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프로스포츠의 관람 및 경기 성적과 스포츠 팬의 생활양식 변화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5-041-G00110
선정년도 2005 년
연구기간 1 년 (2005년 12월 01일 ~ 2006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구창모
연구수행기관 한서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오늘날 스포츠가 대중문화의 하나로 인식되고, 특히 스포츠가 프로화와 매스컴의 발달에 힘입어 관람스포츠의 확산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관중들은 관람스포츠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고 또한 경기장을 찾는 관중들의 수는 증가하게 되었다.
    스포츠의 경기 성적은 스포츠 팬의 동원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스포츠 팬의 생활양식에도 변화를 준다. 여기에서의 스포츠 팬은 경기장에 직접 찾아가서 자기가 좋아하는 팀을 응원하고, 좋아하는 경기의 중계를 채널을 고정시키고 보며, 신문이나 잡지에서 스포츠 면을 먼저 읽거나, 다른 사람과 스포츠와 관련된 대화를 자주 나누며, 스포츠와 관련된 제품이나 장비에 비용을 지출함으로써 스포츠에 개인적으로 투자하는 사람 등을 종합하여 지칭한다.
    또한 생활양식은 지역적, 전통적, 종교적 구속으로부터 독립된 근대적인 행동유형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이다. 다시 말해서 이 용어는 고유한 생활형태를 선택할 수 있는 개인적 자유의지를 강조한다. 상대적인 자유의지의 의미에서 정의되는 생활양식은 오늘날과 같이 탈전통화, 세속화되고 개인화된 사회 속에서는 적절한 용어로 평가 받는다(김정노, 2002). 그러나 본 연구에서의 생활양식은 사회 전체의 또는 사회 일부에서 나타나는 차별적이고 특징적인 ‘생활형태’ 혹은 ‘생활태도’로 규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생활양식과 스포츠와의 관련 연구는 생활체육 참여자의 생활양식이 생활체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스포츠의 경기 성적과 스포츠 팬의 생활양식 변화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을 연고지로 한 L 프로야구 팬을 대상으로 프로스포츠 경기 성적이 그들의 생활태도나 생활양식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를 심층면담과 인지적 도식에 의한 질적 자료분석을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프로스포츠에서의 경기 성적의 중요성과 그 결과가 스포츠 팬의 생활양식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기존의 체육학 지식체계 보완에 기여
    2) 스포츠사회학 내의 질적 연구 방향 모색
    3) 인접학문과의 연계를 통한 체육학 연구의 전문성 제고
    4) 프로스포츠 활성화를 통한 체육인구의 저변 확대
    5) 프로스포츠 관람 결정 요인 분석을 통한 체육정책의 기초자료 제시
    6) 현대인의 생활양식 분석을 통한 건전 여가 문화 확립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프로스포츠 경기 성적이 소속된 스포츠 팬의 생활양식에 어떠한 변화를 줄 것인가에 관심을 갖고 출발한다. 스포츠 팬들은 대리적으로 운동선수 및 팀이 펼치는 경쟁을 공유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팬들은 그들이 좋아하는 운동선수 및 팀과 동일시함으로써 즐거움을 추구하면서, 경기결과에 스포츠 팬들은 행복감과 좌절감을 느끼기도 한다. 이러한 점에서 프로스포츠의 경기 성적이 소속 팬의 생활양식이나 태도 및 그들의 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는 연구는 직접적으로는 건전 여가 문화 형성 및 스포츠 인구의 저변 확대에, 간접적으로는 프로스포츠 활성화 및 체육정책의 기초 자료 제공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프로스포츠 경기성적이 스포츠팬의 생활양식에 어떠한 변화를 미치는 가를 탐색하기 위해 스포츠 팬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연구대상을 선정하며, 면담, 관찰, 관련문헌 등과 같은 다양한 자료를 구체화된 개념적 범주로 구성함으로써, 스포츠 팬이 가지고 있는 생활양식 변화의 패턴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적용하여 분석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문제를 설정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1) 한국 프로스포츠의 발전 단계 및 현황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2) 프로스포츠 팬의 관람 결정 요인에 대하여 알아본다.
    3) 스포츠 팬의 사회학적 개념과 의미 그리고 범위와 유형에 대하여 알아본다.
    4) 생활양식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분석방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5) 프로스포츠 팬의 관람 결정 요인 중 경기 성적이 스포츠 팬의 생활양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질적 연구를 통해 알아본다.
  • 한글키워드
  • 프로스포츠 경기 성적 스포츠 팬 생활양식
  • 영문키워드
  • pro-sports match result sports fan lifestyl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프로스포츠 경기 성적이 소속된 스포츠 팬의 생활양식에 어떠한 변화를 줄 것인가에 관심을 갖고 출발한다. 프로스포츠 관람 및 경기 성적이 소속 팬의 생활 양식이나 태도 및 그들의 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는 연구는 직접적으로 건전 여가 문화 형성 및 스포츠 인구의 저변 확대에, 간접적으로는 프로스포츠 활성화 및 체육정책의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을 연고지로 한 L 프로야구 후원회 소속 10명의 회원을 대상으로 경기 성적이 그들의 생활태도나 생활양식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를 심층면담에 의한 질적 자료분석을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프로스포츠에서의 경기 성적의 중요성과 그 결과가 스포츠 팬의 생활양식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lummer(1974)의 AIO 접근 방법인 활동(Activity), 관심(Interest), 의견(Opinion) 등 세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 분야는 직장업무, 직장동료, 동호회 활동 및 동료, 대인관계로 분류하였다. 직장업무에 관해서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 등 상반된 의견을 보이고 있으며, 직장동료 역시 본인의 노력 여하에 따라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비춰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호회 활동 및 동료에 관해서는 대부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호회 활동은 개인의 중요한 생활의 일부로 자리 잡고 있었다. 한편 대인관계에서는 전반적으로 새로운 인간관계를 통하여 사회성이 함양된 것으로 보이나, 지나친 시간 할애로 기존의 가까운 친구들과는 오히려 멀어지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둘째, 관심 분야는 가족 갈등과 가족 지지로 구분하였는데, 가족 갈등에서는 지나친 시간과 경비 투자로 대부분 부정적인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야구 관람 후 계속되는 술자리와 가족에 대한 관심 부족 등으로 인해 이혼이라는 가족 해체 현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가족 지지의 경우는 대부분 미혼인 사례에서 볼 수 있었으며, 부모가 야구 관람을 건전한 여가활동으로 간주하고 개인의 스트레스 해소 측면에서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드물게 가족이 함께 야구 관람을 하면서 가족 간의 화합을 도모하는 사례도 있었다. 셋째, 의견 분야는 관람문화, 음주문화, 야구 관람 및 동호회 가입 동기, 관람 및 경기 결과와 태도 변화로 구분하였다. 관람문화에 관해서는 조사 대상이 전부 동호회 가입 회원이기 때문에 홈경기는 대부분 관람하는 편이고 원정 경기도 자주 관람하는 경향이 있었다. 음주문화는 건전한 야구 관람에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주말에는 야구 관람 후 새벽까지 술을 마시는 경우도 있었다. 야구 관람의 동기는 주로 재미, 스트레스 해소, 기분전환, 여가활동 등이었으며, 동호회 가입은 함께 응원을 하면서 갖는 집단 소속감, 술자리, 새로운 동료를 사귀면서 갖는 대화 기회의 획득 등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관람 및 경기결과와 태도 변화에 대해서는 경기 결과의 여부가 직장 생활이나 가정생활 등 개인의 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경기 결과의 중요성을 재확인시켜 주었다.
  • 영문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match results of a professional sports team influenced on the life style of sports fans, their attitudes and culture. It seems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sound leisure culture and increasing sports people directly, and providing the basis of activation of professional sports and materials of physical education policy indirectly.
    For this study, 10 persons from fan club of "L" Pro Baseball team were selected and progressed by the profound individual interviews. The materials were analysed by AIO approaching method of Plummer (1974) in respect of activity, interest and opinion.
    First, their activity departments were divided into business work, business companion, the club activity, the club members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in business work and business companion, it was appeared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and the club activities were became the important part of their lives. Then, in relationship with others, they seemed to be increased their socialities through making a new relationship with the club members. But the heavy club activities were brought out the alienation of best friends.
    Second, their interest departments were divided into the conflict with family and the support by family. In the conflict with family, excessive time and expense of professional sports showed negative affects mostly and was resulted in family disorganization due to the unconcern of family. In support by family, parents boosted viewing of baseball games as the part of sound leisure activity and viewing of games was regarded as the dissolution of stress. Also, a family united though viewing baseball games rarely.
    Third, their opinion departments were divided into spectator culture, drinking culture, viewing of baseball games, the motivation joined fan club of a baseball team, the results of these matches and the change of their attitudes. In spectator culture, they as the club member viewed all the home games and the away games frequently. The drinking culture was the big obstacle of viewing baseball games soundly. The motivations of viewing baseball games were mainly interest, the solution of stress, relaxation and leisure activity. In joining pro baseball fan club, they shared the group affinity, had a drink and made new friends by supporting their teams together. Finally, in the results of these matches and the change of their attitudes, the results of games were influenced the life at home and the individual life of them surprisingl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프로스포츠 경기 성적이 소속된 스포츠 팬의 생활양식에 어떠한 변화를 줄 것인가에 관심을 갖고 출발한다. 프로스포츠 관람 및 경기 성적이 소속 팬의 생활 양식이나 태도 및 그들의 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는 연구는 직접적으로 건전 여가 문화 형성 및 스포츠 인구의 저변 확대에, 간접적으로는 프로스포츠 활성화 및 체육정책의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을 연고지로 한 L 프로야구 후원회 소속 10명의 회원을 대상으로 경기 성적이 그들의 생활태도나 생활양식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를 심층면담에 의한 질적 자료분석을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프로스포츠에서의 경기 성적의 중요성과 그 결과가 스포츠 팬의 생활양식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lummer(1974)의 AIO 접근 방법인 활동(Activity), 관심(Interest), 의견(Opinion) 등 세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 분야는 직장업무, 직장동료, 동호회 활동 및 동료, 대인관계로 분류하였다. 직장업무에 관해서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 등 상반된 의견을 보이고 있으며, 직장동료 역시 본인의 노력 여하에 따라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비춰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호회 활동 및 동료에 관해서는 대부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호회 활동은 개인의 중요한 생활의 일부로 자리 잡고 있었다. 한편 대인관계에서는 전반적으로 새로운 인간관계를 통하여 사회성이 함양된 것으로 보이나, 지나친 시간 할애로 기존의 가까운 친구들과는 오히려 멀어지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둘째, 관심 분야는 가족 갈등과 가족 지지로 구분하였는데, 가족 갈등에서는 지나친 시간과 경비 투자로 대부분 부정적인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야구 관람 후 계속되는 술자리와 가족에 대한 관심 부족 등으로 인해 이혼이라는 가족 해체 현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가족 지지의 경우는 대부분 미혼인 사례에서 볼 수 있었으며, 부모가 야구 관람을 건전한 여가활동으로 간주하고 개인의 스트레스 해소 측면에서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드물게 가족이 함께 야구 관람을 하면서 가족 간의 화합을 도모하는 사례도 있었다. 셋째, 의견 분야는 관람문화, 음주문화, 야구 관람 및 동호회 가입 동기, 관람 및 경기 결과와 태도 변화로 구분하였다. 관람문화에 관해서는 조사 대상이 전부 동호회 가입 회원이기 때문에 홈경기는 대부분 관람하는 편이고 원정 경기도 자주 관람하는 경향이 있었다. 음주문화는 건전한 야구 관람에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주말에는 야구 관람 후 새벽까지 술을 마시는 경우도 있었다. 야구 관람의 동기는 주로 재미, 스트레스 해소, 기분전환, 여가활동 등이었으며, 동호회 가입은 함께 응원을 하면서 갖는 집단 소속감, 술자리, 새로운 동료를 사귀면서 갖는 대화 기회의 획득 등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관람 및 경기결과와 태도 변화에 대해서는 경기 결과의 여부가 직장 생활이나 가정생활 등 개인의 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경기 결과의 중요성을 재확인시켜 주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는 서울을 연고지로 한 동호회 소속 L 프로야구 팬 10명을 대상으로 프로스포츠 경기 성적이 그들의 생활태도나 생활양식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를 심층면담에 의한 질적 자료분석 즉 영역분석, 분류분석, 성분분석, 주제분석 등을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프로스포츠에서의 경기 성적의 중요성과 그 결과가 스포츠 팬의 생활양식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lummer(1974)의 AIO 접근 방법인 활동(Activity), 관심(Interest), 의견(Opinion) 등 세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 분야는 직장업무, 직장동료, 동호회 활동 및 동료, 대인관계로 분류하였다. 직장업무에 관해서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 등 상반된 의견을 보이고 있으며, 직장동료 역시 본인의 노력 여하에 따라 긍적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비춰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호회 활동 및 동료에 관해서는 대부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호회 활동은 개인의 중요한 생활의 일부로 자리잡고 있었다. 한편 대인관계에서는 전반적으로 새로운 인간관계를 통하여 사회성이 함양된 것으로 보이나, 지나친 시간 할애로 기존의 가까운 친구들과는 오히려 멀어지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둘째, 관심 분야는 가족 갈등과 가족 지지로 구분하였는데, 가족 갈등에서는 지나친 시간과 경비 투자로 대부분 부정적인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야구 관람 후 계속되는 술자리와 가족에 대한 관심 부족 등으로 인해 이혼이라는 가족 해체 현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가족 지지의 경우는 대부분 미혼인 사례에서 볼 수 있었으며, 부모가 야구 관람을 건전한 여가활동으로 간주하고 개인의 스트레스 해소 측면에서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드물게 가족이 함께 야구 관람을 하면서 가족 간의 화합을 도모하는 사례도 있었다.
    셋째, 의견 분야는 관람문화, 음주문화, 야구 관람 및 동호회 가입 동기, 관람 및 경기 결과와 태도 변화로 구분하였다. 관람문화에 관해서는 조사 대상이 전부 동호회 가입 회원이기 때문에 홈경기는 대부분 관람하는 편이고 원정 경기도 자주 관람하는 경향이 있었다. 음주문화는 건전한 야구 관람에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주말에는 야구 관람 후 새벽까지 술을 마시는 경우도 있었다. 야구 관람의 동기는 주로 재미, 스트레스 해소, 기분전환, 여가활동 등이었으며, 동호회 가입은 함께 응원을 하면서 갖는 집단 소속감, 술자리, 새로운 동료를 사귀면서 갖는 대화 기회의 획득 등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관람 및 경기결과와 태도 변화에 대해서는 경기 결과의 여부가 직장 생활이나 가정 생활 등 개인의 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경기 결과의 중요성을 재확인시켜 주었다.
    또한 이에 따른 활용방안으로서는 1) 기존의 체육학 지식체계 보완에 기여 2) 스포츠사회학 내의 질적 연구 방향 모색 3) 인접학문과의 연계를 통한 체육학 연구의 전문성 제고 4) 프로스포츠 활성화를 통한 체육인구의 저변 확대 5) 프로스포츠 관람 결정 요인 분석을 통한 체육정책의 기초자료 제시 6) 현대인의 생활양식 분석을 통한 건전 여가 문화 확립에 이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색인어
  • 스포츠팬, 생활양식, 활동분야, 관심분야, 의견분야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