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은 해석의 대상이다. 우리는 공간을 해석 작업을 통하여 재창조하고 의미를 부여해 왔다. 하나의 작품은 작가가 그것을 수중에서 내놓은 것만으로는 결코 완성된 것이라 할 수 없으며, 그것이 수용되어 해석될 때 비로소 완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해석학은 인식의 ...
공간은 해석의 대상이다. 우리는 공간을 해석 작업을 통하여 재창조하고 의미를 부여해 왔다. 하나의 작품은 작가가 그것을 수중에서 내놓은 것만으로는 결코 완성된 것이라 할 수 없으며, 그것이 수용되어 해석될 때 비로소 완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해석학은 인식의 가능근거, 역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존재, 의미의 담지자로서 선험적 주체를 전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우주관, 종교관, 자연관 등을 통해 추출해낸 우리공간문화의 특성을 수용 해석학적 시각에서 조망함으로써, 문화적 아이덴티티는 정지된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과정이라는 전제하에 우리의 유무형 문화 속에서 한국적 보편성을 획득할 수 있는 인자를 발굴, 발전시켜 현대의 공간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우리 조형언어의 디자인 접근방식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해석학적 논의에 기초하여 첫째,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전통공간의 유형 해석, 둘째, ‘텍스트의 다의성’의 관점에서 한국적 공간디자인의 ‘의미 중첩성’ 섯째,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에 의한 문화사적 의미에서의 전통공간디자인 해석으로 범주화된 연속적 세부주제를 텍스트의 수용과 해석이라는 시각으로 접근함으로써, 의미생성과정의 심층에 자리하는 사회적, 미적, 기능적 의미들을 형태- 공간언어로 표출하는 구체적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늘날 독창적인 이미지를 구축하기위한 세계적 디자인 창조의 출발점은 그 나라의 문화에 바탕을 둔 것이라는 점에 대한 인식은 더욱 확고해지고 있다. 디자인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 디자인 분야에 文·史·哲이 요구되는 것은 바로 그 곳이 창조적인 디자인의 근원지이기 때문이다. 전통공간에 나타나는 특성을 현대적인 이미지로 재현하고 그 의미를 해석· 계승할 수 있는 디자인 적용에 대한 본 연구는 미래의 공간디자인에 한국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효과적인 디자인 접근방식이 될 것이라 본다.
기대효과
본 연구의 학문적 기대효과로는, 공간디자인의 해석론을 도입, 다학제적 방법론에 의해 역사, 문화, 미학, 해석학, 도상학 등을 공간디자인이라는 특수맥락에 수용하여 공간을 해석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전통공간디자인에 대한 철학적 사유방식의 새로운 학문적 기반구 ...
본 연구의 학문적 기대효과로는, 공간디자인의 해석론을 도입, 다학제적 방법론에 의해 역사, 문화, 미학, 해석학, 도상학 등을 공간디자인이라는 특수맥락에 수용하여 공간을 해석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전통공간디자인에 대한 철학적 사유방식의 새로운 학문적 기반구축을 기대할 수 있다. 전통문화의 의미 재해석과 그 이후에 가능한 현대화과정들은 전통문화 자체에 대한 학문적 연구를 전제로 하고 있다. 이는 이러한 작업의 수행이 ‘문화’를 연구하고, 우리전통문화와 비교될 수 있는 세계의 다른 문화들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 학문화 과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전통공간 현대화 방안의 세분화된 해석 접근론은 건축학, 주거학, 디자인학 등 관련분야에 전통문화의 위상을 정립하는 학문적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또한 산업적 측면에서는, 생활공간문화 속에 내재된 전통이미지의 현대적 표현, 한국성의 구현으로 현재와 미래의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한류의 지속적인 성장 및 전 세계적인 확산 속에서 세계를 배경으로 한국 고유의 개성과 미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독창적인 공간디자인 방법론에 의해, 한국적 공간디자인 산업의 디자인개발에 의한 고부가가치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1C 세계화 문화시대에 한국전통공간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파급시켜, 공간디자인 측면에서 전통의 우수성을 인식하고 재조명하여 이를 현대디자인에 접목시킬 수 있는 한국적 공간디자인의 해석 및 접근방법의 학문적 · 실질적 제시라는 비전을 제공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요약
본 연구의 내용은 전통공간디자인의 접근방식으로서 구조주의이론, 텍스트이론, 도상 해석학이론의 철학적 사유방식의 도입을 리쾨르의 텍스트 해석학 안에서 텍스트의 다중적 의미관계를 중심으로 전개하고자 한다. 1차년도에는 한국전통공간에 대한 변별적 차이의 구 ...
본 연구의 내용은 전통공간디자인의 접근방식으로서 구조주의이론, 텍스트이론, 도상 해석학이론의 철학적 사유방식의 도입을 리쾨르의 텍스트 해석학 안에서 텍스트의 다중적 의미관계를 중심으로 전개하고자 한다. 1차년도에는 한국전통공간에 대한 변별적 차이의 구조적 해석을 구조주의 이론에 의해 정립하는 전통표현의 유형해석으로서, 도상적 형태언어, 공간형성의 지표적 원리, 그리고 문화적 상징성과 의미의 탐구라는 측면에서 공간디자인의 전통해석과 도입에 관하여 고찰한다. 2차년도에는 구조주의적 맥락에서 전통공간의 특성을 들뢰즈의 후기구조주의적 「의미론」을 도입하여 ‘사건’의 개념으로 다중적 의미관계를 심층분석하는 것으로서, 한국전통공간의 ‘의미 중첩성(공시적 다의성, 통시적 다의성)’ 의 시각을 이질성, 우의성, 잠재성이라는 세 가지의 관점에서 전통 도입의 수용 해석학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3차년도에는 이러한 전통공간 사유체계의 다원화된 구조분석을 통하여 파노프스키의 이론을 도입, 현대적공간디자인에 나타난 전통표현의 수용해석적 분석과정으로서, 텍스트의 내적인 역동성과 외적인 투영이라는 해석학의 과제를 ‘도상해석학’에 의해 논한다. 본 연구는 위의 세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해석학적 관점이 전통공간디자인을 분석하고 이해하며, 시각정체성을 규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밝히고, 제안한 수용해석학적 접근방식이 디자인된 공간의 가치체계 혹은 이미지에 관한 성찰들을 심화시키는 디자인에 접근하는 하나의 도구가 될 수 있으리라는 기대에 그 출발점을 갖는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문화적 체계가 의미코드를 통하여 시각적 표현을 받아들이는 이해단계를 논리적으로 규명하고, 건축 및 실내공간은 의미전달의 기능을 가지는 자율적 의미체계로서 사회현상의 전체맥락의 관계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근대의 물리적, 물질적 사고에 바탕을 둔 디자인에서 벗어나 정신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한국전통사상에 근거한 공간디자인의 맥락을 찾고자 한다.
Paul Ricoeur,Iconology,Semantics,Structuralism,Hermeneutics,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Design Approach Method
,Contemporary Application,Space Text,Meaning Ambivalence,Deleuze,Panofsk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는 한국전통공간디자인을 해석학에 기반한 텍스트로 간주하여, 현대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전통공간개념의 입력-해독체계로서 텍스트해석학적 접근방식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연차별 세부주제와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차년도는 ‘텍 ...
본 연구는 한국전통공간디자인을 해석학에 기반한 텍스트로 간주하여, 현대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전통공간개념의 입력-해독체계로서 텍스트해석학적 접근방식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연차별 세부주제와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차년도는 ‘텍스트해석학적 관점에서 한국전통공간의 유형해석에 관한 연구’이다. 한국전통공간의 유형학적 구조로서 한국인의 내재적 의식에 의해 형성된 전통사고에 기반해서 나타나는 전통공간의 공간적 시각적 특성을 옐름슬레우의 구조주의 이론과 원효의 화쟁사상에 근거하여 유형화하고, 전통공간의 현대적 적용에 있어서 전통공간구조의 해석과 도입에 관하여 무의식적 기제로부터 비롯되는 라캉의 은유법과 환유법을 통해 개념적 접근논리를 형성한다. 2차년도는 ‘한국 전통공간디자인 텍스트의 지시작용 해석에 관한 연구’이다. 공간텍스트의 언어학적 해석은 텍스트 구조와 결합하도록 패턴화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텍스트의 지시작용이라는 측면에서 전통공간 컨텍스트의 감성, 정신, 본성 등 이미 조직되어 있는 속성들의 장에 디자인 텍스트를 편입시키는 논리를 구체화하여, I호텔 공간디자인을 사례로 서울 궁궐의 공간적 컨텍스트와 디자인 텍스트의 구조를 공간의 구조적 상응관계라는 측면에서 유비적으로 분석하는 틀을 제시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는 텍스트의 지시작용에 의한 실증주의적 해석방법론이 한국전통의 공간텍스트를 현대의 디자인 텍스트로 재조직화하는 접근논리가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3차년도는 ‘한국 전통공간디자인의 도상해석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이다. 도상해석학의 내용과 구조를 공간디자인에 도입한 한국전통공간디자인의 도상해석학적 분석으로서, 전통공간의 현대적 변용을 위한 지역차원의 디자인연구라는 측면에서 각각 전도상적 기술, 도상학적 분석, 도상학적 해석을 시도한다. 전도상적 기술에서는 시대 및 장소에 입각한 시각적 표현양식 측면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상학적 분석에서는 도상의 유형을 풍토성, 민속성, 전통성의 세 가지로 범주화한다. 도상학적 해석에서는 의미중첩성의 측면에서 우의성, 이위성, 잠재성 세 가지 관점에서 다룸으로써, 도상해석학이 우리의 심층감성구조와 결합된 집단표상을 표출하는 창조적 환상으로서의 한국전통공간디자인에 접근하는 적합한 체계임을 제시한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as text on the basis of Hermeneutics and to suggest an approach as encoding-decoding system of Korean traditional space concept for contemporary space application. The detail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as text on the basis of Hermeneutics and to suggest an approach as encoding-decoding system of Korean traditional space concept for contemporary space application. The details of this study in order of year is illustrated as follows: The study of the first year is ‘A Study on the Typological 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 Space in terms of Text Hermeneutics’. As typological structure of traditional space, spacial and visual expressive characteristics in traditional space based on traditional thoughts of Koreans formed with inherent consciousness are structuralized with Hjelmslev‘s Structuralism and Wonhyo's Whajaeng theory. This study tries conceptual analysis based on Lacan's Metaphor and Metonymy emerged from unconscious mechanisms about interpretation and induction of the traditional spacial structure for contemporary Application. The study of the second year is ‘A Study on the Designation in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Text’. This study is interested in how philological interpretation of a space text were patterned so as to give the text structural cohesion. It concretize a logic that traditional space context is inserted in organized attribute like emotion, spirit, nature as character of contemporary space text through typological structure. From aspect of designation theory among interpretive semantics, it shows that korean contemporary space design text is incorporated with typological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palace spacial context homologically through the case study of I-Hotel space design.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suggest that positivistic interpretation methodology by designation of text is logical thinking of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The study of the third year is ‘A Study on the Iconological Approach of the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It clarifies Iconology as a method that is applicable logic for Korean space design. As an analysis of korean space design, this study analyse in three steps that are pre-iconological description, iconological analysis, iconological interpretation each in terms of modernization research at regional korean space design. In the step of the pre-iconological description, it describe visual representative style based on era and place. In the step of the iconological analysis, the typical structure is classified in status, vernacular, ethnic, traditional. In the step of the iconological interpretation, connotation is categorized into allegory, multivalence, potential.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suggest that iconology is an appropriate approach system of Korean space design images as creative fantasy that represent symbols combined with our deep emotional structure.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는 우리공간문화의 특성을 수용해석학적 시각에서 조망함으로써, 우리의 유·무형 문화 속에 존재하는 보편적 인자인 ‘한국성’을 현대의 공간디자인에 적용하는 우리 공간조형언어의 현대화에 관하여 ‘텍스트 해석학적 디자인 접근방식’을 제시한 것이다. 본 연구 ...
본 연구는 우리공간문화의 특성을 수용해석학적 시각에서 조망함으로써, 우리의 유·무형 문화 속에 존재하는 보편적 인자인 ‘한국성’을 현대의 공간디자인에 적용하는 우리 공간조형언어의 현대화에 관하여 ‘텍스트 해석학적 디자인 접근방식’을 제시한 것이다. 본 연구의 연차별 연구주제와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텍스트해석학적 관점에서 한국전통공간의 유형해석에 관한 연구」로서, 구조주의 관점에서 한국전통공간의 유형학적 해석으로서 옐름슬레우의 구조주의 이론과 원효의 화쟁사상에 근거하여, 은유와 환유구조의 문화적 상징성이라는 측면에서 공간의 전통해석과 도입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둘째, 「한국 전통공간디자인 텍스트의 지시작용 해석에 관한 연구」로서, 전통공간해석에 대한 접근방식으로서, 컨텍스트의 의미관계를 중심으로 텍스트의 지시작용에 관한 해석학적 관점이 전통공간디자인의 의미체계를 분석하고 정체성을 규명하는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밝히고, 제안한 텍스트의 지시작용의 해석학적 접근방식이 공간의 의미구조의 성찰을 심화시키는 디자인에 접근하는 하나의 방법론임을 제시하였다. 셋째, 「한국 전통공간디자인의 도상해석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로서, 전통공간의 현대적 해석에 있어, 전도상적 기술단계에서 도상학적 분석, 도상학적 해석단계로 이행되는 담론을 도상해석학 이론을 통해서 형성하는 논리를 제기하여, 지역적 전통표현의 현대적 접근은 디자인과 해석의 심층적 단계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디자인방향을 제시하였다. 다학제적 연구를 시도하려는 국내외의 움직임 속에서, 텍스트해석학 및 도상해석학을 디자인 프로세스에 접목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시도는 ‘전통의 수용과 해석’이라는 현안의 해결로서 뿐만 아니라, 세계적 연구동향에 부응하고 학문발전을 선도하는 연구 배경을 지닌다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해석학적 사유체계를 도입하여 대상과 표상을 해석하는 공간디자인 접근 방식을 정립함으로써, 연구의 결과는 디자인분야에서 수용해석적 접근의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될 것이라 본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의 결과는 1차년도 ‘무의식적 구조의 관점에서 한국전통공간텍스트의 유형 해석’, 2차년도 ‘텍스트의 다의성의 관점에서 전통공간디자인의 의미중첩성과 지시작용 해석’, 3차년도 ‘도상해석학에 의한 문화사적 관점에서 전통공간디자인 해석’의 연속적 연구과정을 ...
본 연구의 결과는 1차년도 ‘무의식적 구조의 관점에서 한국전통공간텍스트의 유형 해석’, 2차년도 ‘텍스트의 다의성의 관점에서 전통공간디자인의 의미중첩성과 지시작용 해석’, 3차년도 ‘도상해석학에 의한 문화사적 관점에서 전통공간디자인 해석’의 연속적 연구과정을 통하여 전통공간디자인 해석으로 범주화된 연속적 세부주제를 ‘공간디자인텍스트의 수용과 해석’이라는 시각으로 접근함으로써, 전통공간의 심리적, 미적, 기능적 의미들을 현대적 형태- 공간언어로 표출하는 구체적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에 의해 연구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문적 기대효과로서, 역사, 문화, 해석학, 도상학 등을 공간디자인이라는 특수맥락에 수용하여 공간을 해석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전통공간디자인에 대한 철학적 사유방식의 새로운 학문적 기반을 구축한다. 또한 우리전통문화의 하나의 축인 전통공간문화의 이론화 과정에 의해서 본 연구의 전통공간 현대화 방안의 세분화된 해석 접근론은 건축학, 주거학, 디자인학 등 관련분야에 전통문화의 위상을 정립하는 학문적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사회적 기대효과로서, 우리민족의 오랜 삶의 지혜가 스며있는 전통문화에서 오늘날 우리사회를 이해하고 동질감을 유지할 수 있는 민족적 정서와 전통적인 개념에서 발견되는 조형적 아이디어로 새로운 디자인문화기류를 형성, 한국 고유가치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게 한다. 또한 산업적 활용방안으로서 한국전통공간디자인 산업의 디자인개발에 의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여 생활문화 속에 내재된 전통이미지의 현대적 표현, 한국성의 구현으로 현재와 미래의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한류의 지속적 성장 및 전 세계적 확산 속에서 한국 고유의 개성과 미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독창적인 공간디자인 개발의 방법론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