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집단미술치료가 국제결혼가정(온누리안) 자녀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steem and society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Onnurian) childre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박사후국내연수)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6-351-C00054
선정년도 2006 년
연구기간 1 년 (2006년 09월 01일 ~ 200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오가영
연구수행기관 전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국제결혼의 증가 추세에 비추어 보면 현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국제결혼가정 자녀들은 많지 않지만, 공교육에 진입할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숫자는 몇 년 후 뚜렷하게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그들의 자녀들은 유아원, 유치원, 초등학교에 취원 또는 입학하여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부모들은 우리말, 우리글, 우리문화 부적응으로 그들의 자녀교육에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아동들은 자신감의 결여, 대인관계의 폐쇄적 형성과 학업성취도의 저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그 심각성이 크다는 것을 살펴 볼 수 있다.
    이에, 아동들이 즐겁게 학교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예방과 치유를 위해 유아, 초등단계에서 근본 대책을 강구해야 하며 특별한 지도와 전문적인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최근 들어, 미술치료가 소외당한 아동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다. 미술치료는 표현하기 불가능한 어려운 경험과 감정들을 표현할 수 있게 해주며, 불안한 심리상태에서 자신의 문제, 생각, 욕구, 감정들을 언어화하여 표출하는데 어려움을 가지는 사람들에게 그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아동의 내면세계와 외부세계와의 원활한 관계를 형성하고 공동 작업을 통해 대인 관계 및 사회성을 증진시켜, 개인의 상상력과 독특한 개성을 중요하게 평가함으로 긍정적인 자아상의 형성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기대효과
  • 국제결혼가정(온누리안) 자녀들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는 아동이 겪는 심리적인 외상의 낮은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및 사회성 문제에 중점을 두었으며, 나아가 아동의 사회생활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따라서 이들은 미술표현을 통해 자발적으로 사회에 참여하며 나와 가족에 대해 자긍심을 가지고, 더불어 함께 살아가야 할 또래나 그 외의 모든 대인관계를 형성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동들에게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예방치료 프로그램으로 실시되어진다면 아동이 좀 더 적극적이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국제결혼으로 가정을 이룬 집안의 자녀들은 성장과정에서 아동들은 자녀의 외모가 다르고, 외국인 출신이라는 점 그리고 어머니가 언어의 장벽과 정체성의 혼란으로 인하여 대인관계가 소극적인 것 등의 영향을 받게 되어 입학초기, 학년 초, 낯선 상황에서 이들의 자녀들은 대인관계 형성 과정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동료들로부터 소외를 당하거나 자신감을 잃어 학교교육에서도 주변으로 밀리고 있다. 또한, 다른 아동들에 비하여 외모가 특이하거나 어머니가 외국인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 더욱 놀림을 당하기도 한다(오성배, 2005). 또한 아동들이 생의 초기에 안정된 부모의 양육태도를 경험하지 못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경험들이 자신감의 결여, 대인관계의 폐쇄적 형성과 학업성취도의 저하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 소외당한 아동들에게 나타나는 것과 같이 불안, 분노, 무력감, 우울, 자기표현능력이 부족하고 정서적으로 안정되지 못하며 대인과계에서 다른 사람에 대한 경계와 의심 잘못된 지각 때문에 적절하지 못한 행동을 하며 사회기술이 부족하게 된다(전순영, 2003; Pierce, 1990). 더욱 우려가 되는 부분은 언어와 문화의 부적응 문제가 국제결혼가정 아동들의 성장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쳐서 이러한 경험들이(대인관계, 사회적인 관계) 청소년기와 성인이 된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영향을 미쳐서 계속적으로 문제를 파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외당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미술치료 매체를 활용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현시켜 그 상처를 치유함과 더불어 다른 아동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회적인 기술을 가지게 하는데 중점을 두고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집단미술치료, 국제결혼가정(온누리안) 자녀, 자아존중감, 사회성
  • 영문키워드
  • Group Art Therapy,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Onnurian) children, self-esteem, societ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의 부모상담이 양육행동과 양육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대상은 국제결혼가정 자녀로 전라북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저학년에 재학 중이며, 부모와 교사로부터 사회성이 부족하며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보고를 받은 아동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자아 존중감과 사회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으며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7명의 아동을 실험집단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못하는 아동 7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의 어머니가 부모 상담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1회씩 총 12회기로 1회는 60-70분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라포 형성단계(1-3회기)는 아동의 친밀감과 상호작용을 위한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내면의 감정표출단계(4-6회기)에서는 스트레스와 내면에 억눌린 감정을 표출하였으며, 사회성 향상단계(7-9회기)에서는 타인과 관계를 형성하는 기술과 협동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긍정적인 자아상 갖기(10-12회기) 단계에서는 자신에 대한 소중함과 미래에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측정도구로 질문지법과 면접법을 사용하였으며, 아동에게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검사를 부모에게는 양육행동과 양육스트레스(PSI)를 질문지법으로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정서적인 측면을 측정하기 위해 그림검사(HTP)를 면접법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에서 전체적인 자아 존중감과 학업 및 전반적 자아, 친구관련 자아, 가정적 자아, 신체외모 자아, 성격적 자아, 신체적 자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회성 검사에서는 협동성, 사교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에서는 온정이 양육스트레스에서는 일상적 스트레스, 자녀의 기질과 관련된 스트레스,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그림검사(HTP)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프로그램이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is study makes an attempt to search for the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in self esteem and sociability of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children and the effect of mothers' counseling on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7 children who are from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and attends to elementary school in chonbuk.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7, which a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self esteem, sociability, and HTP tests were conducted on the children, and the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tests were conducted on the mothers. The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12 periods of 60-70 minutes for each,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general self esteem, and academic-general, peer-related, home, physical-appearance and personality esteems. Also,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cooperation and sociabilit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warmth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in general stress and child's temperament related stress, study expectation related stress on parenting stress.
    Third,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children's HTP tes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최근 국제결혼의 비중이 증가로 인하여 그 사이에서 출생한 자녀의 숫자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어머니는 우리말, 우리문화 부적응으로 그들의 자녀교육에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자녀들은 학교생활에서 언어학습과 정체성, 대인관계 등에서 문제점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어 차후, 사회문제로 대두될 것으로 예견되어진다. 따라서 아동의 집단미술치료와 부모상담을 통하여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 어머니의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대상은 국제결혼가정 자녀로 전라북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저학년에 재학 중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7명의 아동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아동은 집단미술치료, 어머니는 부모상담에 참여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주 1회씩 총 12회기로 1회는 60-70분으로 구성, 부모상담은 5회 실시하였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친밀감 형성단계(1-3회기)는 아동의 친밀감과 상호작용 증가, 내면의 감정표출단계(4-6회기)는 스트레스와 내면에 억눌린 감정 표출, 사회성 향상단계(7-9회기)는 타인과 관계를 형성하는 기술과 협동심 갖기, 긍정적인 자아상 갖기 단계(10-12회기)는 자신에 대한 소중함과 미래에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부모상담은 부모의 노력에 대해 지지해주고 좌절하지 않도록 격려해주었으며 양육행동에 관해 정보를 제공하였다 .
    측정도구로 질문지법과 면접법을 사용하여, 아동은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검사, 어머니는 양육행동과 양육스트레스(PSI)를 질문지법, 아동의 정서적인 측면을 위해 그림검사(HTP)를 면접법으로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에서 전체적인 자아 존중감과 학업 및 전반적 자아, 친구관련 자아, 가정적 자아, 신체외모 자아, 성격적 자아, 신체적 자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회성 검사에서는 협동성, 사교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에서는 온정이, 양육 스트레스는 일상적, 자녀의 기질과 관련, 학습기대와 관련 스트레스, 전체 스트레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그림검사(HTP)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이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스트레스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는 아동에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아동들의 집단 원 속에서 자신에 대한 타인의 지각을 알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하였으며, 서로 도움을 주고받고 서로를 지지해주고 문제해결을 도와주며, 다른 집단 원의 피드백을 나누게 하여 아동의 내면의 문제를 긍정적으로 해결하고 희망을 가지게 하였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김은영(2003), 김화정(2002), 박성환(2004), 오희숙(2002), 지규남(2002),는 집단미술치료에서 서로의 그림을 보완해 주거나 도화주는 과정을 속에서 개개인의 집단원은 자신이 남을 돕고 있다는 경험을 통해 소속감을 느낄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본 프로그램의 사회성 향상 단계 프로그램에서 서로 본떠주고 꾸미기, 다함께 협동하여 그리기, 규칙을 정하고 돌려 그리기는 각자가 만든 작품이 다른 집단구성원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게 되고 소중히 다루어지는 것을 보고 마치 자신이 존중 받는다는 느낌을 가지게 하여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공동작업을 통해 대화와 타협하는 기술을 자연스럽게 터득하여 협동작업을 활용하여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또래관계 개선과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한 신기은(1999)과 김화정(2002)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살펴볼 수 있으며, 그림의 전체적 구도에서 안정감을 찾았고 사회적인 교류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으며 점차 긍정적인 자아상을 가져가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어 이선화(2007)와 김지현(2004)등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이 결여된 아동에게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긍정하는 효과가 입증된 연구의 HTP 그림의 표현과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강말녀(2006)의 연구에서 부모 상담과 연계하여 미술치료를 실시한 결과 아동의 학교부적응문제가 감소되었다. 이와 같이 부모 상담으로 인하여 본 연구에서도 어머니가 온정적인 양육행동을 가졌으며, 양육 스트레스가 감소되어 어머니에게도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가질 수 있는데 효과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집단미술치료는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심리적인 문제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활용방안으로 보여지며, 어머니에게도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 안정적이고 긍정적인 변화를 위해 활용되어질 수 있다고 본다.
  • 색인어
  • 국제결혼가정 자녀, 집단미술치료, 자아존중감, 사회성, 양육행동, 양육 스트레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