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근에 청소년의 신체활동참여가 점점 줄어드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몸짱담론이 그들의 신체활동소비를 자극하는 현상과 관련한 다음과 같은 개념적 연구문제 인식을 출발로 기획되었다. 먼저, 청소년은 왜 몸짱담론에 열광하는가? 왜 건강 및 체력담론은 청소년 ...
본 연구는 최근에 청소년의 신체활동참여가 점점 줄어드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몸짱담론이 그들의 신체활동소비를 자극하는 현상과 관련한 다음과 같은 개념적 연구문제 인식을 출발로 기획되었다. 먼저, 청소년은 왜 몸짱담론에 열광하는가? 왜 건강 및 체력담론은 청소년들에게 주변담론화되었는가? 둘째, 몸짱담론의 어떠한 메커니즘이 청소년의 신체/스포츠활동 소비 패러다임을 자극하는가? 등이다. 이러한 개념적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의 그림 1과 같은 연구디자인 및 연구주제에의 접근모형을 설정하고 청소년의 몸짱담론 수용과정과 신체활동 소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첫째, 몸짱담론은 청소년에게 어떻게 유통되는가? ▮ 청소년에게 몸짱담론은 무엇인가? ▮ 청소년은 누구를/무엇을 통해 몸짱담론을 접하는가? ▮ 청소년은 언제/누구와 몸짱담론을 이야기하는가? ▮ 청소년은 몸짱담론의 출처를 어디라고 믿는가? 그 출처를 신뢰(trust)하는가? ■ 둘째, 다른 신체담론에 비해 몸짱담론은 어떻게 주류담론으로서 유통되고 있는가? ▮ 청소년은 건강 및 체력담론을 알고 있는가? ▮ 청소년에게 몸짱담론과 건강, 체력 및 다른 신체담론은 어떻게 다른가? ■ 세째, 몸짱담론은 청소년의 신체/스포츠활동 소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몸짱담론은 청소년의 신체/스포츠 직접활동 소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몸짱담론은 청소년의 신체/스포츠 간접활동 소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몸짱담론은 청소년의 신체/스포츠 관련활동 소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기대효과
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신체에 관한 관심은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소년이 소비하고자 하며 또한 실제로 소비하고 있는 신체활동 그리고 이와 관련한 청소년들의 간접적 소비의 정확하고 심층적인 이해가 요구되어지고 있지만, 현실적인 이해의 노력이 ...
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신체에 관한 관심은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소년이 소비하고자 하며 또한 실제로 소비하고 있는 신체활동 그리고 이와 관련한 청소년들의 간접적 소비의 정확하고 심층적인 이해가 요구되어지고 있지만, 현실적인 이해의 노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한국사회의 최신 트렌드로 인식되고 있는 몸짱에 관한 담론이 청소년들에게 어떠한 과정을 거쳐 수용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수용과정은 청소년들이 신체활동을 소비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수용하고 있는 몸짱담론을 이해하여 청소년들이 소비하는 신체활동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효과 및 활용방안이 기대된다.
■ 이론 및 방법론적 측면에서의 학문적 가치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사회과학분야에서 미시 및 거시패러다임 중 가장 설명력이 있는 이론으로 인정받고 있는 후기구조주의 이론(poststructuralism)과 문화 이론(cultural studies) 그리고 Pierre Bourdieu 하비투스(habitus)개념을 이론적 준거틀로 이용할 것이다. 특히 담론과 담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성, 계층 그리고 권력 등의 분석은 후기구조주의와 소비문화이론을 이론적 틀로서 이용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청소년의 몸짱담론 수용과정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을 분석하고 후기구조주의 이론, 문화 이론 그리고 Pierre Bourdieu 하비투스 개념을 체육학분야에 확장·적용함으로서 보다 이론의 적용범위를 확장시켜 학문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몸짱담론 수용과정과 신체활동 소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어 기존의 체육학분야에서 사용되어오던 실증적이고 객관적인 자료를 이용한 연구방법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다시 구성하였다. 첫째, 연구의 전체적인 디자인 측면에서는 청소년의 신체활동 패러다임을 보다 실증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청소년의 신체활동 소비를 혁신적으로 유도하고 있는 몸짱담론을 이용하여 연역적 접근을 통한 그들의 패러다임을 추론할 것이다. 둘째, 연구방법의 측면에서는 질적연구 패러다임을 적용한 귀납적 접근을 통하여 청소년이 실제 언급한 신체활동소비와 몸짱담론, 즉 그들의 생활세계로부터 도출한 개개의 사례를 통해 현상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담론수용과 신체활동 소비의 주체인 청소년들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돕고, 그에 따른 후속연구를 촉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학문의 균형발전 기존의 청소년과 관련된 신체활동의 연구들은 대부분 양적패러다임을 통한 실증적이고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는데 주된 관심이 모여져 있었지만 본 연구는 질적연구 패러다임을 통한 해석적이고 심층적인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프레임은 다양한 연구의 패러다임의 적용을 통한 연구결과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는 기저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따라서 청소년의 몸짱담론 수용과정의 분석은 새롭게 적용되는 이론과 현상에 대한 다양한 이해를 열어주고, 자아와 사회를 통한 이론의 접근방법에 다양성을 증가시켜 줄 것이다.
■ 학문적 파급효과 ▪ 본 연구에서 분석한 청소년의 몸짱담론 수용과정과 신체활동 소비와 관련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얻어진 자료를 기초로 하여 후속연구의 모형을 설정하는데 있어 근거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주제에서 보는 것처럼 청소년의 몸짱담론의 수용과정을 규명하는 것은 단순하지 않다. 따라서 질적연구 패러다임을 적용한 본 연구의 결과물은 새로운 지식을 통한 청소년 몸짱담론의 문제점 제시와 새로운 담론을 제시하고 신체활동 소비와 연관성을 증명함으로써 체육학분야에서 신체활동과 관련된 학문적 담론을 활성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 나타나는 몸짱담론의 수용과정 분석은 청소년들이 수용하는 신체에 관한 주류담론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주류담론의 왜곡된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게 됨으로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청소년의 신체활동 참여가 사회적으로 지지되어지고 있는 현실이지만 청소년의 신체활동 참여율은 여전히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청소년이 신체활동을 참여하기에 개인적 혹은 사회·심리적으로 부정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신체활동 소비를 권장·촉진하기 위하여 지양되어야 할 부정적인 요인과 지향되어야 할 긍정적인 요인에 관한 구체적인 제시를 해 줌으로서 신체활동을 통한 건강한 몸 만들기에 기여할 것이다.
연구요약
최근, 청소년들의 체격은 급격히 커지고 있는 반면 체력수준은 현저히 떨어지고 있다. 과거에 비해 영양은 충분하게 섭취하고 있으나 에너지 소비는 턱없이 부족하여 청소년 비만이 사회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상황의 또 다른 예다. 이에 따라 우리사회는 청소년의 건강과 ...
최근, 청소년들의 체격은 급격히 커지고 있는 반면 체력수준은 현저히 떨어지고 있다. 과거에 비해 영양은 충분하게 섭취하고 있으나 에너지 소비는 턱없이 부족하여 청소년 비만이 사회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상황의 또 다른 예다. 이에 따라 우리사회는 청소년의 건강과 체력에 대한 관심고조와 함께 청소년을 위한 운동시설과 프로그램 보급 등을 확산시키는 정책적 노력을 있으나 정작 그 대상자인 청소년의 관심은 끌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며, 청소년들의 운동부족 현상은 여전하다. 청소년의 스포츠와 신체활동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도대체 왜 청소년들이 운동을 안하는가를 밝혀내지 못하고 있으며, 그들이 신체활동이나 운동에 대해 어떠한 패러다임으로 접근하는가에 대한 이해도 없는 실정이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양적연구 패러다임을 적용한 설문지조사를 통해 청소년의 신체활동 참여실태와 참여효과를 중심으로 보고되었다. 이들 연구의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청소년들의 활발하게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고 있고, 참가를 유도하기 위해서 학교나 지역사회 등에 여가프로그램이 운영되어져야 하며 시설 운영을 위한 자금이 지원되어야 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청소년들이 왜 신체활동에 참가하지 않는지에 대한 대답과 함께 신체활동 및 그 참가가 그들의 생활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에 대한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청소년을 위한 체육, 스포츠 및 신체활동 프로그램 또한 청소년들에게 매력적인 활동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체력증진을 위해 개발된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참여율이 저조한 실정인데, 이는 청소년이 무엇에 따라 신체활동 소비행동을 하는가에 대한 이해가 없는 상황에서 성인이 이해한 신체활동 패러다임을 통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때문이다. 청소년이 신체/스포츠활동을 좋아하지 않는다거나 다른 구조적인 요인 때문에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청소년들에게 신체활동보다 더 매력적인 다른 활동들이 있거나 혹은 특정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청소년을 열광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특정신체담론의 유통구조와 청소년의 신체/스포츠활동 소비문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후기구조주의이론(Poststructuralism)과 문화이론(Cultural Studies), 그리고 Bourdieu의 아비투스(habitus)개념을 분석의 준거틀로 이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에게 몸짱담론이 주류신체담론으로서 유통되는 과정과 그 담론이 신체/스포츠활동 소비를 자극하는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몸짱담론의 어떤 요소가 청소년의 신체활동 소비를 자극하는가를 알아내면 청소년들이 신체/스포츠활동에 대해 어떠한 패러다임을 가지고 있는가를 추론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가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자료접근에 심층적이고 개인적인 질적연구 패러다임(qualitative research paradigm)을 적용해야 한다. 연구대상과 도구, 절차 및 분석방법은 아래와 같다.
■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2005년 현재 서울시(강남, 강북)와 경기도(경기남부, 경기북부), 부산(동래), 경상북도(안동), 전라남도(목포) 및 제주도(제주시) 등 사회, 문화, 지리적 위치특성이 뚜렷한 6개 도시 8개 지역에 거주하는 만 13세부터 만 18세까지의 청소년을 모집단으로 설정한다. 조사대상의 선정은 먼저, 각 지역별로 유층집락 무선표집(stratified cluster purpose sampling)을 통해 중학교나 고등학교 1개교를 표집한 후 각 학교별로 성별을 고려하여 3명에서 8명의 집단을 구성한다. 따라서 각 지역별로 남·녀 청소년 집단면담 18그룹이 본 연구의 대상이다.
■ 조사도구 본 연구에서 질적연구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도구로서 반구조화된 심층집단면담 (semi-structured in-depth group interview), 몸짱 이미지자료(image sources of Mom-zzang), 몸짱을 목표로한 신체활동계획표 작성(Physical activity schedule aim for Mom-zzang) 방법을 사용할 계획이다. ■ 질적자료 분석 및 해석방법 자료 분석 및 해석은 먼저, 인터뷰자료와 신체활동 계획서 자료를 컴퓨터에 부호화(transcribing)하고, 몸짱 이미지자료는 스캐닝(scanning)한 후 질적연구자료 분석 프로그램인 NUDIST*Viv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절차에 따라 해석할 계획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수용하는 몸짱담론이 그들의 신체활동소비와 어떠한 연계를 형성하고 있는가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개념틀은 Foucault(1979)의 미시권력현상의 분석을 위한 담론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수용하는 몸짱담론이 그들의 신체활동소비와 어떠한 연계를 형성하고 있는가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개념틀은 Foucault(1979)의 미시권력현상의 분석을 위한 담론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Powers(2006)의 담론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청소년들의 몸짱담론을 계보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문헌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청소년들의 몸짱담론수용과정과 신체활동 소비를 위한 질적 자료는 전국의 주요 5개 도시권역에서 특성표집된 37명의 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학생들로부터 수집되었다. 청소년의 몸짱담론은 위생담론에서 체력담론으로, 그리고 건강담론으로 전환되어온 배경으로부터 포스트모던 사회의 몸에 대한 관심에서 연유된 전체사회의 몸짱담론이 매스컴과 중요타자 및 주변환경의 영향으로 청소년들이 주체적으로 구조화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몸짱담론의 구조를 지식, 권위, 가치의 측면에서 파악하였으며, 청소년 몸짱담론의 수용과정을 담론의 권력분석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몸짱담론의 수용에 따른 청소년들의 신체활동소비는 공부담론에 저항하는 신체활동 소비와 공부담론에 저항하지 않으면서 몸짱담론을 수용하는 신체활동 소비, 그리고 신체활동소비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놀이와 다이어트소비의 전략적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A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ccommodation Process of Mom-zzang Discourse and their Physical Activity Consumptions
Lee, Jong-Young(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 ...
A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ccommodation Process of Mom-zzang Discourse and their Physical Activity Consumptions
Lee, Jong-Young(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ccommodation process of Mom-zzang discourse and their physical activity consumptions. The theoretical framework was discourse analysis for micro-power exertion phenomenon developed by Foucault (1979) and the concrete discourse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Powers (2006). The related literature materials were analyzed for identifying the concept of Mom-zzang from genealogy perspective. For analyzing adolescents' accommodation process of Mom-zzang discourse and their physical activity consumptions, the qualitative data were gathered and analyzed from 37 male and female highschool students who were freshman and selected from all over the country. Adolescents' Mom-zzang discourse is found to be formulated by interacting between adolescents' interpretation and the information of large society's Mom-zzang discourse transmitted through media, significant others and their environment. This study identified the structures of adolescents' Mon-zzang discourse in terms of knowledge, authority, and value. And then adolescents' accommodation process of Mom-zzang discourse was presented through power analysis among discourses surrounded by adolescents. Their physical activity consumptions patterns were presented as physical activity consumption resisting to study discourse, as physical activity consumption accommodating Mom-zzang discourse without resisting to study discourse, and as consumption of play and diet resisting to physical activity consumption.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수용하는 몸짱담론이 그들의 신체활동소비와 어떠한 연계를 형성하고 있는가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개념틀은 Foucault(1979)의 미시권력현상의 분석을 위한 담론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수용하는 몸짱담론이 그들의 신체활동소비와 어떠한 연계를 형성하고 있는가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개념틀은 Foucault(1979)의 미시권력현상의 분석을 위한 담론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Powers(2006)의 담론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청소년들의 몸짱담론을 계보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문헌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청소년들의 몸짱담론수용과정과 신체활동 소비를 위한 질적 자료는 전국의 주요 5개 도시권역에서 특성표집된 37명의 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학생들로부터 수집되었다. 청소년의 몸짱담론은 위생담론에서 체력담론으로, 그리고 건강담론으로 전환되어온 배경으로부터 포스트모던 사회의 몸에 대한 관심에서 연유된 전체사회의 몸짱담론이 매스컴과 중요타자 및 주변환경의 영향으로 청소년들이 주체적으로 구조화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몸짱담론의 구조를 지식, 권위, 가치의 측면에서 파악하였으며, 청소년 몸짱담론의 수용과정을 담론의 권력분석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몸짱담론의 수용에 따른 청소년들의 신체활동소비는 공부담론에 저항하는 신체활동 소비와 공부담론에 저항하지 않으면서 몸짱담론을 수용하는 신체활동 소비, 그리고 신체활동소비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놀이와 다이어트소비의 전략적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청소년들의 몸짱담론은 계보학적으로 근대초기에 형성된 위생담론으로부터 연유한다. 이는 산업혁명이 본격화되던 19세기에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체력담론으로 전환되었으며, 현대사회에 들어서는 삶의 질 향상에 토대를 둔 건강담론으로 사람들의 행동을 감시하고 규율 ...
청소년들의 몸짱담론은 계보학적으로 근대초기에 형성된 위생담론으로부터 연유한다. 이는 산업혁명이 본격화되던 19세기에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체력담론으로 전환되었으며, 현대사회에 들어서는 삶의 질 향상에 토대를 둔 건강담론으로 사람들의 행동을 감시하고 규율하는 역할(Foucault, 1979)을 하게 되었다. 후기구조주의적 노력과 포스트모던 사회의 사회적 경향으로 대중문화적인 다양성과 복합성이 강조되면서 몸짱담론은 현대사회를 특징짓는 문화적 기호로 등장하였다. 청소년들은 전체 사회에서 형성된 몸짱담론을 미디어와 중요타자 및 주변환경의 영향으로 접하게 되며, 이로부터 자신들의 몸짱담론을 구조화시킨다. 청소년들의 몸짱담론은 지식구조에서 몸짱의 개념, 몸짱과 건강 및 체력의 관계 지식, 몸짱과 공부에 대한 지식, 몸관리에 대한 지식으로 구조화되어 있다. 권위구조에서는 지식의 형성통로에서 미디어, 중요타자, 주변환경의 순으로 신뢰성의 권위가 배분되어 있다. 가치구조에서는 성별과 신체조건 및 공부자원에 따라서 몸짱담론의 구조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성별에 따라서는 각각 여성성과 남성성을 높이는 내용에 큰 가치를 부여하고 있으며, 신체자원에 따라서는 자신의 신체조건이 몸짱의 조건과 불일치할 경우 몸짱의 조건에 더욱 큰 가치를 부여한다. 또한 공부자원에 따라서는 공부를 통한 성공가능성이 낮은 상황에서 몸짱담론에 더욱 큰 가치를 부여하는 경향을 보인다. 청소년들의 몸짱담론 수용과정은 몸짱담론이 지배적인 공부담론과의 경쟁을 통하여 수용되고 있다. 즉, 건강, 체력 담론의 지원을 받는 몸짱담론은 권력이 큰 공부담론의 전적인 수용으로 인하여 공부담론과 경쟁을 하게되는데 이 과정에서 굶기를 바탕으로 하는 다이어트 실천이나 회피행동으로서의 놀이담론 수용 유혹에 빠지게 된다. 몸짱담론의 수용에 따른 청소년들의 신체활동소비는 공부담론에 저항하는 신체활동 소비와 공부담론에 저항하지 않으면서 몸짱담론을 수용하는 신체활동 소비, 그리고 신체활동소비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놀이와 다이어트소비의 전략적 패턴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