제가 갖는 성격상 역사학 분야뿐만 아니라 관련학문과 연계해서 연구 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분야이다. 따라서 본 연구팀은 학제간 연대를 통해 미귀환 연구의 저변을 확대시키는데 노력할 것이다. 해외 한인의 미귀환 문제는 해외동포사회의 형성의 원인으로 인류학·정치학·법학·행정학·사회학·국제지역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성과는 이들 관련학문 분야의 연구를 촉진시켜 관련학문 분야의 발전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1) 일제 식민지배에서 비롯된 인권 유린을 종합적으로 규명하는 기초를 마련한다.
    2) 해외 한인사회의 실상을 복원하고 역사성을 규명한다.
    3) 희생 한인의 사례를 발굴하여, 민족의 수난사를 정확히 알린다.
    4) 미귀환 문제의 학문적 기반 조성한다.
    5) 신진 연구인력을 양성한다.
    6) 연구 교류를 통하여 연구 역량을 강화시킨다.
    미귀환 한인들은 세계 각처에 한인사회를 형성하였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곳이 중국·일본·러시아 등지의 한인사회다. 이러한 해외 한인사회는 그 지역의 성격에 따라 형성 시기와 사회적 조건이 각기 달랐다. 역사학, 사회학, 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해외 한인사회를 다룬 연구 성과가 양적이나 질적인 면에서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으나, 해방 직후 민족의 대이동이라 할 수 있는 귀환·미귀환 문제에 대해서는 간과한 바 적지 않다. 해외 한인사회는 해방 직후 귀환·미귀환 등으로 인하여 격동을 겪어야 했다. 그것은 단지 인구 이동 및 변동의 문제에 그치지 않았다. 그리고 현지 정착하는 과정에서 해외 한인사회의 성격도 크게 변화되어 갔다. 예컨대 중국의 경우, 식민지시기 '한인'에서 해방 후 '중국인 조선족'으로 살아가야 했던 것은 그러한 사실을 단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때문에 오늘날 한인사회의 역사적 성격을 밝히기 위해서라도 해방 후 미귀환 문제는 반드시 선결되어야 할 과제인 것이다.
    미귀환 문제 가운데 한인의 희생은 돌아오지 못한 경우에 포함시켜 보아야 한다. 해방 직후 일본군에서 작성했다는 '유수명부(留守名簿)'에 의하면, 20여 만명 이상의 한인이 '행방불명'으로 처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한인이 희생당한 사례의 일부에 불과할 뿐이다. 해외 한인의 희생은 알려진 것보다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것이 더 많다. 본 연구팀은 중국·일본·동남아·러시아 등지에서 희생당한 사례를 발굴하여 역사의 진실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팀이 발굴 가능성을 가지고 조사하려는 대상인 중국 동북지역의 탄광·광산 등지의 '萬人坑' 등은 아직 우리 학계에 전혀 알려지지 않은 것이기도 하다. 특히 연변 일대에 산재한 만인갱에는 수만명이 일본군에 의해 학살된 채 매장되어 있으며, 이 중 한인의 희생도 적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변지역은 19세기 후반부터 한인에 의해 개척된 곳이었다. 그리고 중국의 해방 이후 조선족자치구역이 되고 있는 곳이다. 그러한 지역에서 만인갱이 존재하고 있다면, 반드시 한인의 희생이 컸던 곳으로 지목하지 않을 수 없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팀은 미귀환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와같은 만인갱의 실체도 규명하려고 한다. 또한 중국 해남도 지역의 '천인갱'·'만인갱' 역시 해명되어야 할 과제이다.
    일본은 지금까지도 이러한 사실을 은폐하면서 역사의 진실을 호도하고 있다. 근래 과거사 청산의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지만, 그를 뒷받침할 학술적 토대는 여전히 미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팀은 해방 당시 해외 한인이 처해야 했던 미귀환의 관점에서 일제 식민지지배의 모순을 극명하게 밝혀내고자 한다.
  • 연구요약
  • 해방 당시 중국·일본·구소련·대만·동남아·중부태평양 등지에 있던 해외 한인은 5백만명은 당시 한국 인구의 5분의 1에 해당되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들 가운데 절반 이상이 어떠한 이유로든지 돌아오지 않거나 못하였다. 여기에 7,80여 만명의 희생자까지 포함하면, '미귀환' 한인의 규모는 당시 한국인 여덟사람 가운데 한사람에 해당되는 것이었다. 그 엄청난 규모도 그렇지만, 보다 본질적인 것은 '미귀환' 문제가 한국근현대사의 아픔과 시련을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는 점일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 사회에서는 오랫동안 '미귀환'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였다.
    해방 당시 해외 한인의 최대 현안 과제는 '귀환'과 '미귀환'의 문제였다. 그것은 식민지지배의 청산을 위한 최대 과제이기도 했다. 귀환문제가 '마땅히 돌아와야 한다'는 시각에서 접근하는 것이라면, 미귀환 문제는 단순히 돌아오지 못한 것에 그치지 않고, 돌아오지 못했다면 '왜 돌아오지 못했는가' 또는 '왜 돌아오지 않았던가'하는 문제까지 포함하여 규명해야 할 과제이다.
    미귀환의 원인도 지역에 따라, 이주 시기에 따라, 세대별에 따라 각기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살필 수 있다. 강제 억류된 구소련지역을 제외하고는 중국이나 일본처럼 한인사회가 발달한 곳에서는 '돌아오지 않은' 사람들도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중국지역에서는 토지분배를 받은 한인 가운데 귀환하지 않고 현지에서 정착하는 사례도 적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분단 및 냉전체제의 고착이라는 국내외 정세를 예측하지 못한 채 조국은 언제나 돌아갈 수 있는 곳으로 여겨 귀환을 미루다가 끝내 돌아오지 못한 사례도 있었다. 반면에 일본에서는 연합군총사령부나 일본정부에서 1천엔이라는 일정액의 지참금만을 허용했던 정책으로 인하여 현지의 경제적 기반을 버리고 떠날 수 없어 귀환을 포기한 사람도 적지 않았다. 이밖에도 미귀환 사례는 일일이 지적하기 어려울만큼 다양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때문에 미귀환의 원인과 배경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귀환'의 대칭적 차원에서의 시각뿐아니라, 보다 다양하고 심화된 문제 의식을 요구하고 있다. 아울러 '미귀환'의 문제는 '귀환'과 달리, 해외 한인사회의 형성 뿌리를 찾는다는 측면에서도 매우 귀중한 의미를 지니고 있기도 하다. 해방 직후 해외 한인의 향방은 자신의 의지보다 미국·중국·일본·소련 등 해당국의 정책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았다. 일제의 패망으로 해방을 맞이하였지만, 대부분의 해외 한인은 해방국의 '자유인'이 되지 못하였다. 사할린지역에서 보듯이, 사할린의 일본인은 일본과 소련의 외교 협상을 통해 자국으로 돌아갈 수 있었지만, 한인은 소련의 강제노동정책에 따라 조국으로 돌아올 수 없었다. 이들 한인이 사할린에 강제로 끌려갈 때는 '일본인'의 신분이었지만, 패전 후 일본에 의해 '일본인' 자격을 상실하면서 무국적의 국제미아가 되었던 것이다.
    최근 발굴한 미국무부 자료에 의하면, 미국은 일제 패망 전부터 해외 한인 문제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소위 '동아시아 평화체제'의 구축이라는 명분아래 만주지역 2백 20여 만명의 한인에 대한 '귀환'을 반대하고 있었으며, 반면에 2백만명에 달했던 일본지역 한인에 대해서는 대부분을 '귀환'시켜야 한다는 정책을 취하였다. 이러한 미국의 정책은 만주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한인이 필요하다는 것, 또한 일본의 질서 유지를 위해서는 일본에서 한인을 내보내야 한다는 판단에서 비롯되었다. 즉 미국은 해외 한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상당수를 만주 등지에 잔류시키는 것을 일찍부터 고려하고 있었다. 그것은 해외 한인의 인권을 무시한 강제적 정책이었고, 비인도적 처사에 다름아니었다. 역설적이지만, 오늘날 연변과 만주 등지에서 2백여 만명의 해외 한인사회가 형성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그와같은 미국 정책에 영향받은 바 큰 것이었다.
    아울러 남북분단과 냉전체제의 현실도 해외 한인의 문제를 더욱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소련이나 중국 공산당 등과 같은 공산권에서는 한인의 귀환이 원천적으로 봉쇄되거나 제한적으로 이뤄질 수밖에 없었다. 이렇듯 해외 한인의 처지는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새롭게 재편되는 국제사회의 환경에서 결정되어지고 있었다. 그런 점에서 미귀환 문제는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의 기본틀에서 종합적으로 규명되어야 할 과제이다.
    해외 한인은 어디에서든지 비인도적 처우와 함께 국제적 불이익을 받는 수난을 겪어야 했다. 그런 가운데 해외 한인의 처지 역시 해당 국가의 상황에 따라 달랐다. 때문에 미귀환이 안고 있는 문제를 밝히기 위해서는 나라별로 미귀환 사례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를 다시 지역별로 세분해 보아야 할 것이다.
    중국의
  • 한글키워드
  • 해외한인사회,구술조사, 광산노동자,해방,과거사 청산,국적문제,강제이주,정착, '미귀환자 명부',만인갱,흥생회, 대만한교협회, 한인마을,강제연행,일본군 '위안부', 태평양,시베리아,2차대전,임시수용소,전후처리,아리랑마을 ,희생,학살,천인갱,동화정책,잔류, 재일 한인,조선족,수복구, 한국교민협회,연합군총사령부,미국무부,일본,사할린,만주,중국국민당, 중국공산당,소련,포로,억류,국공내전, 미얀마, '過去帳' 우키시마마루사건,이중국적,귀환,미귀환,해남도,해방구
  • 영문키워드
  • Siberia,Soviet Russia,Japan,Manchuria,China,GHQ,Repatriation,In-repatriation,The Arirang village ,Kuomintang-Communist cooperation,The World War Ⅱ,A duplication nationality,The overseas koreans association,An oral statement investigation,A liberation,The nationality problem,A compulsion emigration,A sacrifice,The Department of State,Sakhalin,A emergency asylum,A detention,A slaughter,The Maningang(萬人坑),An in-repatriationer list,A compulsion taking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해방 당시 250만 명에 달했던 해외 한인의 미귀환 문제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동안 해외 한인의 ‘미귀환’ 문제는 학계에서 오랫동안 공백으로 남아 있었다. 일제 식민지 통치로 인해 발생한 해외 한인의 미귀환 문제는 일제 패망 후 무엇보다 선결해야 할 민족적, 역사적 과제였다. 그러나 구소련, 중국, 일본, 동남아 등지에 있던 한인은 새롭게 재편된 국제정세 아래 또 다른 수난을 겪어야 했다.
    전임연구원 5명, 공동연구원 6명, 연구보조원 11명 등 22명으로 구성된 본 연구팀은 연구기반을 조성한다는 목표아래 문헌자료수집, 구술자료수집, 학술연구 등을 수행하였다.
    문헌자료수집은 국내에 소장되어 있는 자료는 물론, 해외 각처에 산재한 자료들을 중국, 일본, 대만, 러시아 등의 현지 연구자 및 연구기관의 협조를 받으며 수집한 바 있다. 그 결과 1차 문헌사료 447건(폴더) 76,284매, 신문 17종 15,500매, 저서 625권, 논문 259편 등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들을 주제 및 지역별로 분류, 정리하여 총 6권의 자료집 간행을 준비하고 있다. 문헌자료의 수집과 병행하여 강제동원관련 유적지와 귀환항의 현장 조사도 실시하여, 미귀환의 실체를 밝히는 데에도 노력하였다.
    구술자료수집은 국내와 국외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국외의 구술조사는 크게 지역별로, 중국, 일본, 사할린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국내의 경우 사할린동포 중에 최근 영주 귀국한 분들이 거주하고 있는 ‘인천사할린동포복지회관’, ‘고령 대창양로원’, ‘춘천 사랑의 집’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중국 지역은 연변대 민족역사연구소와의 협조 하에 미귀환 생존자 170명에 대한 증언 녹취를 실시하였다. 대만 거주 2명, 일본 거주 31명, 사할린 거주 9명의 증언 녹취도 실시하였다. 그리고 영구귀국한 국내 거주 사할린동포 41명과 귀환생존자 9명의 증언도 수집하는 등 3년간 총 262명의 증언을 녹취하였다.
    학술연구는 연구논문의 발표 및 학술심포지엄, 세미나, 워크숍 개최 등의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3년간 총 13회의 학술세미나를 개최하였고, 이를 통해 학문적 깊이를 심화시키고 범위를 확대시켜 왔다. 학술세미나에는 본 과제의 공동연구원 뿐 아니라 연구보조원 및 석박사 과정의 대학원생, 일반인 등이 다수 참가하였다. 워크숍은 연 1회씩 3년간 모두 3회의 워크숍을 실시해 총 30편의 주제 발표가 있었다. 특히 학술심포지엄은 이 분야 연구의 기초 및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여 총 3회 21개 주제의 연구논문을 발표하였다. 학술연구는 일제 패망으로 해방을 맞이했으나 분단과 냉전체제의 고착으로 희생된 해외 한인의 역사상을 복원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동아시아의 정세 및 해당국의 정책을 통해 한인의 미귀환의 원인과 실태를 파악하여 해외 한인사회의 정체성을 규명하였다.
    지금가지 총 12편의 학술논문을 한국 근현대사 관계 주요 학회지에 등재하였고, 제3차년도 과제는 2009년 6, 8월 발간 예정인 학술지에 10편의 논문이 게재될 예정이다. 이상의 22편의 논문과 8편의 후속 연구를 모아 ‘미귀환문제 연구총서’의 간행을 추진하고 있다. 2권으로 계획하고 있는 연구총서는 가칭 ≪제1권, 중국지역 한인의 미귀환과 정책≫, ≪제2권, 일본, 사할린지역 한인의 미귀환과 국제정세≫ 등으로 2010년 6월 경에 발간할 예정이다.
    본 연구 과제는 학계 뿐아니라 사회에서도 주목을 받지 못한 분야였다. 그러나 본 연구 수행 과정에서 학술대회, 언론 매체 등을 통해 학계는 물론 일반에게도 알려지게 되었다. 또한 근래 부상하고 있는 ‘과거사 청산’과 관련하여 ‘미귀환’ 문제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본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배출한 10명의 석사 및 박사 과정 신진연구인력은 향후 미귀환문제 연구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 영문
  • A Summary Report of the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has been to investigate the In-repatriation of the 2.5 million Koreans who resided overseas at the time of the independence. The question regarding the repatriation has failed to attract scholarly attention for a long time. The return of those Koreans who were forced to reside overseas due to the Japanese colonial rule was one of the most urgent national, historical problems that had to be resolved right after the collapse of the Japanese imperial rule. Many Koreans who were in such countries as the Soviet Union, China, Japan, and in diverse regions in Southeast Asia, however, had to endure a variety of difficulties in a new, changing environment of international politics that emerged following the end of WWII, and only two and a half million Koreans could manage to return to their homeland.

    In order to lay groundwork for the study of the In-repatriation, our research team have not only collected numerous (1)literary and (2)oral sources and but also conducted (3)a series of scholarly inquiries related to the issue.

    (1) We have collected diverse literary sources located in China, Japan, Taiwan, Russia and US as well as in Korea.

    (2) The collection of the oral sources has involved the recording of the testimonies from 262 surviving repatriates. We plan publishing these sources within a year in the same format that we already did the written sources.

    (3) We have had 12 seminars and 3 workshops altogether, and based upon these held 3 full-scale scholarly conferences in Korea and abroad where 21 papers were read. Over the three years of research 22 papers were published in various scholarly journals. We will be published in two separate volum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과제는 한국근현대사에서 미개척 분야인 해방 후 해외 한인의 미귀환문제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해방 당시 중국, 일본, 구소련, 대만, 동남아, 중부태평양 등지에 있던 해외 한인은 5백만명에 달했다. 주로 일제 강점기에 해외로 나간 이들은 해방과 함께 절반에 해당하는 250여 만명 정도만이 귀환하고, 나머지는 해외에 그대로 머물고 말았다. 본 과제에서는 이들 250만 명에 달한 해외 한인이 겪어야 했던 미귀환문제의 역사적 실체 및 성격을 규명한다는 목표아래 구술자료, 문헌자료수집, 학술연구 등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했다.
    구술자료 조사는 국내와 국외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중국 지역은 연변대 민족역사연구소와의 협조 하에 미귀환 생존자 170명에 대한 증언, 녹취를 실시하였다. 대만 거주 2명, 일본 거주 31명, 사할린 거주 9명의 증언 녹취도 실시하였다. 그리고 영구귀국한 국내 거주 사할린동포 41명과 귀환생존자 9명의 증언도 수집하는 등 3년간 총 262명의 증언을 녹취하였다.
    문헌자료수집은 크게 국내와 국외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국내는 기관별 소장 자료의 수집, 국외는 관련 지역을 구분하여 연차적으로 진행하였다. 국내 문헌자료 수집은 해방 전후 시기 각종 신문·잡지 등과 미귀환자들에 대한 구호활동관련 문서 및 미귀환 당사자들의 증언록 등을 수집하였다. 국외 문헌 자료 수집은 귀환자들에 대한 해당국의 정책, 태평양전쟁 승리 당사자인 연합국의 귀환정책 및 지원활동, 귀환과정에서 발생한 개별적 사례 등을 중점적으로 수집하였다. 그 결과 일본 · 중국 · 대만 · 미국 등에서 1차 문헌사료 389건(폴더) 51,284매에 달하는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외에도 신문 17종 15,500매, 저서 625권, 논문 259편 등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들을 주제 및 지역별로 분류 · 정리해 총 6권의 자료집 간행을 준비하고 있다.
    학술연구는 연구논문의 발표 및 학술심포지엄 · 세미나 · 워크숍 개최 등의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특히 학술심포지엄은 이 분야 연구의 기초 및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여 총 3회 22개 주제의 연구논문을 발표하였다. 학술연구는 일제 패망으로 해방을 맞이했으나 분단과 냉전체제의 고착으로 희생된 해외 한인의 역사상을 복원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동아시아의 정세 및 해당국의 정책을 통해 한인의 미귀환의 원인과 실태를 파악하여 해외 한인사회의 정체성을 규명하였다. 지금까지 발표된 22편의 논문과 8편의 후속 연구를 모아 ‘미귀환문제 연구총서’의 간행을 추진하고 있다. 2권으로 계획하고 있는 연구총서는 참여 연구원의 교정과 보완 등을 통해 각 권별로 독립된 저서의 형태를 띠게 될 것이다. 1권의 제목은 가칭 ≪제1권, 중국지역 한인의 미귀환과 정책≫, ≪제2권, 일본 · 사할린지역 한인의 미귀환과 국제정세≫ 등으로 2010년 6월경에 발간할 예정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 성과
    (1) [미귀환자료총서], [구술자료총서] 및 [미귀환학술총서]를 간행하고자 한다.
    미귀환 관련 문헌 및 구술자료는 식민지시기 국외 이주했거나 일제에 의해 강제동원되어 현재까지 해당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해외 한인의 뿌리를 밝힐 수 있는 자료들이다. 이들 총서는 한국근현대사에서 아직 미개척분야인 ‘미귀환’ 연구분야에 대한 연구기반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며, 동시에 이 분야 연구에 대한 많은 연구자의 관심을 공론화시키는데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생각된다.

    (2) 학제간 연대 연구를 심화시켰다.
    본 연구팀은 3년동안 ‘미귀환’ 연구를 진행하며 법학 · 사회학 · 인류문화학 · 정치학 · 국제지역학 등의 연구자들과 연대하며 연구를 수행해 왔다. 동시에 일본, 중국, 대만 등의 학자들과 공동연구 방법을 모색하기도 했다. 이러한 학제간 연구와 국제 학술교류는 본 연구소의 연구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을 뿐아니라 향후 학계, 사회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자산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3) 신진 연구인력을 양성하는데 노력하였다.
    본 연구팀은 미귀환 문제를 수행하면서 박사학위자(1명), 박사과정생(3명) 및 석사학위 및 석사과정생(6명)을 배출하였다. 이들은 연구 기간 동안 10여 편의 관련 연구를 발표하고 여러 학술대회에 토론자로 참여하여 이 문제들에 대한 지식을 심화시켜 갔다. 이러한 수준에 이르기까지 자료수집과 구술자료 녹취, 현장 답사 및 현지인과의 대화 등 여러 가지 경험을 했고, 이렇게 해서 모인 자료들을 정리하고 선별하는 면에서도 많은 경험과 노력을 축적했다.


    2. 향후 활용방안
    (1) 외교문제의 기본 자료로써 활용토록 한다.
    학술연구의 성과는 물론 그동안 수집된 많은 문헌 및 구술자료를 정부 및 민간 외교 단체에 공개하여 미귀환자들에 대한 대외 교섭 시의 기초자료로써 활용토록 할 것이다. 본 연구팀이 그동안 거둔 연구 성과와 수집자료는 향후 해방 후 미귀환 한인 또는 식민지시기 피해 한인에 대한 보상 등의 문제를 두고 당해국과 교섭을 할 때 긴요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기념관 및 자료관 설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토록 한다.
    인천시의 주관으로 건립된 ‘이민사박물관’은 본 연구팀이 수행한 연구결과 및 자료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향후 한민족을 묶어주는 필수적인 기관이라고 판단되는 「해외동포기념관」 또는 「재외동포자료관」 등이 계속해서 건립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팀에서 배출한 신진 연구자들은 향후 이들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을 것이다.

    (3) 중 · 고등학교 교과서에 반영되어 복원된 한국사 교육에 활용되도록 한다.
    현행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는 한국근현대사 교과목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다. 현행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에서는 본 연구에서 심화되고 체계화된 「미귀환 한인사」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민족적 과제이자 한국현대사의 수난사인 ‘미귀환’ 문제는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매우 중요한 문제로, 본 연구팀은 이러한 미귀환 문제가 자라나는 청소년들도 알 수 있도록 한국근현대사 교과서 등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4) 민족교육서를 간행하여 해외동포사회에 제공토록 한다.
    해외 한인 1세대들은 점차 줄어들어 이제 만나보기 어렵게 되었다. 그런 가운데 현지에서 태어나고, 그곳에서 교육을 받고 자란 2~4세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잃고 현지 사회에 거의 동화되어 가고 있다. 우리는 앞으로 이들에게 자신들의 뿌리가 무엇인지 알고, 한민족의 후손으로써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본 연구팀의 연구성과물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민족교육서」를 간행할 필요가 생각하여 이를 준비하고 있다.

    (5) 한민족공동체의 필요성을 홍보한다.
    앞으로의 국제환경에서 경쟁과 충돌은 계속될 것이고, 세계 각국은 보호주의적 경향을 강화할 것이다. 이를 극복하는데 가장 필요한 것이 바로 국외에 퍼져 있는 한민족을 하나로 엮어 정보를 교환하고 자력갱생의 지혜를 모으는 일이다. 본 연구팀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국민의 국외 동포 인식을 새롭게 하고, 나아가 이들 해외 동포가 국제경쟁시대 중요한 자산이며, 때문에 한민족공동체 네트워크를 체계화 할 필요가 있음을 홍보해야 할 것이다.
  • 색인어
  • 미귀환, 귀환, 연합군총사령부, 만주, 사할린, 일본, 소련, 시베리아, 강제동원, 전후처리, ‘미귀환자 명부’, 정착, 억류, 학살, 희생, 국적문제, 해외한인사회, 2차대전, 국공내전 In-repatriation, Repatriation,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s, Manchuria, Sakhalin, Japan, Soviet Russia, Siberia, A compulsion taking, The management of the postwar period, An in-repatriationer list, A settlement, A detention, A slaughter, A sacrifice, The nationality problem, The korean society of foreign countries, The World War Ⅱ, Kuomintang-Communist cooperation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