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나라 2-30대 연령층의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인 것으로 나타나 현재 청소년의 미래와 무관하지 않음에 대해 사회 각계에서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 운동문화의 주된 흐름은 고 강도 웨이트 트레이닝과 유산소 운동이었으나 최근 몸과 정신건강 ...
최근 우리나라 2-30대 연령층의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인 것으로 나타나 현재 청소년의 미래와 무관하지 않음에 대해 사회 각계에서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 운동문화의 주된 흐름은 고 강도 웨이트 트레이닝과 유산소 운동이었으나 최근 몸과 정신건강에 대한 균형을 동시에 추구하는 웰빙적 생활이 보편적 가치로 떠오르면서 슬로우 엑서사이즈(slow exercise: 요가, 필라테스, 코어, 태극권, 국선도 등)문화 조성이 주목받고 있다. 슬로우 엑서사이즈는 느린 동작으로 몸의 근육과 관절을 부드럽게 푼다는 점에서 서양의 스트레칭과 비슷하지만 동작마다 깊은 복식호흡으로 오장육부를 정화하고 몸과 마음의 흐름에 의식을 집중하는 생활과학이라는 점에서 크게 다르다. 이처럼 몸과 마음의 몰입이 운동의 화두로 떠오르는 이유는 일상생활이나 생활체험으로 몸의 이완과 명상에 집중하는 슬로우 엑서사이즈 현상이 여성과 청소년층에서도 두드러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청소년의 비행문화는 여러 가지 사회 심리적 조건, 다양한 유전적 조건과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지만 가장 중요한 원인은 청소년기의 사회적 요인으로 인한 욕구좌절에 그 원인이 있다. 따라서 올바른 청소년 문화 형성을 위해서 건강하고 주체적인 신체와 정서의 새로운 문화의 장을 만들어야 한다. 스포지움은 체육을 매개로 개별화 교육프로그램에 기초한 놀이를 통한 신체활동을 의미한다. 이 프로그램은 출생과 성장시기에 있어서 정신 및 신체적 장애가 있는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프로그램으로 출발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학교와 가정 및 사회적 환경에서 후천적 정신 장애를 안고 있는 청소년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주시하는 측면에서 비 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스포지움 프로그램도 활성화되고 있다. 청소년 집단의 신체정신건강을 결정짓는 사회적 요인 중 스포츠활동을 통해 체험된 정서가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청소년이 추구하는 신체 및 정서의 사회적 맥락을 진정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회의 문화를 이해하여야 하고 문화를 이해하는 관건의 하나는 청소년 정서의 고유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스포지움 프로그램(sporsium program)을 체험하는 청소년의 신체와 정신의 변화는 자신의 틀에 박힌 생활로부터 벗어나 정서적으로 풍요로워짐으로써 신체정신건강 수준을 결정하는 사회역학적 요인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스포지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청소년 각자 다르게 단련되는 신체와 다양하게 표출되는 정서의 수준을 어떻게 유지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스포지움 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개인의 신체정신건강 수준과 사회역학적 요인을 정서의 수력학모형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 웰빙(well-being)과 감성의 시대에 적절한 연구주제이다.
기대효과
스포지움 프로그램(sporsium program)을 체험하는 청소년 집단이 스포츠활동을 통해 신체 및 정신건강과 사회역학적 요인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었다면 그것은 분명 소중한 사회의 정신적인 자산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개인의 신체와 정신을 살찌우는데 기여 ...
스포지움 프로그램(sporsium program)을 체험하는 청소년 집단이 스포츠활동을 통해 신체 및 정신건강과 사회역학적 요인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었다면 그것은 분명 소중한 사회의 정신적인 자산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개인의 신체와 정신을 살찌우는데 기여하는 많은 활동 중에서 그 기여도가 가장 큰 것이 스포츠활동이라는 의미이기도하다. 따라서 이러한 새로운 스포지움(sporsium) 문화를 체험하는 청소년 집단의 활동 유형을 파악하여 개인 각자의 신체정신건강의 맥락을 살펴보는 일은 사회역학적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의 흐름을 진단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마련될 것이다. 또한 스포지움 프로그램(sporsium program)과 신체정신건강 및 사회역학적 요인을 분석하여 개인의 정서 수력학 모형에 관한 차이를 제시함으로써 어떠한 스포지움 프로그램별 체험집단이 신체 및 정신건강의 관계성을 향상시키며, 사회역학적 요인이 강화되는가를 제시함으로써 스포지움의 효과를 조명하고, 이로 인한 정서의 수력학 모형이 좀 더 긍정적인 심리적 효과를 유지하는지의 비교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포츠 동호인의 정서체험에서 일반인의 문화적 특성과 정서변형을 파악하는 단계를 거쳐 스포지움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 집단의 신체정신건강의 정서적 모형검증이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한다. 나아가 엘리트스포츠 선수의 정서표출 통로 분석 프로그램에도 활용되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도출한 거시적 측면에서 스포지움 프로그램을 체험한 청소년의 정서적 에너지와 미시적인 상호작용 과정에서 표출되는 정서적 에너지는 상호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체육과 사회체육은 물론 엘리트스포츠 선수들의 다양한 종목별 사회적, 심리적, 생리적 측면의 건강행동을 제시할 수 있으며, 연습과 시합전 후에 적절한 프로그램구성도 가능하여 궁극적으로 신체ㆍ정신건강과 경기력 향상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현대인은 누구나 경미한 신체형 장애(신체질병과 상관없는 신체이상 증세)에서 심각한 신체형 장애를 폭넓게 앓고 있는 추세이며, 신체형 장애를 지속적으로 앓게되면 의학적으로는 심각한 우울증으로 전환되어질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이러한 신체형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의학적인 약물치료와 심리적인 상담치료가 병행되고 있지만 확실한 원인 규명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신체형 장애는 위의 두 치료방법 이외 사회적 정서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고하였다(건강테크, 2005, 10. 21). 결과적으로 이 연구의 완성은 청소년은 물론 일반인 모두를 대상으로 신체정신건강을 위한 사회역학적인 측면에서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연구요약
연구요약 최근 우리나라 2-30대 연령층의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인 것으로 나타나 현재 청소년의 미래와 무관하지 않음에 대해 사회 각계에서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에 대해 사회보건연구원에서 자살율의 감소는 적극적인 자살방지 대책과 생명 존중을 위한 사회 ...
연구요약 최근 우리나라 2-30대 연령층의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인 것으로 나타나 현재 청소년의 미래와 무관하지 않음에 대해 사회 각계에서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에 대해 사회보건연구원에서 자살율의 감소는 적극적인 자살방지 대책과 생명 존중을 위한 사회문화 조성에 있다고 보고하였다(동아일보, 2005, 9. 28). 최근 우리나라 운동문화의 주된 흐름은 고 강도 웨이트 트레이닝과 유산소 운동이었으나 최근 몸과 정신건강에 대한 균형을 동시에 추구하는 웰빙(well-being)적 생활이 보편적 가치로 떠오르면서 슬로우 엑서사이즈(slow exercise: 요가, 필라테스, 코어, 태극권, 국선도 등)문화 조성이 주목받고 있다(동아일보, 2005. 6.24). 슬로우 엑서사이즈는 느린 동작으로 몸의 근육과 관절을 부드럽게 푼다는 점에서 서양의 스트레칭과 비슷하지만 동작마다 깊은 복식호흡으로 오장육부를 정화하고 몸과 마음의 흐름에 의식을 집중하는 생활과학이라는 점에서 크게 다르다(김선미, 2005). 스포지움(sport+gymnasium=sporsium)은 체육을 매개로 개별화 교육프로그램에 기초한 놀이를 통한 신체활동을 의미한다. 스포지움 프로그램(sporsium program) 체험은 놀이를 통한 신체활동으로 인해 두뇌발달과 사회성 발달, 새로운 기회와 경험의 제공, 흥미와 즐거움 속에 자아상 확립, 체육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기본운동 기술ㆍ게임ㆍ스포츠 및 여가관련 기술 등을 습득하게 하는 것이다. 즉, 개별화교육프로그램에 기초한 계획, 시행, 평가 등을 통해 청소년에게 가장 적합한 수준별 교육내용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출생과 성장시기에 있어서 정신 및 신체적 장애가 있는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프로그램으로 출발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학교와 가정 및 사회적 환경에서 후천적 정신 장애를 안고 있는 청소년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주시하는 측면에서 비 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스포지움 프로그램도 활성화되고 있다(동아일보, 2004. 5. 7). 청소년이 추구하는 신체 및 정서의 사회적 맥락을 진정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회의 문화를 이해하여야 하고 문화를 이해하는 관건의 하나는 청소년 정서의 고유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는 사회적인 것과 심리적인 것이 서로 고립되고 이분된 실체라기보다는 상호의존적인 연관 속에서 재구성되는 소비의 가치와 연결될 수 있다(Lisa & Ichiro, 2000). 이러한 신체정신건강의 사회적 불평등의 지속적인 양상은 통상적 관점에 비해 사회적 경험을 좀더 직접적인 환경과 사회 결정요인의 원인으로 통합중심이 되는 중요한 개념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회역학적 결정요인은 청소년의 스포지움 프로그램 활동의 상호작용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신영전 외 역, 2003; Rose, 1992).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스포지움 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개인의 신체정신건강 수준과 사회역학적 요인을 정서의 수력학모형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 웰빙(well-being)과 감성의 시대에 적절한 연구주제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청소년 기본법(9∼24세)에 해당하는 청소년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스포지움 프로그램(sporsium program)을 체험자를 대상으로 유층집락무선표집 방법으로 1차 년도 연구에서는 총 300명을 무선표집할 계획이다. 2차 년도 연구대상은 질적연구로 총 6명을 선정할 것이며 3차 년도 연구는 양적연구로 1차 년도와 동일한 방법으로 총 200명을 표집할 계획이다. 측정도구는 1, 3차 년도는 설문지를 활용할 것이며 2차 년도는 질적연구로 면담과 비 참여관찰을 활용할 것이다. 자료분석은 1, 3차 년도에는 일원변량분석, 공변량 분석 및 모형적합성 검증방법(AMOS)을 이용하여 검증할 계획이며, 2차 년도 연구는 질적연구방법으로 항시비교법과 인지적 도식을 활용할 예정이다.
한글키워드
신체적ㆍ정신적 환경,청소년,구성적ㆍ맥락적,수력학모형,신체정신건강,사회역학적 요인,스포지움 프로그램
영문키워드
sporsium program
socio-dynamic factors
physical-mental health emotion
hydro-dynamic model
composition and contextual
physical-mental health environment,adolescent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이 연구는 청소년의 놀이체육프로그램 체험과 정신건강 및 환경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소재 중학교 남녀학생 21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는 정신건강은 고성희(1990)와 박동혁(2007)이 사용한 38문항을 사용하였으 ...
이 연구는 청소년의 놀이체육프로그램 체험과 정신건강 및 환경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소재 중학교 남녀학생 21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는 정신건강은 고성희(1990)와 박동혁(2007)이 사용한 38문항을 사용하였으며, 환경적 요인은 이혜령(2000)과 최현식(2007)이 사용한 24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위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는 .64~.93의 분포로 나타났다. 조사절차는 해당 학교와 현장을 중심으로 직접 방문하여 자기기입법으로 응답한 설문지를 회수한 후 일원변량분석, T-test, 상관분석,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거쳐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학년집단이 정신건강, 가정/학교환경이 높다. 가계수입이 높은 집단이 정신건강과 학교환경이 높다. 기능위주프로그램 체험집단이 목표지향성, 건전한사고, 가족응집력, 학교수업참여, 학교교칙준수가 높다. 둘째, 가치판단과 목표지향성은 가족응집력, 의사소통, 학교수업참여, 학교교칙준수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응은 가족친밀도에, 가치판단은 학교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영문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juveniles' experience in playing athletics program, mental health and environmental factor. To attain such objective of research, 215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were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juveniles' experience in playing athletics program, mental health and environmental factor. To attain such objective of research, 215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For measuring tools, 38 questions used by Goh Sung Hee (1990) and Park Dong Hyuk(2007) were used in the sector of mental health and the measure composed of 24 questions used by Lee Hye Ryung(2000) and Choi Hyun Sik(2007) were used in the sector of environmental factor.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above measuring tool was found to be in the distribution of .64~.93. For procedure of investigation, the researcher directly visited relevant school and site to retrieve the question papers responded in the method of self-preparation. Then, they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T-test, relational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drawn through this procedure is as follows. First, the 2nd grader shows high mental health and home/school environment. The group with high income of household shows high mental health and school environment. The group experiencing functional program shows high goal-oriented propensity, sound thought, family cohesion, participation in the class at school and observance of school rules. Second, judgment of value and goal-oriented propensity affect family cohesion, communication, participation in the class at school and observance of school rules. In addition, adaptation to the society affects family familiarity and judgment of value affects school relation in the school.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이 연구는 청소년의 놀이체육프로그램 체험과 정신건강 및 환경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소재 중학교 남녀학생 21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는 정신건강은 고성희(1990)와 박동혁(2007)이 사용한 38문항을 사용하였으 ...
이 연구는 청소년의 놀이체육프로그램 체험과 정신건강 및 환경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소재 중학교 남녀학생 21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는 정신건강은 고성희(1990)와 박동혁(2007)이 사용한 38문항을 사용하였으며, 환경적 요인은 이혜령(2000)과 최현식(2007)이 사용한 24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위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는 .64~.93의 분포로 나타났다. 조사절차는 해당 학교와 현장을 중심으로 직접 방문하여 자기기입법으로 응답한 설문지를 회수한 후 일원변량분석, T-test, 상관분석,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거쳐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학년집단이 정신건강, 가정/학교환경이 높다. 가계수입이 높은 집단이 정신건강과 학교환경이 높다. 기능위주프로그램 체험집단이 목표지향성, 건전한사고, 가족응집력, 학교수업참여, 학교교칙준수가 높다. 둘째, 가치판단과 목표지향성은 가족응집력, 의사소통, 학교수업참여, 학교교칙준수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응은 가족친밀도에, 가치판단은 학교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첫째, 이 연구 참여자의 정신건강과 환경요인에 대한 배경변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2학년과 가계수입이 높은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년과 가계수입이 정신건강과 환경요인에 어느 정도 관련되어 있으나 전체학년과 가계수입보다는 2학년과 높 ...
첫째, 이 연구 참여자의 정신건강과 환경요인에 대한 배경변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2학년과 가계수입이 높은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년과 가계수입이 정신건강과 환경요인에 어느 정도 관련되어 있으나 전체학년과 가계수입보다는 2학년과 높은 수준의 가계수입에서 보다 많은 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족의 행복수준을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인 경제적 수준이 청소년기 정신건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와 부분적으로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놀이체육프로그램 중 기능위주프로그램을 체험한 청소년의 경우에는 정신건강의 목표지향성과 건전한사고 그리고 환경요인의 가족응집력, 학교수업참여와 학교교칙준수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동아리를 통해 기능위주 신체활동을 체험한 청소년의 정신건강이 향상되었음을 보고한 연구결과와 동일한 것이였다. 물론 청소년기 신체활동 체험은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의 균형을 이루기 위한 목적이 핵심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신체건강을 바탕으로 놀이체육프로그램을 체험하고 있는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청소년의 전체적인 정신건강을 반영하기에는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프로그램의 차이에 의해 다소 상이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이러한 결과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정신건강과 환경요인에 대한 관계를 검증한 결과 정신건강의 가치판단, 목표지향성과 사회적응이 환경요인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 정신건강의 건전한사고와 환경요인간에는 관련성이 발견되지 않았고, 나머지 변인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다시 말하면 정신건강은 환경요인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현재 경험되고 있는 가치판단과 목표지향성 상태가 학교환경의 학교수업참여, 학교교우관계. 학교교칙준수를 향상시킬 수 있지만, 가정환경의 가족친밀도는 정신건강의 사회적응 상태가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를 고려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이해를 가질 수 있었다. 먼저 이 연구에서는 정신건강의 건전한사고는 환경요인에 별다른 영향을 보이지 않지만,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의 성숙도는 건전한사고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보고한 연구와 상이한 결과임을 비교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는 청소년이 체험하는 신체관련 여가활동은 정신건강의 건전한사고 보다는 경쟁상태(자신 혹은 상대방)에서 순발력을 발휘할 수 있는 가치판단이나 목표지향성이 발휘되는 효과를 검증한 연구에 보다 유사한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연구에서 청소년의 환경요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놀이체육프로그램 체험을 통한 연구결과는 미흡한 상태이다. 청소년시기 가정환경은 이 연구결과에서 설명하였듯이 자녀를 독립된 인격체로 인정하며 사랑과 인내를 바탕으로 친밀한 부모와 자녀관계가 형성되어야해야 한다. 나아가 성장기간의 상당부분을 학교환경에 노출되는 청소년시기에는 그들의 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환경에 자신의 욕구를 학교상황 내의 제반 요구와 조화를 이루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학교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요건(신체활동, 여가활동, 기타활동 등)을 형성하는 것이 청소년기 환경적응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그 자체로도 정신건강의 위협을 받고 있는 시기이므로 효과적인 가정-학교환경요인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청소년의 개별적 맞춤식의 신체활동 즉, 놀이체육프로그램 체험을 통해 신체건강은 물론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정신건강 및 주변환경과의 균형과 조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서의 효과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