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서비스사회의 구조변동 -- 노동체제의 전환과 사회 재생산구조의 변화를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지원심화연구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5-079-BS0071
선정년도 2005 년
연구기간 2 년 (2005년 09월 01일 ~ 200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신광영
연구수행기관 중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수영(고려대학교)
최인이(한양대학교)
김유선(고려대학교)
김경희(중앙대학교)
이병훈(중앙대학교)
백승욱(중앙대학교)
주은우(중앙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서비스사회의 구조변동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규명하려고 하는 내용을 살펴보면 1)서비스사회화는 새로운 사회적 구성원리를 보여주는가 2) 글로벌한 시각에서 서비스 사회화는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가 3)서비스사회화는 노동체제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 것인가 4)서비스사회화는 사회 재생산 영역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 것인가 5)서비스 사회화의 국가별 차이점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등이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기대효과

    지금까지 한국사회에서는 정보기술혁명이 초래한 사회의 기술적 변화와 네트워크형으로 형성되는 사회의 조직원리의 변화에 초점을 둔 ‘정보사회화’ 논의는 있었지만, 그 실질적 변화의 내용인 서비스사회화에 대해서 주목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도, 한국사회에서도 서비스부문의 성장에 따른 서비스사회화는 생산패러다임과 사회적 작동원리, 사회의 재생산영역 모두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야기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진행중인 자본주의의 변동과정을 정확히 파악하고 미래를 전망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사회화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금융세계화와 지식정보경제화라는 사회변동의 맥락에서 서비스사회화를 연구하여 전 지구적 차원에서 서비스사회화가 갖는 함의와 서비스사회의 일반적인 특징들을 규명함으로써 서비스사회화 일반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동아시아의 서비스사회화에 대한 국제비교연구를 통해 서비스사회화가 동아시아 지역의 자본주의 작동에서 갖는 함의를 이해하고, 이러한 동아시아적 사회변동의 맥락 속에서 한국의 서비스사회화를 분석함으로써 서비스사회화의 한국적 특성을 보다 분명하게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사회에서 서비스사회화에 따른 노동체제의 변화와 재생산영역에서의 변화를 거시적 차원과 미시적 차원 모두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사회가 서비스사회로 재편되어가고 있는 현황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기초자료들을 정비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이러한 분석자료들에 기반하여 현재 거대한 변동이 진행 중인 한국사회의 현실에 기초한 새로운 노동 담론과 계급 담론, 가족 담론, 문화 담론 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19세기적 논의와 20세기적 현실에 기초한 기존의 사회학이론에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가능하게 할 것이고 각각의 분야별로 새로운 사회학적 논의의 장을 열어줄 수 있을 것이다.

    2. 실천적 기여

    첫째, 본 연구는 서비스사회화에 따른 한국사회의 구조변동의 방향성을 밝힘으로써 중장기적으로 한국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들에 대처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둘째, 서비스산업화에 따른 사회적 고용구조의 변화를 밝힘으로써 지금까지의 노동정책의 방향에서 발생한 문제들을 밝히고 전진적인 방향의 새로운 정책의 의제를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재생산 구조상의 변화를 서비스사회화와 연관하여 규명함으로써 일상생활 영역에서 발생하는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사회적 인식의 틀의 전환을 촉구할 수 있다.

    3. 교육적 기여

    첫째, 본 학과에서 개설하고 있는 ‘사회변동과 미래사회’, ‘정보사회탐구’, ‘산업사회학’, ‘노동사회학’, ‘사회불평등연구’, ‘젠더사회학’ 등의 강의에 본 연구의 내용을 반영함으로써, 새로운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적 내용을 채워갈 수 있다.
    둘째, 학문후속세대로서 이 분야 연구에 관심 있는 대학원생들을 연구보조원으로 충원함으로써 이 연구를 지속해 나갈 수 있는 연구진을 지속시켜 갈 수 있다.
    셋째, 연구의 결과를 학회발표, 심포지움, 콜로키움 등의 장을 통해 전달함으로써 학문공동체 내에 새로운 토론의 공간을 확대해 갈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2년간 수행될 계획이다. 1차 년도는 한국사회를 중심으로 서비스사회화의 전반적 변화의 추세를 검토한다. 연구내용은 크게 세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첫째, ‘서비스사회로의 생산패러다임의 변화’ 영역이다. 이 영역에서는 우선, 서비스사회의 사회변동 흐름을 점검한다. 즉 서비스사회화를 촉발하는 세계적 변동의 방향성은 무엇인지를 이론적, 국제적 동향 속에서 규명한다. 이어서 이러한 흐름이 한국사회에는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거시적 차원의 노동시장, 노사관계에서의 추이와 서비스사회의 계급구조와 계급이동 변화를 살펴본다.
    둘째, ‘서비스사회의 노동체제’ 영역은 서비스사회화의 특성들이 노동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며, 서비스노동체제가 제조업 중심의 노동체제와 어떻게 같고 다른지를 보여줄 것이다. 이를 위해 서비스사회의 노동체제를 다층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먼저 서비스노동의 ‘노동’으로서의 일반성과 ‘서비스노동’으로서의 특수성을 규명하고, 다음으로 서비스노동의 노동관계, 인적자원관리, 그리고 집합적 노동자의 반응 등을 차례로 살펴본다. 특히 서비스노동의 특성을 작업조직, 노사관계, 노노관계, 노동통제와 관리방식 등 노동과정 전반적 특성들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아울러 조직운동으로서의 서비스노동의 특성을 분석하게 된다.
    끝으로, ‘서비스사회와 재생산’ 영역이다. 우선, 서비스사회의 문화적 재생산 구조를 소비와 일상생활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검토한다. 다음으로 서비스사회화가 가족의 구조, 생활, 관계, 의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다.
    2년차에서는 1차 년도에 검토된 내용을 기초로 하여 한국사회의 서비스사회화의 특징들의 역사적․지역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한 국제비교연구를 진행한다. 비교연구는 크게 세 영역으로 나누어 진행될 예정이다.
    첫 번째로 이러한 국제비교연구가 필요해지는 서비스사회화의 전지구적 맥락을 살펴본다. 우선 서비스사회화의 유형들이 지역적으로 어떻게 차별화하여 나타나는지의 맥락을 검토하고, 그러한 유형변화가 나타나는 요인들을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이 문제를 좀 더 현실적으로 중요한 맥락 속에서 검토하기 위해 동아시아의 구도 속으로 논의를 끌고 와서 동아시아 성장모델 내에서 나타나는 발전전략의 분화와 그에 따라 나타나는 서비스사회화의 차별적 특징들을 검토해 볼 것이다.
    두 번째로는 서비스사회화의 원형적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을 중심으로 서비스사회화의 특징들을 살펴볼 것이다. 미국 사례의 경우에서 특히 중요성을 지니는 것은 금융부문과 정보기술 부문인데, 이들은 미국의 서비스사회화를 이끌고 있는 핵심적인 두 영역이다. 이 각각에서 나타나는 서비스사회화의 특징들에 공통점과 차별점을 찾는 것이 주요한 연구의 내용이 될 것이다.
    세 번째로는 동아시아 국가들 내의 차이점을 검토해 볼 것이다. 이는 다시 미국모델과 대조되는 일본모델과 여타의 동아시아 모델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다. 동아시아 성장모델의 대표적인 국가인 일본의 경우 국가주도의 제조업 생산모델에서 서비스화로 진행되는 과정이 양 부문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대만의 경우는 대륙과의 경제통합의 진척에 따른 제조업 공동화 과정에, 그리고 싱가포르의 경우는 지역금융중심지로 전환함에 따라 나타나는 서비스화의 특징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마지막으로 중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서비스화의 정도에서는 뒤지고 있지만, 동아시아 경제의 새로운 축으로 부상하고 있으면서, 서비스산업 영역에서도 무시할 수 없는 빠른 성장을 보인다는 점에서 하나의 검토 사례로서 포함시킬 것이다. 이상의 연구수행 결과는 단행본으로 출간될 것인데, 그 구성은 아래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 한글키워드
  • 서비스사회. 사회변동. 사회재생산. 노동. 젠더. 문화. 중국. 일본. 대만. 싱가폴. 미국
  • 영문키워드
  • service society. social change. social reproduction. labor. gender. culture. China. Japan. Taiwan. Singarpore. the USA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산업사회로부터 서비스사회로의 구조변동의 과정에서 보여지는 한국사회의 노동체제의 전환 및 사회 재생산구조의 변화를 국제비교의 맥락에서 분석한다. 이 연구는 1차 년도에서 서비스사회화라는 거시변동의 한국적 맥락을 이론적 및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2차 년도에서 서비스사회화의 다양한 유형별 경로와의 국제비교를 통해 한국사회의 서비스사회화 유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1차년도는 한국사회를 중심으로 서비스사회화의 전반적 변화의 추세를 검토하였다. 연구내용은 크게 세 영역으로 구분되어 진행되었다.
    첫째, ‘서비스사회로의 생산패러다임의 변화’ 영역에 대한 이론적 및 실증적 분석이 수행되었다.
    둘째, ‘서비스사회의 노동체제’ 영역에서는 서비스사회화의 특성들이 노동 영역에 영향을 미쳐 기존의 제조업에서와는 다른 방식으로 노동체제가 작동되고 있음이 실증적으로 논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사회의 재생산’ 영역이다. 서비스사회의 문화적 재생산 구조는 돌봄노동의 등장 및 가족구조의 일상적 소통과 재생산 방식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년차에서는 1차년도에 검토된 내용을 기초로 하여 한국사회의 서비스사회화의 특징들의 역사적․지역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한 국제비교연구를 진행하였다. 비교연구는 크게 네 영역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첫째, 국제비교연구가 필요해지는 서비스사회화의 전 지구적 맥락을 비교사회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세계체계 내에서의 위치와 세계화 과정에 편입되는 방식에 따라서 달라지는 서비스사회화의 유형을 구분하여 비교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둘째, 서비스사회화의 원형적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형 서비스사회화의 특징은 제조업에서 서비스산업으로의 급격한 구조변화로 나타났다.
    셋째, 미국과는 상이한 방식으로 서비스사회화가 진행되고 있는 독일을 중심으로 한 유럽형 서비스사회화의 특징은 제조업과 서비스산업의 연계이며, 노동체제 역시 집단적이며 사회연대적 방식으로 조정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동아시아 국가들 내의 차이점을 검토해 보았다, 산업화의 수준이 다르고 산업화의 방식이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 내에서 나타나고 있는 서비스사회로의 전환은 이행기적 성격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 영문
  • This study analyzes the transformation of labor regime and the change of the structure of social reproduction in Korean society that evolve from the industrial society to the service society in a comparative context.
    In the first year of study, we explore the Korean context of transition from the industrial society to the service society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In the following year, the Korean type of the service society was compared with other type of service society like USA, Germany, East-Asian countries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For the first year, we reviewed the general trend of change from the industrial society to the service society in Korea. More specifically,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followings;
    1.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of the transition to the service society in Korea, focusing on the shift of production.
    2. The labor regime of the service society: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society have affected the nature of labor regime that is different from the manufacturing industry.
    3. The sphere of reproduction in the service society: the structure of cultural reproduction in the service society has transformed the daily communication, family structure and care work as a new type of work.

    In the second year, the nature of service society in Korea is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in oder to identify its historic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1. The global context of transition to the service society was analyzed from a comparative sociological perspective. The mode of transition from the industrial society to the service society was discussed according to the mode of integration into the world system.
    2. The analysis of the American type of service society, as a prototype of service society, characterized by a drastic transition from the manufacturing industry to the service industry and service economy.
    3. The analysis of the German type of service society different from the US case. In Germany,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industry was closely linked with that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labor regime was also functioned in a more collective and solidaristic way .
    4. The East-Asian cases are examined to see variation within East Asia. East Asian societies are in the stage of transition to the service society with diverse characteristics due to the different level of industrialization and path dependenc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산업사회로부터 서비스사회로의 구조변동의 과정에서 보여지는 한국사회의 노동체제의 전환 및 사회 재생산구조의 변화를 국제비교의 맥락에서 분석한다. 이 연구는 1차 년도에서 서비스사회화라는 거시변동의 한국적 맥락을 이론적 및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2차 년도에서 서비스사회화의 다양한 유형별 경로와의 국제비교를 통해 한국사회의 서비스사회화 유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1차년도는 한국사회를 중심으로 서비스사회화의 전반적 변화의 추세를 검토하였다. 연구내용은 크게 세 영역으로 구분되어 진행되었다.
    첫째, ‘서비스사회로의 생산패러다임의 변화’ 영역에 대한 이론적 및 실증적 분석이 수행되었다.
    둘째, ‘서비스사회의 노동체제’ 영역에서는 서비스사회화의 특성들이 노동 영역에 영향을 미쳐 기존의 제조업에서와는 다른 방식으로 노동체제가 작동되고 있음이 실증적으로 논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사회의 재생산’ 영역이다. 서비스사회의 문화적 재생산 구조는 돌봄노동의 등장 및 가족구조의 일상적 소통과 재생산 방식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년차에서는 1차년도에 검토된 내용을 기초로 하여 한국사회의 서비스사회화의 특징들의 역사적․지역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한 국제비교연구를 진행하였다. 비교연구는 크게 네 영역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첫째, 국제비교연구가 필요해지는 서비스사회화의 전 지구적 맥락을 비교사회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세계체계 내에서의 위치와 세계화 과정에 편입되는 방식에 따라서 달라지는 서비스사회화의 유형을 구분하여 비교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둘째, 서비스사회화의 원형적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형 서비스사회화의 특징은 제조업에서 서비스산업으로의 급격한 구조변화로 나타났다.
    셋째, 미국과는 상이한 방식으로 서비스사회화가 진행되고 있는 독일을 중심으로 한 유럽형 서비스사회화의 특징은 제조업과 서비스산업의 연계이며, 노동체제 역시 집단적이며 사회연대적 방식으로 조정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동아시아 국가들 내의 차이점을 검토해 보았다, 산업화의 수준이 다르고 산업화의 방식이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 내에서 나타나고 있는 서비스사회로의 전환은 이행기적 성격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에 따르면, 서비스산업이라 하더라도 서비스산업 중 생산자서비스가 중심이 되는지 금융서비스가 중심이 되는지는 나라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생산의 형태가 전환된다 하더라도, 이처럼 서비스의 어떤 영역이 부각되느냐에 따라 여타 생산부문과의 연계성에도 상이한 변화가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앵글로색슨 모델은 금융업을 중심으로 생산이 재편되면서 세계화를 주도하고 있는데, 그에 비해 일본과 동아시아의 경우는 제조업의 성장과 서비스업 중심의 재편이 동시에 진행되면서 양자의 특성이 공존하는 양태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서비스사회화 일반만이 아니라 서비스사회화의 구체적 형태가 지역별로 차별화하는 양태에 대해 면밀한 분석과 동아시아적 유형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서비스사회의 등장을 한 국가 내에 한정시켜 내생적 요인에만 초점을 맞춘 기존의 해석들과 달리 서비스사회의 변화를 전 지구적 차원의 시각으로 확대함으로써, 금융세계화에 따른 각국의 차별적 특징들과 서비스화의 지역적 종별성, 그리고 그 역사적 함의를 좀 더 넓은 시야에서 분석해낼 수 있었다. 또한 한국사회의 서비스사회화가 초래한 노동체제의 변화와 재생산영역에서의 구조변동을 거시적 차원과 미시적 차원, 이론적 차원과 실증적 차원에서 분석하여, 한국사회의 구조변동의 다양한 측면을 담론과 현상의 수준에서 복합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이 연구는 동아시아지역 분업구조 및 국제적 분업구조에서 한국이 갖는 위치와 서비스산업화의 현 위치를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국제분업 내에서 한국의 서비스산업화가 나아가야 할 방향 및 이와 관련된 실천적 정책의제를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연구과정에서 확보된 자료를 학생 및 대학원생, 관련 연구자에게 개방함으로써, 서비스사회로의 구조변화에 관심을 갖고 있는 연구자 풀을 확대재생산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서비스사회, 노동체제, 사회재생산구조, 서비스사회화, 노사관계, 돌봄노동, 서비스노동, 계층구조, 노동시장, 감정노동, 계급형성, 세계체제, 산업화, 노동운동, 일상생활, 소비문화, 인적자원관리, 고용구조, 고용형태, 서비스경제, 가족구조, 가족형태, 동아시아, 미국, 독일, 일본, 유럽, 싱가폴, 중국, 세계화, 여성노동, 노동시간, 비정규직, 산업구조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