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베트남진출 한국기업의 경영실태분석을 통한 한국기업의 대 베트남 효율적 투자진출방안에 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대학교수해외방문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6-013-B00291
선정년도 2006 년
연구기간 6 개월 (2006년 12월 30일 ~ 2007년 06월 29일)
연구책임자 노승혁
연구수행기관 영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한국기업의 베트남에 대한 투자가 늘어난 배경은 여러 가지가 있다. 첫째, 시기적으로 베트남과의 수교와 한국기업이 해외투자를 본격화하기 시작한 시점이 일치하였고, 둘째, 1980년대 말부터 국내 제조업 임금이 빠르게 상승함에 따라, 특히 노동집약산업의 해외이전이 요구되는 상황이었으며, 셋째, 베트남이 새로운 글로벌 제조업 기지로서 빠르게 부상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의 산업구조고도화 과정에서 한계상황으로 내몰렸던 노동집약산업에 종사하던 많은 중소기업은 베트남으로의 생산설비 이전을 통해 일시적으로나마 경쟁력을 회복하고 활로를 찾고자 했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렇게 베트남에 투자한 많은 기업이 현지 정보의 부족이나 베트남의 치열한 경쟁 환경 때문에 진출과정이나 운영과정에서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몇몇 조사에 의하면 베트남에 투자한 한국기업 중 절반 정도만이 만족스러운 투자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기도 한다(노승혁, 2005).

    한편 베트남에 투자한 기업의 대다수가 중소기업이고 이 중 상당수가 베트남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를 갖지 않은 상태에서 투자를 결정하고, 공장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때문에 많은 기업이 정보부족으로 인한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업들은 베트남투자에 관한 다양한 정보의 제공을 정부와 지원기관에 요구하고 있다. 한편 정부의 입장에서는 베트남에 진출한 기업들로부터 각종 지원을 요청받고 있는 동시에, 한편으로는 베트남 진출로 인한 국내 산업공동화의 위험을 지적하는 목소리에도 대응해야 하는 모순적인 상황에 빠져 있다. 때문에 베트남투자와 관련한 정책방향을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물론 기업들이 처한 어려움을 해결하는 것은 1차적으로 해당기업의 과제이다. 현재 KOTRA와 대한상공회의소, 수출입은행 등 지원기관에서도 다양한 투자상담창구를 국내 혹은 베트남 현지에 개설하고 개별기업의 투자 및 경영상담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개별기업 차원의 어려움을 지원하는 것뿐 아니라, 베트남에 투자한 한국기업들의 투자성과, 투자동기, 경영애로 등 각 분야에 걸친 종합적인 보고서가 기업들에 제공된다면 개별기업의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에서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정부입장에서도 베트남에 투자한 기업들의 전반적인 경영실태와 핵심적인 애로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비록 투자기업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은 정부의 역할을 넘어서는 것이라고 할지라도, 정부가 직간접적으로 간여하는 다양한 지원기관의 활동방향을 제시하고 역할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최근에 대 베트남 투자의 급증에 따라 대두되고 있는 이른바 산업공동화 우려와 관련해서도 정부의 대응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때 정부는 과연 얼마나 많은 기업이 베트남에 투자할 의향을 갖고 있는지, 이들의 베트남투자가 한국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실제로 국내 생산과정의 베트남이전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 등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확보하고 있어야만 이에 기초해서 적절한 대응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 아래서 베트남에 투자하고 있는 한국기업들의 현황, 투자동기, 경영성과, 경영실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베트남투자기업들의 성공률과 경영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고, 베트남투자가 한국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무역유발효과나 제조업 이전현황을 통해 평가함으로써, 기업과 정부의 대 베트남 투자전략 수립에 있어 정확한 판단근거와 접근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한 ․ 베트남 간 최적 경제협력방안이 무엇인지를 도출해 보고 그에 따른 우리 기업의 효율적 투자진출방안 또는 분야가 어떤 것이 있는가를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현재 베트남에 진출해 있는 기업들의 애로사항이 무엇인지를 살펴 그것이 향후 한 ․ 베트남 간 경제협력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베트남으로의 진출을 고려하는 기업은 어떤 분야가 가장 적합할 것인지도 모색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개략적으로 추론해 볼 때 베트남의 외국인투자에 대한 제도적 문제점들로는 비용· 시간 소모적인 과도한 관료주의적 절차, 법률과 규정의 불명확한 정의 및 빈번한 변경, 법률과 규정의 임의적 또는 과도한 적용, 토지정책상의 각종 제한 등이 있다. 또한 투자환경의 문제점에서는, 높은 통신비용, 인프라스트럭처의 미비, 非베트남 기업들과의 경쟁, 민간부문의 부패, 유통구조의 미비 등이 기업들에 의해 비교적 공통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점들을 좀더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베트남 정부와 외국의 투자기업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설문조사가 필요하며, 이것이 베트남에 진출했거나 진출하고자하는 우리기업에게도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줄 것이라 하겠다. 이 시사점들은 베트남 정부에게는 외국인직접투자의 유치증대를 위한 투자환경 개선에, 우리기업들에게는 투자사업 수행 시 베트남 정부의 정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업전략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베트남 투자 4위국인 우리로서는 이에 대한 좀더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중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기업의 대 베트남 진출 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 된다면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은 분석결과로부터 도출한 핵심결론을 활용하여 성공적인 베트남투자의 패턴을 제안하고, 신규 진출기업 및 베트남에서 경영활동을 하는 기업이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주요 내용을 정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유관기관 및 많은 연구자들이 제일 큰 문제점으로 지목한 사항이기도 한 대 베트남 투자진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에 있어서 시의 적절하게 많은 도움을 주리라고 보여 진다. 또한 정부정책에 대한 시사점은 정부의 역할이 지원기관을 통한 간접적 지원 위주가 되어야 한다는 인식하에 정부 ․ 지원기관 ․ 기업으로 구성되는 투자지원시스템의 구축방향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기업이 희망하는 정부기관의 지원방안을 더욱 구체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산업공동화 우려와 관련하여 기업의 대 베트남 투자 및 생산시설 이전의향이 의미하는 바를 해석하고 대처의 기본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단순히 우려라는 이유만으로 해외투자를 바라보는 시각을 바꿀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대학의 사회에 대한 연구와 한국경제 기여측면에서도 국가의 균형발전이라는 정책기조와 더불어 그 중요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판단된다. 특히, 베트남에 진출한 기업과의 직접 방문조사를 통한 유대관계를 통해 학생의 해외인턴이나 현지취업과 같은 산학협동 연계프로그램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이렇게 제기되고 있는 이슈들에 대해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대 베트남 투자기업의 투자동기 및 그 변화는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나 향후 기업의 투자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기업의 해외투자 동기는 크게 비용절감 형과 시장추구 형으로 나뉘는데 한국기업의 대 베트남 투자의 경우 비용절감 형 투자가 다수를 점하는 가운데 최근 시장추구 형 투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고 분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해외투자동기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설문조사에 나타난 기업의 매출입 구조와 투자동기에 대한 응답을 통해 기업의 투자동기를 살펴보고, 이를 1990년대 중반 이래 기존 연구의 연구결과와 비교함으로써 투자동기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나아가 Brainard(1997)의 모형을 사용하여 한국기업의 베트남 각 지역별 투자통계를 가지고 1988~97년, 1999~2002년 두 기간에 대해 대 베트남 투자의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투자동기의 변화를 계량적으로 실증하고자 한다.

    둘째, 투자기업들의 경영성과에 대해서는 극단적으로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일부에서는 베트남투자기업의 성공률이 매우 낮으며, 따라서 기업들의 주의와 정부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문제제기를 한다. 다른 한편에서는 베트남의 낮은 임금이나 저렴한 토지, 베트남 정부의 적극적인 유치노력 등을 거론하며 베트남투자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유포하기도 한다. 사실 한국기업의 대 베트남 투자가 급증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대 베트남 투자의 성공률이 높으며 한국의 중소기업에게는 대 베트남 투자야말로 매력적인 선택이라는 증거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때문에 뒤에서 소개할 여러 설문조사에서도 투자의 성공 여부를 중요한 이슈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설문조사가 가진 방법론적인 한계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결과가 나오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설문기법을 활용하여 투자기업의 전체적인 성공률을 평가하고자 한다. 특히 경영자 면접을 전문가 면접으로 간주하여 활용하는 일종의 델파이(delphi)기법을 사용하여 기존 설문조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직접 각 기업의 매출이익률을 계산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매출이익률을 베트남투자의 동기나 사업형태와 관련되는 요소들의 효과로 분해해 보고자 한다. 즉, 산업의 성격(노동집약/자본집약), 매출의 성격(수출 위주/내수 위주), 제품의 성격(수입 원자재/부품 사용여부), 대기업과의 연계진출 여부, 조업기간 등의 변수들이 기업의 매출이익률에 어떤 방향의 영향을 미치느냐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이는 최초로 실제 조사자료를 이용해 베트남투자기업의 수익성 및 그 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한 시도라고 평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투자한 기업들이 진출단계 및 현지 경영에서 직면하는 문제가 무엇인가는 기업의 경영전략 수립 및 지원기관의 지원방향을 결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즉, 진출단계에서 기업이 어떻게 관련 정보를 입수하고 있으며, 어떠한 입지를 선정하고 있는지, 경영단계에서 주요한 애로사항이 무엇인지, 투자기업이 직면하는 베트남 현지 업체의 경쟁력 수준은 어떠한지, 고용 및 노무관리의 핵심요소는 무엇인지, 경영현지화 노력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등은 모든 기업이 관심을 갖는 정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층적이고 종합적인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기업들이 이러한 경영상의 주요 이슈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상세히 조사한다. 특히 노무관리의 핵심이슈로 등장한 이직률이나 투자기업들의 당면 과제로 인식되고 있는 경영현지화 등에 대해서는 관련 변수와의 교차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이러한 이슈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베트남에 진출한 기업들에 참고자료를 제공할 뿐 아니라, 지원기관의 지원방향과 관련해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기할 것으로 기대한다.

    넷째, 한국기업의 대 베트남 투자 급증이 한국경제에 장기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역시 중요한 이슈라고 할 수 있다. 그 영향은 크게 투자증가가 양국간의 교역에 미치는 영향과 한국기업의 베트남 이전에 따른 산업공동화 가능성으로 나눌 수 있다. 베트남에 대한 대규모 무역수지 흑자를 베트남 측이 문제제기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무역수지 흑자의 상당 부분이 대 베트남 투자기업에 의한 것임을 밝히는 것은 베트남 측의 우려에 대한 대응논리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동시에 대 베트남 투자로 인한 무역유발효과에 대한 측정은 대 베트남 투자를 매개로 향후 베트남과의 안정적인 상호 보완적 분업구조를 구축한다는 과제와 관련해서
  • 한글키워드
  • 해외직접투자,베트남에의 효율적투자,한베트남경제협력
  • 영문키워드
  • foreign direct investment,effective investment in Vietnam,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Vietnam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지금까지 한국기업의 대 베트남 투자분야는 주로 섬유, 봉제, 신발, 플라스틱, 완구 등 노동집약적 경공업이었고, 중공업분야와 자원개발 및 서비스업종의 투자는 상대적으로 활발하지 않은 편이었다. 초기단계의 한국기업의 대 베트남투자는 주로 저임금 노동력을 활용하거나 제3국으로 수출하기 위한 것이 주된 형태였으나, 점차 원료확보 및 내수진출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에는 해양석유․삼림․각종 광산물 등 자원개발과 섬유․봉제 등 노동집약적 산업의 임가공, 가전제품 등 내수시장과 수출을 동시에 지향할 수 있는 업종이 유망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화학비료․농약 등 수입대체산업 육성분야, 플랜트 그리고 금융․관광․호텔․유통 등의 서비스분야도 양국간 상호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투자분야이다.
    특히 한국기업의 대 베트남투자에서 주목할 부문은 사회간접자본 확충과 관련된 투자로, 베트남 정부는 이 분야 투자시 각종 특별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프라건설에는 많은 투자자금이 소요되고 건설기간도 길며, 대부분 공공재의 성격을 띠므로 적정 수익성을 확보하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BOT방식 투자의 경우 초기에는 비교적 작은 규모로 시작하여, 점차 대규모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우리나라는 현재 베트남과의 경제협력에 있어서 주요 선진국들과는 달리 첨단기술이나 막대한 규모의 자금지원은 어려운 상황이므로 우리의 발전경험과 중간기술의 전수를 통해 상호번영과 베트남의 경제사회발전에 기여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ODA정책목표를 호혜적 실질협력관계의 증진으로 설정함으로써 중장기적 경제협력이념과 지원방향을 정립해 나가야 한다. 경제원조를 매개로 상호 협력기반을 강화할 수 있는 적정지원사업 발굴 및 선정이 중요하며, 유상협력의 경우 베트남이 시급히 건설을 요구하고 있는 비료, 시멘트, 농약 등 기간산업 및 상호기술협력기반을 강화할 수 있는 부문으로의 진출을 확대해야 한다.
    그리고 현재 베트남의 경제개발계획 집행과정에서 베트남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심각한 제약요인은 자금조달문제가 아니라 기술 및 경영능력의 부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대 베트남 경제협력은 경영자, 기술자, 공무원 등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기술원조에도 중점을 두어야 하며, 정부의 정책입안, 행정능력 강화, 민간부문의 경영능력 강화 등을 위한 인력개발프로그램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
    또한 무상원조와 기술용역제공을 EDCF 협력사업 발굴에 적극 활용하여 진출기반을 확충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대 베트남 경제협력은 적절한 ODA와 직접투자를 결합한 한국형 경제협력 모델을 정립․발전시켜 ODA를 중장기적으로 산업기술 이전과 투자과정에서 양국간 분업체계를 형성할 수 있는 장기적 투자로서 고려해 볼 필요성도 있겠다.
  • 영문
  • Vietnam has been raised as a new promising foreign capital investment area. It is because it has abundant natural resources, low cost labor, large domestic market by 75,000,000 population, hub depot for exporting to EU and USA.
    The economic exchange between Korea and Vietnam has been expanded rapidly since 1980, due to Vietnam's "Doimoi" and Korean government's northen policy. Korea has invested 4,306 million dollars (total 693 cases, March 2004), and ranked forth among foreign investment countries to Vietnam. Especially, Vietnam's industry structure can be very complement with Korea, and thus Vietnam market can be attractive foreign investment area.
    This study tries to analyze Vietnam investment environment, foreign direct investment trends, and data are collected from the Korean companies in Vietnam.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is study seeks to the effective investment strategies to Vietna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초기단계의 한국기업의 대 베트남투자는 주로 저임금 노동력을 활용하거나 제3국으로 수출하기 위한 것이 주된 형태였으나, 점차 원료확보 및 내수진출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특히 한국기업의 대 베트남투자에서 주목할 부문은 사회간접자본 확충과 관련된 투자로, 베트남 정부는 이 분야 투자시 각종 특별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프라건설에는 많은 투자자금이 소요되고 건설기간도 길며, 대부분 공공재의 성격을 띠므로 적정 수익성을 확보하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BOT방식 투자의 경우 초기에는 비교적 작은 규모로 시작하여, 점차 대규모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우리나라는 현재 베트남과의 경제협력에 있어서 주요 선진국들과는 달리 첨단기술이나 막대한 규모의 자금지원은 어려운 상황이므로 우리의 발전경험과 중간기술의 전수를 통해 상호번영과 베트남의 경제사회발전에 기여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ODA정책목표를 호혜적 실질협력관계의 증진으로 설정함으로써 중장기적 경제협력이념과 지원방향을 정립해 나가야 한다. 경제원조를 매개로 상호 협력기반을 강화할 수 있는 적정지원사업 발굴 및 선정이 중요하며, 유상협력의 경우 베트남이 시급히 건설을 요구하고 있는 비료, 시멘트, 농약 등 기간산업 및 상호기술협력기반을 강화할 수 있는 부문으로의 진출을 확대해야 한다.
    그리고 현재 베트남의 경제개발계획 집행과정에서 베트남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심각한 제약요인은 자금조달문제가 아니라 기술 및 경영능력의 부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대 베트남 경제협력은 경영자, 기술자, 공무원 등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기술원조에도 중점을 두어야 하며, 정부의 정책입안, 행정능력 강화, 민간부문의 경영능력 강화 등을 위한 인력개발프로그램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
    또한 무상원조와 기술용역제공을 EDCF 협력사업 발굴에 적극 활용하여 진출기반을 확충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대 베트남 경제협력은 적절한 ODA와 직접투자를 결합한 한국형 경제협력 모델을 정립․발전시켜 ODA를 중장기적으로 산업기술 이전과 투자과정에서 양국간 분업체계를 형성할 수 있는 장기적 투자로서 고려해 볼 필요성도 있겠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개략적으로 추론해 볼 때 베트남의 외국인투자에 대한 제도적 문제점들로는 비용· 시간 소모적인 과도한 관료주의적 절차, 법률과 규정의 불명확한 정의 및 빈번한 변경, 법률과 규정의 임의적 또는 과도한 적용, 토지정책상의 각종 제한 등이 있다. 또한 투자환경의 문제점에서는, 높은 통신비용, 인프라스트럭처의 미비, 非베트남 기업들과의 경쟁, 민간부문의 부패, 유통구조의 미비 등이 기업들에 의해 비교적 공통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점들을 좀더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베트남 정부와 외국의 투자기업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설문조사가 필요하며, 이것이 베트남에 진출했거나 진출하고자하는 우리기업에게도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줄 것이라 하겠다. 이 시사점들은 베트남 정부에게는 외국인직접투자의 유치증대를 위한 투자환경 개선에, 우리기업들에게는 투자사업 수행 시 베트남 정부의 정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업전략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베트남 투자 4위국인 우리로서는 이에 대한 좀더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중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기업의 대 베트남 진출 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 된다면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은 분석결과로부터 도출한 핵심결론을 활용하여 성공적인 베트남투자의 패턴을 제안하고, 신규 진출기업 및 베트남에서 경영활동을 하는 기업이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주요 내용을 정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유관기관 및 많은 연구자들이 제일 큰 문제점으로 지목한 사항이기도 한 대 베트남 투자진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에 있어서 시의 적절하게 많은 도움을 주리라고 보여 진다. 또한 정부정책에 대한 시사점은 정부의 역할이 지원기관을 통한 간접적 지원 위주가 되어야 한다는 인식하에 정부 ․ 지원기관 ․ 기업으로 구성되는 투자지원시스템의 구축방향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기업이 희망하는 정부기관의 지원방안을 더욱 구체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산업공동화 우려와 관련하여 기업의 대 베트남 투자 및 생산시설 이전의향이 의미하는 바를 해석하고 대처의 기본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단순히 우려라는 이유만으로 해외투자를 바라보는 시각을 바꿀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대학의 사회에 대한 연구와 한국경제 기여측면에서도 국가의 균형발전이라는 정책기조와 더불어 그 중요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판단된다. 특히, 베트남에 진출한 기업과의 직접 방문조사를 통한 유대관계를 통해 학생의 해외인턴이나 현지취업과 같은 산학협동 연계프로그램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해외직접투자, 베트남에의 효율적 투자, 한․베트남경제협력 foreign capital investment, "Doimoi" policy, effective investment strategies to Vietnam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