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의료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대화분석적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지원심화연구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5-079-AM0049
선정년도 2005 년
연구기간 3 년 (2005년 09월 01일 ~ 200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강창우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유명이(숭실대학교)
박용익(연세대학교)
이화진(서울대학교)
이준희(경기대학교)
이명선(서울대학교)
서민순(동국대학교)
손행미(동국대학교(경주캠퍼스))
이소영(서울대학교)
박태영(숭실대학교)
조용길(한양대학교)
황은미(경기대학교)
박일환(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다양한 상황에서 일어나는 의료커뮤니케이션의 연구와 의료커뮤니케이션의 능력 개발 프로그램 개발을 목표로 하고 독어학, 국어학, 의학, 간호학, 사회복지학 분야의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연구의 목표로는 크게 학술적 차원과 실용적 차원으로 구분해서 다음과 같은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먼저 학술적 차원에서는, 독어학 분야에서 각 실용분야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아우르는 역할을 하면서,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활용하고 검증하며 이 과정에서 발견되는 기존의 연구방법의 문제점과 성과를 제고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또한 연구 영역과 대상을 특정 분야의 커뮤니케이션으로 확대함으로써 독어학 본연의 연구 목표 중의 하나인 언어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폭을 넓힐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새로운 이론과 방법론을 개발할 수 있다는 것도 연구의 중요한 목표로 삼고 있다. 한편 의료관련 연구 분야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이 진단과 치료 행위의 부차적인 요소가 아닌 필수적 구성 요소라는 인식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각 의료기관 및 의료 연구기관에서는 인본주의적 가치관을 강조하면서, 의료 윤리적 문제에 따라서 보다 환자중심적인 의료행위와 환자의 자율성을 촉진하고 있다. 또한 의료인과 환자 사이의 불충분한 의사소통으로 인한 오해와 의료분쟁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되는 현실에서, 전체적으로 의료 행위에서의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을 뿐 아니라 의료인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에 대한 관심도 증폭되고 있다. 그러나 의료관련 분야에서는 의료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전체적이고 세부적인 이해와 의료인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와 교육에 적합한 이론과 방법론을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한계를 인식해왔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독어학과의 학제적 연구를 통해서 극복하는 것이 의료 관련 분야의 중요한 학술적 연구 목표이다. 독어학 분야와 의료 관련 분야의 학제적 공동 연구의 목표로는 공동 연구에 참여하는 연구분야 사이의 학제적 연구를 위한 이론과 방법론 그리고 실증적 연구 자료를 구축하여 관련 있는 후속 연구에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들 수 있겠다.
    다음으로, 실용적 차원에서 본 독어학의 연구 목표는, 의료 관련 분야와의 학제적 연구를 통해서 그동안 축적된 연구결과를 의료 분야의 연구자들과 소통하고 공유함으로써 독어학 연구의 가치 확대 재생산과 사회적 위상을 제고하는 것이고, 더 나아가 의료 영역뿐만 아니라 경제 영역이나 종교 분야 또는 문학의 연구자들과도 학제적 연구를 할 수 있는 기틀을 세우는 것이다. 이처럼 다양한 다른 연구 분야와의 학제적 연구를 통해 의사소통의 이해와 능력개발을 위한 이론과 방법론을 정립한다면 독어학 연구자 또는 전공자들이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또는 교육자로 사회의 여러 영역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의료 관련 연구분야는 독어학과의 학제적 연구를 통해서 의료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전체적이고 세부적인 이해를 하게 됨으로써 의료인들의 환자중심적 의사소통을 위한 인식을 촉구하고, 기존의 의사소통 양식을 개선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또한 진단을 위한 환자 발화의 의사소통적 효율성을 증진하며, 환자를 이해시키기 위한 발화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환자들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서 의료 서비스를 개선하고, 이를 통해 의료분쟁 그리고 그에 따르는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도 주요 연구 목적 중의 하나이다. 궁극적으로는 이 모든 것을 위한 의료인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교육을 위한 교습법 및 교재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의료관련 연구 분야의 목표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해서 기대하는 효과를 독어학 연구분야의 관점에서 살펴 보면 장기적으로 독어학 전공자 또는 연구자들을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로 양성하는 한편, 이들이 진출할 수 있는 사회적 영역을 확대하는 것이다. 또한 독어학 연구가 언어 의사소통 관련 학제적 연구를 위한 이론과 방법론적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함으로써 그동안 사회적 담론에서 다소 소외되었던 독어학 연구의 사회적 위상과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실용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의료관련 연구자들의 관점에서 기대하는 효과는 의료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능력향상,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이론과 방법론 및 분석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의료인들은 의료, 간호, 가족치료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을 체계적이고 정확하게 분석, 파악할 수 있는 방법론에 접근하게 될 것이다. 즉 의료인들은 의료커뮤니케이션의 다양한 유형들을 구분할 수 있고, 개별적인 의료 대화유형들의 구조와 구성요소 및 진행과정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능력을 갖게 된다. 결과로써 의료인들은 자신들이 평소에 ‘문제없이’수행하고 있지만 인식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의사소통의 작동원리와 전체적인 진행과정을 파악하는 통찰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기 때문에 원활한 의사소통의 진행과정과 결과에 대한 예측과 커뮤니케이션을 준비하고 계획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의사소통의 작동원리와 전체적인 진행과정을 개괄함으로써 상대자인 환자 또는 내담자의 발화를 적절하게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의료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의료인들이 반복적으로 행하는 문제점들과 문제들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커뮤니케이션의 진행 지점을 발견하고 체계화함으로써 의료인들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교육을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 한국인의 의료 상황에 적합한 교습법을 개발하며 이에 필요한 교재 편찬에도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학제적 연구를 통해서 의료커뮤니케이션 연구를 위한 가장 기초적인 이론적 방법론적 틀을 구축하고 연구를 위한 실증적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의료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능력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후속 연구를 위한 하나의 디딤돌이 될 수 있을 것으로도 기대된다.
  • 연구요약
  • 1. 연구대상과 내용

    독어학의 핵심적 연구내용은 이 학제적 공동연구에 참여하는 의료 분야 연구자들이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고, 의료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보다 환자 중심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의료인들이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기 위한 이론과 방법론에 관한 것이다. 이론과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의료커뮤니케이션의 유형학적 규정과 개념정의 그리고 의료커뮤니케이션의 구조와 진행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분석 범주(기능단계, 대화연속체 재구성, 대화이동의 기능적 규정)의 설정 등이다. 본 연구가 실증적이고 기술적인 방법을 바탕으로 하므로 실제의 대화를 채취하고 전사하는 이론과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도 중요한 연구내용 중의 하나이다. 의료커뮤니케이션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대화행위 중의 하나는 질문과 대답의 연속체이다. 그러므로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전체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질문의 분석과 이해가 매우 필요하기 때문에 질문에 대한 개념을 체계적이고 세밀하게 규정하고, 의료 환경에서 사용되는 질문의 유형과 다른 질문 유형 사이의 차이점을 파악하며, 질문에 의해서 촉발된 대화연속체의 구성과 관련해서 질문의 특징을 밝히는 것은 본 연구의 독어학 분야의 주요 연구 내용 중 하나이다. 의사소통 능력의 개선이라는 본 학제적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먼저 커뮤니케이션능력의 개념 정의를 시도한다. 이를 바탕으로 의료커뮤니케이션 능력의 핵심적인 요소들인 환자 이해하기와 환자 이해시키기 그리고 환자와 의료인들의 원활한 대화행동에 대한 이해와 능력 개선을 위한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 그리고 구체적인 연구대상을 제시하는 것이 독어학 연구의 중요한 연구내용이다.
    의학 연구분야에서 의사 환자 대화를 분석하여 연구하고자 하는 내용으로 선택한 연구대상 및 자료는 좋지 않은 병명 통고이다. 구체적인 연구내용 및 방법은, 녹화된 자료를 전사하고 자료를 전산화 한 후에 좋지 않은 병명 통고 대화에서의 대화의 질적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하여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좋지 않은 병명 통고를 위한 바람직한 의사소통 방식을 교육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 기준에 의한 교육 프로그램을 구상한다. 이러한 교육에는 의사의 대화 수행능력, 환자의 이해와 설명 능력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이 포함된다. 궁극적으로 좋지 않은 병명 통고를 위한 바람직한 의사소통법의 교육을 위한 교수법 및 교안을 개발하며, 교육 내용에는 사회적 인관관계 형성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지식, 대화의 진행 과정과 관련된 지식, 표현과 관련된 지식이 포함되도록 한다.
    간호학 연구에서 구체적인 연구대상으로 선택해서 다루고자 하는 간호대화는 암성통증과 관련되어 일어나는 간호대화이다. 그동안의 연구에 따르면 암환자의 통증조절의 장애요인은 실제적인 치료와 관련된 문제들 뿐 아니라 정보의 부족, 혹은 불충분한 의사소통으로 인한 사회심리적 불안 등, 소통상의 문제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의 비중도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암환자의 효과적인 통증조절을 위해서 의료체계와 관련된 요인들 외에도 의료인, 특히 간호자와 환자 간의 효과적이고 충분한 의사소통을 위한 연구와 교육, 훈련이 시급한 당면과제로 대두된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무엇보다도 먼저 의료인과 환자의 의사소통 상의 문제로 제시되고 있는 점들을 확인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심층적인 분석을 시도하려 한다.
    가족치료학 연구에서 가족치료학 분야와 대화분석 분야의 공동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고 있는 것은, 치료 목적으로 행해지는 상담행위 중 가족치료라는 특정한 의사소통 형태의 틀 안에서 일어나는 상담 대화이다. 현장에서 상담치료 경험을 가진 전문가에 따르면 요즘 문제가 많이 되고 있는 집단따돌림과 다양한 사회적, 개인적 문제들이 가정에서부터 비롯된 것이고 따라서 그 치료법 또한 가족이 다 함께 참여하여 가정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모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가족치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상담자가 내담자 사이에 진행되는 의사소통에 대한 전제적인 이해가 필요하고 상담자의 원활한 대화진행과 상대방인 내담자가 가족치료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유인할 수 있는 기술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언어적인 의사소통과 비언어적인 의사소통, 내용중심의 언어와 메타커뮤니케이션 간의 차이와 더불어 내담자 가족들 간의 은유적인 의사소통 표현방식 등 언어적이고 직설적으로 혹은 단언적으로만 표현되지 않는 가족 성원 간의 다양한 의사소통 방식을 조사, 연구하고 문제가 생기는 의사소통 방식과 더불어 효과적이고 치료적인 의사소통 방식에 대해 연구한다. 마지막
  • 한글키워드
  • 좋지 않은 병명 통고 대화,암성 통증 관련 대화,가족치료,간호사 환자 대화,진료실 대화,의사 환자의 대화,학제간 연구,의료 커뮤니케이션,의사소통 교육,의사소통,대화분석,상담대화
  • 영문키워드
  • Beratungsgespraech,Kommunikationstraining,Dialoganalyse,Interdisziplinaere Forschung,Kommunikation,Familientherapie,Pfleger-Patient-Gespraech,Arzt-Patient-Gespraech,medizinische Kommunika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다양한 상황에서 일어나는 의료커뮤니케이션의 연구와 의료커뮤니케이션의 능력 개발 프로그램 개발을 목표로 하고 독어학, 국어학, 의학, 간호학, 사회복지학 분야의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독어학 분야에서는 그 동안 축적된 대화분석 연구 결과를 의사소통의 한 영역인 의료분야에 적용해봄으로써 기존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의 효용성과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하는 것을 학술적 목표로 삼고 있다. 의료분야에서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교육을 위한 이론과 방법론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본 연구에 참여하는 연구분야 사이의 학제적 연구를 위한 이론과 방법론 그리고 실증적 연구 자료를 구축하여 관련 있는 후속 연구에 기반을 구축하는 것도 이 연구가 추구하는 학술적 목표이기도 하다. 실용적 차원의 연구 목표와 관련하여 독어학 연구는 독어학 연구의 가치를 확대재생산함으로써 사회적 위상을 제고하는 것이고, 더 나아가 이 연구를 통해서 다른 연구분야와의 학제적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방법론적 정초를 세우는 것이다. 의료 관련 연구분야의 실용적 목표는 의료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전체적이고 세부적인 이해 및 진단과 치료를 위한 의료인의 의사소통적 효율성을 증진하는 것이다. 또한 의료인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교육을 위한 교수법 및 교재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도 의료관련 연구 분야의 실용적 목표이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실용적 목표의 실현을 위해서 3년 동안 순차적인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 1차 년도에서는 의료커뮤니케이션의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방법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실증적 연구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개념규정과 대화유형학을 바탕으로 의료커뮤니케이션이란 연구대상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연구 대상을 구체화하였으며, 개별 연구과제의 연구대상이 의료커뮤니케이션의 하위 유형에 대한 원형 재구성을 실시하였다. 제 2차 년도에서는 제 1차년도의 연구를 통해서 구축된 이론과 방법론 및 자료 그리고 대화의 원형을 통해서 실제로 수행된 다양한 의료 대화를 분석해 보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의료인들의 대화 과정 중에 나타나는 좋은 점과 문제점을 발견하는 것을 연구의 내용으로 하였다. 제 3차년도 연구에서는 제 2차년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인들의 커뮤니케이션의 평가와 능력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기준 설정과 교육 방법론을 살펴보았고, 대화분석을 바탕으로 하는 의료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구축한 의료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교육 프로그램은 그 동안 의료 관련학회에서 4회에 걸쳐서 진행된 워크숍과 각종 학회의 연구 발표를 통해서 그 타당성과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현재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 학술진흥재단의 지원으로 ‘의료커뮤니케이션교과목 개발’ 에 관한 연구를 수행 중에 있고, 또 다른 후속 연구의 일환으로 의료인들의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다.
  • 영문
  •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the medical communication at which the researcher from the linguistics, medicine, nurse science and family therapy participated aims at the understanding of the typology, structure and progress pattern of the medical and therapy communication. The another purpose of this research ist the improving the competence of the medical communication. To understand and to improve the medical communication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the linguistical dialog analysis adopted.
    In the first research year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bases were established for the achievement of the academical and practical purposes. For the databases authentic medical communication was filmed and transcribed. Starting from the theory and method bases and databases we have defined the terms which relate with the medical communication and classified the various types of medical communication. And the structure and typical pattern of the some important types of medical communication were reconstructed.
    In the second research year we have analysed various authentic dialogs on the bases of the reconstructed and found out and classified the problems in the performing the medical communication.
    In the third research year the criteria were established for the evalua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l communication. We have also considered concretely how we can mak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the practitioner better. We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the basis of dialog analysis can be applicable and very helpful for the understanding and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l communi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다양한 상황에서 일어나는 의료커뮤니케이션의 연구와 의료커뮤니케이션의 능력 개발 프로그램 개발을 목표로 하고 독어학, 국어학, 의학, 간호학, 사회복지학 분야의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독어학 분야에서는 그 동안 축적된 대화분석 연구 결과를 의사소통의 한 영역인 의료분야에 적용해봄으로써 기존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의 효용성과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하는 것을 학술적 목표로 삼고 있다. 의료분야에서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교육을 위한 이론과 방법론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본 연구에 참여하는 연구분야 사이의 학제적 연구를 위한 이론과 방법론 그리고 실증적 연구 자료를 구축하여 관련 있는 후속 연구에 기반을 구축하는 것도 이 연구가 추구하는 학술적 목표이기도 하다. 실용적 차원의 연구 목표와 관련하여 독어학 연구는 독어학 연구의 가치를 확대재생산함으로써 사회적 위상을 제고하는 것이고, 더 나아가 이 연구를 통해서 다른 연구분야와의 학제적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방법론적 정초를 세우는 것이다. 의료 관련 연구분야의 실용적 목표는 의료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전체적이고 세부적인 이해 및 진단과 치료를 위한 의료인의 의사소통적 효율성을 증진하는 것이다. 또한 의료인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교육을 위한 교수법 및 교재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도 의료관련 연구 분야의 실용적 목표이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실용적 목표의 실현을 위해서 3년 동안 순차적인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 1차 년도에서는 의료커뮤니케이션의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방법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실증적 연구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개념규정과 대화유형학을 바탕으로 의료커뮤니케이션이란 연구대상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연구 대상을 구체화하였으며, 개별 연구과제의 연구대상이 의료커뮤니케이션의 하위 유형에 대한 원형 재구성을 실시하였다. 제 2차 년도에서는 제 1차년도의 연구를 통해서 구축된 이론과 방법론 및 자료 그리고 대화의 원형을 통해서 실제로 수행된 다양한 의료 대화를 분석해 보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의료인들의 대화 과정 중에 나타나는 좋은 점과 문제점을 발견하는 것을 연구의 내용으로 하였다. 제 3차년도 연구에서는 제 2차년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인들의 커뮤니케이션의 평가와 능력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기준 설정과 교육 방법론을 살펴보았고, 대화분석을 바탕으로 하는 의료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구축한 의료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교육 프로그램은 그 동안 의료 관련학회에서 4회에 걸쳐서 진행된 워크숍과 각종 학회의 연구 발표를 통해서 그 타당성과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현재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 학술진흥재단의 지원으로 ‘의료커뮤니케이션교과목 개발’ 에 관한 연구를 수행 중에 있고, 또 다른 후속 연구의 일환으로 의료인들의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해서 독어학 연구의 한 분파인 대화분석 연구가 다양한 사회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의 이해와 그것의 능력 개선을 위한 이론과 방법론적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이를 통해서 그동안 학제적이고 실용적인 가치를 충분히 부여받지 못하였던 독어학 연구의 사회적 위상과 가치를 제고할 수 있음이 밝혀졌고 더 나아가서 인문학 연구의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 프로젝트의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앞으로의 지속적인 후속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이론과 방법론을 수립한 점과 동영상과 전사 자료로 이루어진 방대한 분량의 실증적 분석 자료가 구축되었다는 점도 본 연구 프로젝트의 중요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또 다른 성과로 꼽을 수 있는 점은 연구 대상에 대한 개념적이고 유형학적인 규정을 통해서 의료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도모한 점이다. 의료 대화의 전형적인 구조와 전개과정 그리고 대화 수행의 규범 등이 기준이 되는 평가표를 바탕으로 의료커뮤니케이션 수행의 질적 평가와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 점도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인들이 평소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의료커뮤니케이션의 작동원리와 전체적인 진행과정을 이해하고 조망할 수 있고, 원활한 의사소통의 진행과정과 결과에 대한 예측과 커뮤니케이션을 준비하고 계획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의료현장에서 실제로 이루어진 의료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를 발견하고 체계화함으로써 한국인의 의료 상황에 적합한 교육방법과 교육자료를 개발하는 데에도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일부는 이미 의과대학에서 의료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것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강의로 활용되고 있고, 각종 학회의 워크숍과 강연을 통해서 의과대학생들의 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의과대학의 교원들에게 교과목 개발과 교수법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이론과 방법론을 제시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구와 후속 연구를 통해서 기존의 개업의와 수련의 등이 수행하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합적으로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도 본 연구결과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대화분석, 의사소통, 의사소통 교육, 의료 커뮤니케이션, 학제간 연구, 의사 환자의 대화, 진료실 대화, 간호사 환자 대화, 좋지 않은 병명 통고 대화, 암성 통증 관련 대화, 가족치료, 상담대화 Dialoganalyse, Kommunikation, Kommunikationstraining, medizinische Kommunikation, Interdisziplinaere Forschung, Arzt-Patient-Gespraech, Pfleger-Patient-Gespraech, Familientherapie, Beratungsgespraech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