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기술기반 벤처기업의 성장단계별 생존과 실패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연령의존관점과 자원기반관점에서의 통합적 접근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협동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5-042-B00100
선정년도 2005 년
연구기간 1 년 (2005년 12월 01일 ~ 2006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장수덕
연구수행기관 한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현숙(경북대학교)
도나켈리(Babson College)
이상설(혜천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기술기반 벤처기업은 오래된 기업이나 대기업에 비해 연령과 규모에 따른 불리함(liabilities of newness and smallness)을 갖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실패의 위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Stinchcombe, 1965; Aldrichand Auster, 1986; Bradley and Rubach, 1999; Shepherd, Douglas, and Shanley, 2000 Honjo, 2000a). 따라서 벤처기업이 생존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존 기업이나 대기업과의 직접적 경쟁을 피할 수 있는 적소에 위치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Romanelli, 1989; Tsai, MacMillan, and Low, 1991; Stearns, Carter, Reynolds, and Williams, 1995). 그런데, 기업의 생존은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얼마나 재빨리 적응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 생존을 위한 중요한 조건이 되며 대부분의 기업들이 그러한 능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지 못하다는 Hannan and Freeman (1989)의 지적을 상기해 볼 때, 어떤 산업에 포지셔닝(positioning)하는가 하는 것이 실패의 한 원인이 될 수는 있으나 생존을 위한 필요조건이라 보기에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벤처기업의 실패를 단순히 '잘못된 시작(begin wrong)'에 따른 진화적 경로(evolutionary path), 즉 경로 의존적(path dependent)인 실패의 과정으로 이해하는 데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왜냐하면, 내부적 조건이나 여건들 특히, 벤처기업 특유의 자원과 역량에 대한 이해 없이 외적 조건만을 고려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단적인 예로 한국벤처기업의 경우 소위, IMF위기라는 큰 환경의 충격(environmental jolts)를 겪으면서 실패한 기업들이 많지만 위기를 기회로 활용한 기업들도 적잖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과연 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를 무엇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 특히 외국의 벤처기업들과 여러 가지 여건이 다른 한국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를 어떤 이론적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설명가능 하겠는가? 기존의 여러 가지 이론과 문헌들이 있지만,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는 국제적 비교연구를 통해 한국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에 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연구자는 조직의 성장단계이론을 토대로 벤처기업의 성장단계별 생존과 실패를 최근 5-6년을 기준으로 해서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각 성장단계별로 생존한 기업과 실패한 기업의 실패와 생존을 연령의존관점과 자원기반관점의 통합적 접근(Age-Dependence and Resource-Based Perspectives)을 통해 실패의 원인과 생존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한국의 벤처기업과 IMF 경제위기 이후 성장과 쇠퇴를 거듭하고 있는 기술기반 벤처기업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매우 높은 현실적 토대를 감안해 볼 때 본 연구는 국제비교연구로서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의 목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연령의존관점과 자원기반관점에서 정리하고자 한다. 특히 벤처기업의 성장단계별 위험의 종류와 내용을 분석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실제 벤처기업의 각 성장 단계별로 실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벤처기업에 대한 자원기반관점에서의 연구들을 토대로 조직내외적으로 어떠한 자원기반이 벤처기업의 생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완충제(buffers)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비슷한 성장단계와 규모, 심지어 산업분야가 비슷한 경우에도 기업의 성과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동일한 성장단계내에서 직면하게 되는 위험에 대한 기업별 반응의 차이를 분석하고 그 차이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벤처기업 고유의 생존과 실패요인은 무엇이며 이들 요인들이 각 성장단계에 따라서는 어떻게 나타나며 성장단계와 상관없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덧붙여 벤처기업이 각 성장단계별 혹은 연령대별 직면하는 고유한 위험들 중에서 벤처기업의 생존에 가장 부정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며 내부적 완충메커니즘이 실제 실패율을 낮추고 생존율을 높이는 데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넷째, 미국 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가 한국 벤처기업의 그것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한국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에 있어서 특유성이 존재한다면 그 특유성은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한다.
    다섯째, 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에 대한 기존의 분석들을 통해 각 성장단계별로 그리고 연령이 많아지면서 벤처기업이 직면할 수 있는 위협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그 위협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내부적 완충메각 단계별로, 연령별로 어떠한 것이 있을 수 있는지 실천적 관점에서 이를 제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국내에서 벤처기업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것은 1998년 벤처경영연구가 출간되면서부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듯 짧은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벤처기업은 기술력을 빠른 성장을 거듭했으며 적지 않은 경제적 부가가치 또한 발생시켰다. 그러나 IMF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시작된 경제적 위기는 많은 벤처기업을 파산케 했다. 하지만, 이런 와중에도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면서 강한 생존력을 발휘하는 기업들도 적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아직 벤처기업에 대한 축적된 연구성과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며 한국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의 원인과 그 결과들에 대해 그리고 실패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실천적 과제들에 대한 연구와 논의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에 대한 기대효과를 갖고 있다.
    첫째, 벤처기업에 대한 국제적 협동연구가 부족한 현 상황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벤처기업 연구에 대한 가장 많은 축적된 성과를 갖고 있는 기관과의 국제적 연구를 통해 선진이론을 한국벤처기업에 적용하고 한국 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에 대한 원인과 그 결과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는 기대효과를 갖고 있다.
    둘째, 조직의 생존과 사멸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조직생태학적 관점에서 많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벤처기업에 적용해서 해석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아직 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에 대한 분석을 개별 기업이 처해있는 연령이나 조직성장단계와 같은 상황적 맥락 속에서 개별기업들의 내부적 여건의 차이들이 조직의 생존에 또한 실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의 시도는 매우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지금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많은 벤처연구들을 보면 벤처기업의 성공의 원인을 찾거나 실패의 원인을 찾는데 주력했지 위험관리, 즉 위험 줄이기 전략(risk reduction strategies)을 통한 벤처기업의 생존(survival) 문제를 깊이 있게 연구한 논문은 많지 않다. 특히, 기업은 각 성장단계별로 각기 연령에 따른 실패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에 성장단계별로 위험관리에 관한 연구는 학문적으로 실무적으로 매우 중요한 연구가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는 연령의존이론과 자원기반관점에서의 통합적 접근을 토대로 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에 보다 유의한 설명력을 가질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은 무엇인지 이론에 대한 검증 및 비교를 해 볼 수 있다는 기대효과를 가진다.
    다섯째, 본 연구는 향후 벤처기업의 대(對) 환경관리에 대한 새로운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즉 각기 다른 상황에 있는 벤처기업들이 어떠한 내부적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위험을 줄이고 생존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벤처기업의 실무자들에게 보다 실천가능성이 높은 시사점을 던져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섯째, 벤처기업뿐만 아니라 나아가 중소기업이나 기존 기업들에 대해서도 위험관리(risk management)에 관한 새로운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정책적인 차원에서 있어서도 각 성장단계별로 존재해 있는 기업들의 생존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어떻게 차별화된 지원책을 제공하여 창업초기에 있는 기업이나 성숙기에 있는 기업들이 성장단계와 상관없이 직면하고 있는 위험들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함의점(implications)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아직 논란의 여지가 많다. 예를 들어, 우선적으로 생존과 실패를 설명할 수 있는 각기 다른 요인이 있는가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생존과 실패가 각기 다른 개념으로 서로 다른 차원에서 그리고 서로 다른 요인들에 의해 설명가능한 것인지 아니면 생존과 실패가 동일선상에서 서로 다른 끝 점에 위치해 있는가 하는 것이다. 아니면, 생존과 실패를 설명할 수 있는 각기 다른 요인이 존재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생존과 실패가 그 요인의 충분함과 부족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것인지 아직 논란의 여지가 많다. 둘째, 벤처기업의 조직성장단계에 관한 연구들에 의하면 조직은 성장단계별로 다양한 위험을 직면하게 되며 그 위기를 극복하면서 또 다른 단계로의 질적 성장을 거듭하게 된다 (Lippit and Schmidt, 1967; Churchill and Lewis, 1983; Van De Ven et al., 1984; Kazanjian, 1988; Kazanjian and Drazin, 1989, 1990). 그러면, 각 성장단계별로 앞서 첫 번째로 제기한 문제를 적용할 경우 벤처기업의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며 역으로 생존에 긍정적 영향은 무엇인지 그리고 양자에 동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무엇인지 논란의 여지가 있다. 뿐만 아니라 조직의 성장단계와 상관없이 생존과 실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무엇인지 아직 규명되어 있지 못하다. 셋째, 조직의 성장단계는 연령과 규모에 있어 다소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즉 같은 성장단계내에서도 서로 다른 연령과 규모의 성격을 보일 수 있다. 이를 경우 비슷한 조직 연령과 규모를 가진 기업들 중에서도 생존과 실패를 달리하는 기업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즉 비록 위험이 연령과 규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하나 비슷한 연령이나 규모 내에서도 존재하는 성과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넷째, 만약 벤처기업의 실패가 고유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지어지는 것이라면, 이러한 고유요인들의 영향력을 줄여줄 수 있는 완충제(buffers)와 같은 조직내적 메커니즘은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실제 그러한 완충제가 각 성장단계내에서 어떠한 역할들을 할 수 있는지 아직 전혀 연구되어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벤처기업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축적되어 있는 벤처기업의 전문연구기관과의 국제적 협력연구를 통해 앞서 제기된 문제점들의 해답을 찾고자 하며 이를 통해 기술기반 한국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에 관한 새로운 학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통합적 접근,자원기반관점,연령의존관점,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조직성장단계
  • 영문키워드
  • Technology Base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urvival Versus Failure of Technology Based Ventures,Age-Dependent Theory,Resource-Based Theory,Growth Stag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벤처기업은 신규성과 소규모의 불리함으로 인해 생존에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기가 기존 기업들에 비해 어려운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비록 벤처기업이 자원의 축적에 있어 불리함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내부적 자원을 어떻게 활용하는 가에 따라서 생존은 달라질 수 있음을 발견했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서 연구자들은 115개 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를 추적하였으며 실증적 분석을 통해 유형적 자원보다는 무형적 자원의 활용이 벤처기업의 생존에 보다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이러한 결과는 최소한 환경의 충격이 있은 이후에 벤처기업의 생존은 유형적 자원에 비해서는 무형적 자원이 보다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나아가 무형적 자원은 외부의 환경적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완충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질 수 있다.
  • 영문
  • While newer and smaller firms, compared to older ones, are seen as unable to acquire enough of the critical resources needed to surviv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differential resource accumulation can predict survival or failure after environmental jolts. This research examines the survival or failure of 115 Korean technology-based small and medium ventures after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in Korea. Through analyses, this study found that intangible resources, which include human capital, organization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rvival. However, tangible resources, which include physical and financial capital, were not associated with survival. These results mean that intangible resources can explain the ability to survive from environmental jolts better than tangible ones, which also imply that intangible resources can perform the role as a buffer to withstand environmental jol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생존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자원기반이론의 관점에서 벤처기업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을 유형적 자원과 무형적 자원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형적 자원은 생존에 있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 인적 자본, 조직적 자본, 사회적 자본과 같은 무형적 자원은 벤처기업의 생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벤처기업에 있어 생존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를 통해 벤처기업의 생존은 유형적 자원의 크기나 양에 의해 좌우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에서 벤처기업의 규모와 신규성에 따른 불리함으로 인해 벤처기업은 자본이나 자산과 같은 유형적 자원을 많이 확보하는 것이 생존력을 높이는 데 있어서 관건인 것으로 논의되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러한 유형적 자원이 벤처기업에 생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인적, 사회적, 그리고 조직적 자원과 같은 무형적 자원들이 보다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원기반관점의 이론들이 벤처기업의 생존을 설명하는 데도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는 이론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 색인어
  • 벤처기업 생존, 자원기반관점, 인적 자본, 사회적 자본, 조직적 자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