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하이테크 멀티미디어 환경 속에서도 우리는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그리고 우리의 지식을 넓혀가기 위해 아직도 대부분이 읽기 능력에 의존하고 있다. 지난밤 야구경기의 결과가 궁금한 야구 열성팬은 신문의 스포츠 면을 가장 먼저 펼쳐 필요한 정보를 얻고, 해 ...
현대의 하이테크 멀티미디어 환경 속에서도 우리는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그리고 우리의 지식을 넓혀가기 위해 아직도 대부분이 읽기 능력에 의존하고 있다. 지난밤 야구경기의 결과가 궁금한 야구 열성팬은 신문의 스포츠 면을 가장 먼저 펼쳐 필요한 정보를 얻고, 해외 여행을 준비하고 있는 여행광은 인터넷에서 가고자 하는 곳에 관한 텍스트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수강 신청, 영화표 예매, 교양 및 학문적 차원의 지식․정보 얻기 등 많은 것들이 읽기라는 기능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더구나 정보의 바다인 인터넷 확산의 영향으로 우리는 수없이 많은 정보를 접하게 되며, 이러한 정보의 상당한 부분은 영어로 전달되어지므로, 유용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얻기 위해서는 영어로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무엇보다 필요한 것으로 간주된다. 제2언어 또는 외국어로서의 영어에 관한 최근의 교수 방법론적 입장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기본적인 언어 기능이 상호의존적인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학습되어야 하며 또한 학습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보편적인 경향이다(Brown, 2001; Celce-Murcia, 2001; Rivers, 1981). 이와 같은 견해는 구어(spoken language)와 문어(written language)로 배합된 양면성의 언어 기능이 필요하며, 이 두 측면의 기능을 활용할 기회가 상존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그러나 실제적 영어학습 상황에서 비영어권의 화자들에게는 위에서 언급한 4기능 중 읽기 기능에 편중되어 대부분의 학습시간을 독해력 연습에 할애하고 있다고 간주된다(Mikulecky, 1990; Mikulecky & Jeffries, 1986). 따라서,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한국의 영어 교육에서 듣기․말하기 위주의 구어기능 못지않게 읽기 기능 숙달을 위한 영어 독해력 교육은 강조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읽기 지도에 관한 체계적인 교수 학습자료 개발, 지도방법 및 평가방법의 모색이 상호 연계적으로 연구되어 그 성과가 수업 현장에 투입되어 좀 더 발전적인 영어 독해력 교수 학습을 이끌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오늘날의 한국적 영어 교육 상황에서 독해력 교육의 실태를 조사해 보면 구어기능인 듣기, 말하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과중한 양적 투자에 비해 그 성과는 별다른 차이 없이 답습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뿐만 아니라 그 동안의 국내 학자들의 연구에서 실제적인 교수학습에 적용가능한 독해력 지도방법면에서의 실험연구가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2004). 따라서 실제적이고 유용한 독해력 교수학습방법의 대체 없이는 그 중요성에 상응하는 교육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종래의 문법 번역식 차원에 기초한 교수학습 형태에서 탈피하여, 능동적이고 복합적인 독해과정을 올바로 인식한 상태에서 ‘속독 훈련’과 ‘자율독서 학습 방법(Pleasure reading/Sustained Silent Reading/Periodical Feedback)’의 두 가지 측면에서 통합적인 독해력 향상방안을 기획하여 실험설계를 세우고 종래의 전통적인 교수방법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실험적 교수방법으로 실험처치하여 그 성과를 비교분석 해봄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독해력 교수학습방법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기대효과
종래의 문법 번역 위주의 문제풀이 영어 독해력 교수방법에서 탈피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된 실험 유형의 교수 학습 방법이 외국어 학습자인 우리 한국의 대학생 영어 독해력 향상에 보다 촉진적이고 효율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외국어 학습 상황에서 읽기 기능의 중요성 ...
종래의 문법 번역 위주의 문제풀이 영어 독해력 교수방법에서 탈피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된 실험 유형의 교수 학습 방법이 외국어 학습자인 우리 한국의 대학생 영어 독해력 향상에 보다 촉진적이고 효율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외국어 학습 상황에서 읽기 기능의 중요성과 그에 따른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나머지 언어 기능보다 절실한 우리의 영어교육 현실을 감안할 때, 독해력의 핵심적 요소인 읽기 속도와 이해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한 기능별 요소 즉, 읽기 속도, 훑어 읽기, 논리구조, 통사 구조, 어휘 학습, 문화배경 및 세상지식 등을 주요 학습 요인으로 삼고 학습자의 개별적인 언어능력과 선택적 읽기를 통한 속독훈련은 다양한 교수학습 기법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대학 영어 독해 수업에 뿐만 아니라 현재 중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독해 수업 방법의 변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독해 유형별 문제풀이 형식의 수업은 학교 내신 성적이나 수능 시험 성적이라는 가시적인 성과에 효과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실제적인 진정한 독해 실력 연마에는 상당한 한계점이 있음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또한, 자율 독서 학습방법과 속독 연습을 통해 학습자는 자신의 독해 과정을 직접 계획하고 실천하여 학습자만의 자기 주도적 독서 방법을 터득해 갈 수 있을 것이다. 학습자가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해 나가는 과정은 현재 중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행평가와도 맞물려 생각해 볼 수도 있는데, 교사가 일방적으로 제시하는 과제를 수행하거나 제시된 과제 중에서 일부를 선택하여 수행하는 수동적인 평가에서 능동적이고 학습자 주도적 평가로의 전환도 기대해 볼 수 있다. 모든 연구는 그 나름의 의의와 성과가 있겠으나,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한국적 영어교육 상황에서 의사소통 기능의 4요소인 듣기․말하기․읽기․쓰기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읽기 기능 향상을 위한 새로운 실험적 탐색을 시도함으로써 종래의 관습적인 독해력 지도 효과와는 차별화된 성취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계획」에서 밝힌 바와 같이 외국어 학습자의 가장 큰 장애요소중의 하나인 속독 능력을 학습자에게 동기화시켜 학습자 스스로 자발적인 속독 욕구를 인식하게하고 이와 더불어 SSR과 Pleasure Reading 기법을 병행함과 동시에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정기적인 상담과 학습성과 점검을 수행함으로써 학습자 개개인의 독해력 신장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이 분야의 연구에 새로운 모형을 제시할 수 있다고 본다. 뿐만 아니라 읽기 기능은 쓰기 기능과 더불어 문어(written language)로써의 동질적인 요소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영어로 좋은 글을 쓸 수 있는 쓰기 교수학습 연구에도 유의미한 실마리와 시사점을 부수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내포하고 있다.
연구요약
본 연구는 외국어로 영어를 배우는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영어 독해력 신장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영어의 4기능 중에서 상대적으로 중요성을 점유하고 있는 독해력 교수 학습에 관한 연구는 지금까지 다양하게 진행되어 온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진정한 ...
본 연구는 외국어로 영어를 배우는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영어 독해력 신장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영어의 4기능 중에서 상대적으로 중요성을 점유하고 있는 독해력 교수 학습에 관한 연구는 지금까지 다양하게 진행되어 온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진정한 독해력 증진을 위한 지도 방법이나 학습과정에 관한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대안의 제시는 과소한 것 같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O대학교 <영어독해 >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 약80명을 대상으로 1개 학기 동안 실험을 실시한다. 실험에서 사용하는 교수 학습 방법은 속독훈련과 자율독서 학습방법(Pleasure Reading' Sustained Silent Reading / Periodical assessment & counseling)을 권장하는 동시에 수업 지도시에 지도 방법으로 활용한다. 반면에 통제반(비교집단)의 지도에는 실험반과 동일한 교수 자료를 부여하지만 종래의 의미 이해에 주력하는 전통적인 독해지도 방법(속독과 다독 또는 자율 읽기 등이 강조되지 않음)에 의해 수업이 진행된다. 진정한 독해력이란 ' 읽기 속도'와 '이해'를 균형있게 통합한 것이므로 기존의 독해력 교수학습에 결정적인 결함이 있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위와같은 실험 철치에 따라서 독해력의 주요 요소(읽기 속도, 훑어 읽기, 논리구조 이해, 어희 및 통사 학습, 배경지식)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내용과 방법을 구안하여 실험 설계를 만들고 실험을 실시한 후 사전 사후 평가 결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그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보다 나은 효율적 영어 독해력 교수 학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능동적이고 복합적인 독해과정을 올바로 인식한 상태에서 ‘속독 훈련'과 ’자율독서 학습 방법'의 두 가지 측면에서 통합적인 독해력 향상방안을 기획하여 실험설계를 세우고 종래의 전통적인 독해력 지도방법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실험적 지도방법 사이 ...
본 연구에서는 능동적이고 복합적인 독해과정을 올바로 인식한 상태에서 ‘속독 훈련'과 ’자율독서 학습 방법'의 두 가지 측면에서 통합적인 독해력 향상방안을 기획하여 실험설계를 세우고 종래의 전통적인 독해력 지도방법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실험적 지도방법 사이에 독해력 학습의 성과를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독해력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해 본 것이다. 영어 독해력 교수 학습에 효율적이라고 가정되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i) 읽기 속도 향상 방법, ii) 훑어 읽기 학습 방법 (skimming & scanning drills), iii) 논리 전개 구조 파악 연습, iv) 자율 독서 방법(reading for pleasure), v) 어휘 학습 및 vi) 문화 배경 및 세상지식 이해라는 필수적인 요소들을 실험처치 요인으로 구성하여 실험교수 방법으로 적용하였다. 1. 연구 대상 및 실험기간: 본 연구의 대상자는 충청남도에 소재한 대학교의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육과정 중 2006년 제1학기에 설강된 주당 3시간 3학점 단위인 「영어독해」강좌를 수강한 114명의 대학생이다. 이 중 1개반은 실험집단(58명)으로 나머지 1개반은 통제집단 (56명)으로 각각 선정하였다. 실험 기간은 2006년 3월부터 6월까지 15주 동안 한 학기에 걸쳐 실시되었다. 2. 교수 자료: 본 연구의 실험에서 사용한 교수 자료는 Fry, E. B.(2000). Reading drills: Middle level.이다. 3. 실험 처치: 실험반에서는 앞의 3절에서 제시된 독해력 교수학습 방법(읽기속도, 훑어읽기, 논리전개 구조 파악, 자율독서, 어휘 학습, 및 문화 배경과 세상지식)을 중심으로 지도하면서 특히 속독연습과 자율독서 활동하기를 강조하였다. 통제반에서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답습되어온 번역 중심의 본문 이해와 독해력 문제 풀이 과정으로 수업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속독 훈련과 자율독서 학습활동 중심의 지도방법(실험 교수방법)이 번역 위주의 독해력 지도 방법보다 학습자의 영어 독해력 향상에 매우 효과적이다. 둘째, 실험 교수방법에 의한 지도는 학습자의 종합적인 독해 능력, 즉 읽기속도와 이해도를 효과적으로 촉진시킨다. 셋째, 교수 방법과 학습자의 영어 독해수준(상급/하급)의 상호작용 효과면에서 볼 때, 실험 교수방법은 상급·하급 수준 모두에서 학습자의 속독 능력, 어휘력 그리고 이해력을 증진시킨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est for an effective teaching approach for improving students'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In this study we have proposed an experimental design to teach reading skills more effectively in classroom instru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est for an effective teaching approach for improving students'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In this study we have proposed an experimental design to teach reading skills more effectively in classroom instruction. In our experimental design, six essential elements of reading skills, derived from a large number of aspects of reading procedures, have been intensively instructed to students: (1) how to read fast; (2) how to skim and scan; (3) how to understand logical organization; (4) how to read for pleasure; (5) how to understand vocabulary; (6) how to understand cultural background and world knowledge. The global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hat depending on the teaching approaches (experimental of traditional),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between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The experimental approach is better as a way of improving th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than the traditional approach. Students have make more progress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s. Namely, the experimental approach has proved to be more effective in teaching th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than the traditional approach. So we can expect that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will be improved much more by an effective and systematic approach such as the experimental one which we have designed in this study rather than by traditional teaching approach which almost all teachers have adopted. Therefore, further studies on teaching reading skills are much needed and at the same time EFL qualified teachers for instructing their students by adopting and effective approach should make every effort to improv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This study is to suggest systematic and effective reading comprehension techniques or strategies to be used in EFL reading classes.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reading and reading process, six essential elements of reading comprehension are categor ...
This study is to suggest systematic and effective reading comprehension techniques or strategies to be used in EFL reading classes.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reading and reading process, six essential elements of reading comprehension are categorized: 1) reading speed; 2) skimming and scanning; 3) logical organization; 4) pleasure reading; 5) vocabulary; 6) cultural background and world knowledge. To present a mor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 to EFL reading comprehension than ever,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he hypothesis of the experimental study was that there would be a difference in students' reading speed as well as reading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depending upon the teaching approaches (experimental vs. traditional).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experimental teaching approach which intensifies speed reading and pleasure reading techniques as well as 4 other essential techniques of reading comprehension i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one in teaching and learning reading comprehension.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1. 연구 결과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속독 훈련과 자율독서 학습활동 중심의 지도방법(실험 교수방법)이 번역 위주의 독해력 지도 방법보다 학습자의 영어 독해력 향상에 매우 효과적이다. 둘째, 실험 교수방법에 의한 지도는 학습자의 종합적인 독 ...
1. 연구 결과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속독 훈련과 자율독서 학습활동 중심의 지도방법(실험 교수방법)이 번역 위주의 독해력 지도 방법보다 학습자의 영어 독해력 향상에 매우 효과적이다. 둘째, 실험 교수방법에 의한 지도는 학습자의 종합적인 독해 능력, 즉 읽기속도와 이해도를 효과적으로 촉진시킨다. 셋째, 교수 방법과 학습자의 영어 독해수준(상급/하급)의 상호작용 효과면에서 볼 때, 실험 교수방법은 상급·하급 수준 모두에서 학습자의 속독 능력, 어휘력 그리고 이해력을 증진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실험 유형의 독해지도 방법이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영어 독해력 향상에 보다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진정한 독해력의 요체인 속독 능력과 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읽기속도, 훑어읽기, 논리 구조 파악, 자율 독서, 어휘 학습, 문화 배경과 세상지식)에 따라 학습자의 현재 능력 수준을 고려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기법이나 전략을 활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교의 교실 수업 활동에서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자율 학습도 중요시된다.
2. 활용방안 본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은 부문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수능 영어시험, 중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영어학력평가시험 및 중간 또는 기말 영어시험을 포함하여 각종 영어 독해력 시험의 출제시에 출제자가 수험생의 속독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 요소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속독 능력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는 중요한 기본적 고려사항을 영어 평가에 반영시킬 수 있다. 둘째, 속독 연습이 가능한 학습용 교재 및 참고서 저작에 기여할 수 있다. 세째, 수업 시간 외에 학습자의 자율 학습 방법을 효율적으로 유도하고 학습자 자신의 언어 능력에 맞추어 읽고 싶은 분야, 주제, 지은이 등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능동적으로 다독의 기회를 넓힐 수 있는 영어 독해력 학습 방법을 제공해줌으로써, 자율학습 내지는 과제 학습 지도에 적극 활용할 수 있다. 네째, 한국 학생들에게 매우 부족한 속독 능력 학습방법을 제시한 본 연구 성과를 e-learning 컨텐츠에 연계하여 off-line 학습과 on-line 학습을 병행함으로써 독해력 학습을 신장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