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표는 한-독 기술분야의 문서소통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는 통제언어(Kontrollierte Sprache, controlled language)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i) 다방면에서 이루어지는 양국간 문서 소통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한편, (ii) 언어 간, 또는 국 ...
본 연구의 목표는 한-독 기술분야의 문서소통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는 통제언어(Kontrollierte Sprache, controlled language)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i) 다방면에서 이루어지는 양국간 문서 소통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한편, (ii) 언어 간, 또는 국각 간 문서 소통에 적용될 수 있는 문서 통제의 보편 원칙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기여하는 데 있다.
기대효과
(1) 한-독/독-한 기술문서 소통의 효율성 제고: 연구의 결과로 얻게 될 통제언어 모형은 한-독, 독-한 양방향 번역의 성공률과 품질을 제고하는 데 직접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이다. 통제언어 모형이 적용되는 한국어 기술 문서가 간결하고 명확해지고, 이에 의해 독일어로 ...
(1) 한-독/독-한 기술문서 소통의 효율성 제고: 연구의 결과로 얻게 될 통제언어 모형은 한-독, 독-한 양방향 번역의 성공률과 품질을 제고하는 데 직접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이다. 통제언어 모형이 적용되는 한국어 기술 문서가 간결하고 명확해지고, 이에 의해 독일어로 번역해야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가 쉽게 이해될 것이기 때문이다. 독일어의 기술문서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경우에도 최종적인 언어 표현을 통제언어의 기준에 맞춘다면, 번역된 문서의 가독성을 크게 제고시킬 수 있게 될 것이며, 이와 같은 양방향 번역 품질의 제고는 한국과 독일의 기술 문서 교류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본다. (2) 통제언어 R&D 활성화 (2-1) 통제언어 관련 후속 연구 촉발: 본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어 한-독 기술문서를 위한 통제언어 모형이 최초로 개발된다면, 다른 종류의 문서에 적용될 수 있는 통제언어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는 많은 후속 연구들을 촉발하게 될 것이다. 심리학적 관점에서 문서의 이해에 사용되는 인지전략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작업 뿐 아니라, 실용적 차원에서 문서의 가독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는 작업 역시 중요하다는 점이 분명히 드러날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지속적으로 새로운 기술문서를 작성하고 다른 언어로 번역해야 하는 기업들의 관심을 촉발하여 통제언어에 대한 학-연-산 공동 연구가 시작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실제적인 활용가치가 큰 통제언어 모형들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2-2) 연구 모형의 방법론적 활용: 본 연구는 실제 문서에 적용되어 가독성과 번역 수월성을 제고할 수 있는 한국어 통제언어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전 과정과 결과, 그리고 그 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시행착오는 통제언어에 대한 후속 연구에 매우 유익한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개발한 통제언어 모형에는 또 다른 유형의 문서들에도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쓰기규칙이 포함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어휘집을 확장하는 것만으로도 새로운 유형의 문서에 적용될 수 있는 통제언어 모형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3) 한국어-다국어 기술문서 소통의 효율성 제고: 한-독 문서 소통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통제언어 모형은 독일어가 아닌 다른 언어권과의 문서 소통과도 깊은 관련성을 가진다. 가독성을 높여 독일어로의 번역 수월성을 제고한 문서는 예컨대 영어나 중국어, 또는 프랑스어나 스페인어로의 번역도 분명 용이하게 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할 통제언어 모형의 적용 영역이 일단은 기술 문서 혹은 이와 유사한 영역의 문서로 제한되겠지만, 이 정도만으로도 단일 연구의 파급효과로는 상당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4) 대학 교과과정 개발: 통제언어 개발을 독어학 분야에서 선도하게 된다면, 연구 진행의 이론적 토대와 방법론, 그리고 결과와 그 응용 가능성에 관련된 매우 시의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독어독문학 영역에 도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연구의 필요성을 밝힌 부분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본 연구는 독어학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것은 연구에 참여한 독어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독어독문학 교육의 외연 또한 확장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노력은 지금까지와는 또 다른 시각에서 독어독문학 교육의 프로그램을 다변화하고자 하는 시도들을 추가로 촉발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독어독문학 교육이 보다 활성화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외국인을 위한 언어 교육 분야에서도 통제언어의 활용가치는 상당히 크다. 특히 영어의 경우 외국어로서의 영어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가치가 중요한 통제언어 개발 취지로 꼽히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 이르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에 대한 교육 수요가 증가 추세에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통제언어 모형은 기술 문서의 언어표현에 우선적으로 초점을 맞추지만, 여기에서 개발된 쓰기 규칙들은 기술 문서에만 국한되는 것들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초점을 맞추는 통제언어가 개발된다면, 본 연구가 그러한 목표의 달성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연구요약
통제언어는 자연언어 체계를 인위적으로 ‘통제’하여 얻은 일종의 축소된 언어체계를 말한다. 이때 통제되는 것은 어휘집과 쓰기규칙이다. 즉, 통제언어의 어휘집은 해당 언어의 어휘들 중 필요한 것들만을 선별하여 선별된 어휘의 범주적, 의미적 용법을 엄격히 제약해 놓 ...
통제언어는 자연언어 체계를 인위적으로 ‘통제’하여 얻은 일종의 축소된 언어체계를 말한다. 이때 통제되는 것은 어휘집과 쓰기규칙이다. 즉, 통제언어의 어휘집은 해당 언어의 어휘들 중 필요한 것들만을 선별하여 선별된 어휘의 범주적, 의미적 용법을 엄격히 제약해 놓은 것이며, 통제언어의 쓰기규칙은 문서에 사용해도 좋은 문장구조와 사용해서는 안 되는 문장구조가 어떤 것들인지를 규정해 놓은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일어로 자주 번역되는 기술문서 데이터베니스를 구축한 후 이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통제언어 어휘집과 쓰기규칙을 개발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1) 쓰기규칙 개발: 통제언어 쓰기규칙의 개발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1-1) 기술문서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가독성에 문제를 일으키는 문장들을 추출하고 문제 유형별로 분류한다. (1-2) (1-1)에서 추출, 분류한 문장들이 지니는 문제점들을 원천 봉쇄할 수 있는 쓰기규칙들을 설정한다. (1-3) (1-2)에서 설정한 쓰기규칙들이 실제로 문장의 가독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하는지를 확인하는 언어실험(자율조절읽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쓰기규칙의 효율성을 검증한다. (2) 어휘집 개발 (2-1) 기술문서 데이터베이스에 등장하는 어휘들을 전문어와 일반어휘로 구분하고, 일반어휘들을 추출하여 기초 어휘집을 구성한다. (2-2) (2-1)에서 구성한 기초 어휘집을 분석하여 어휘들이 특정 의미로 사용되는 빈도를 확인하는 한편, 하나의 어휘에 단 하나의 의미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수정된 기초 어휘집을 구축한다. (2-3) 어휘들이 (2-1)에서 할당한 의미로 사용되는 용례와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용례를 일대일로 대비킨 용례집을 만든다. (2-4) (2-3)에서 구축한 용례집을 토대로 통제언어 어휘집을 구축한다. (3) 통제언어 모형 검증: (1)과 (2)의 과정을 통해 개발된 통제언어 모형을 다음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종합적으로 검증한다. (3-1) 번역 수월성 고급 수준의 독일어 실력을 갖춘 한국인에게 통제언어가 적용되기 전, 후의 문서를 각각 독일어로 번역하게 하는 실험을 수행한다. 이때 번역에 걸리는 시간과 번역의 정확도 두 가지를 측정함으로써, 통제언어의 적용이 번역의 수월성도 제고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3-2) 기술문서 작성(technical writing) 기술문서 작성자들로 하여금 본 연구에서 개발된 통제언어 모형에 입각하여 실제 기술문서를 작성해 보도록 한다. 이를 통해 개발된 통제언어 모형에서 이해가 쉽지 않거나 불필요한 오해를 야기하는 요인들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4) 산학협동 세미나 및 학술대회: 한국기술커뮤니케이션협회와의 산학협동세미나와 산학협동학술대회를 통해 (1)-(3)의 과정을 통해 개발, 검증된 통제언어모형의 실제적인 적용 가능성과 문제점에 대한 산업계의 피드백을 얻는다. (5) 통제언어 모형 수정 및 확장: (4)를 토대로 1차 통제언어 모형을 수정, 확장하는 2단계 연구를 수행한다. 2단계 연구의 방법과 진행 절차는 본질적으로 1단계의 그것과 동일하다. (6) (5)의 과정을 거쳐 기술문서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통제언어 최종 모형을 확정한다.
psycholinguistics,lexicon,writing rules,translatability,self-paced reading,controlled language,technical writing,translation,readability,technical communica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문서의 가독성과 번역수월성 제고를 목표로 하는 통제언어 모형에 포함되어야 할 다양한 유형의 문장구성원리, 즉 쓰기규칙들을 개발하고 검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심리언어학의 가독성 측정 방법과 전산언어학의 자동번역 시스템이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통제 ...
문서의 가독성과 번역수월성 제고를 목표로 하는 통제언어 모형에 포함되어야 할 다양한 유형의 문장구성원리, 즉 쓰기규칙들을 개발하고 검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심리언어학의 가독성 측정 방법과 전산언어학의 자동번역 시스템이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통제한국어(Controlled Korean)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작업에서 출발하여 영어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권에서 이미 개발된 기존의 통제언어 모형의 장단점을 검토하였으며, 한국어 기술문서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가독성/번역성에 불필요한 문제를 일으키는 문장 구성상의 오류들을 유형화한 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대용량 기술문서 코퍼스를 구축하였으며, 후속 유관 연구들이 활용할 수 있는 수준의 형태소 태깅 작업을 진행하였다.
영문
In this project various types of writing rules which should be included in the model of controlled Korean have been developed. Whether the developed rules in fact improve readability and/or translatability of technical documents has been empirically t ...
In this project various types of writing rules which should be included in the model of controlled Korean have been developed. Whether the developed rules in fact improve readability and/or translatability of technical documents has been empirically tested based on psycholinguistic methods and techniques of automatic translation. A morphologically annotated corpus of various kinds of technical documents has been constructued and used as a database for the research.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국제 교류에 수반되는 언어적 소통은 면 대 면으로 이루어지기도 하고, 여러 종류의 문서를 통해 이루어지기도 한다. 그런데 면 대 면 언어 소통에서는 소통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즉각적인 조처를 취할 수 있지만, 문서에 의한 언어 소통의 경우 ...
국제 교류에 수반되는 언어적 소통은 면 대 면으로 이루어지기도 하고, 여러 종류의 문서를 통해 이루어지기도 한다. 그런데 면 대 면 언어 소통에서는 소통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즉각적인 조처를 취할 수 있지만, 문서에 의한 언어 소통의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문서에 의한 소통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오해나 소통 장애의 소지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명료한 방식으로 문서를 작성함으로써 문서의 가독성을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문서의 가독성이 높아지면 번역의 수월성 또한 자연스럽게 제고됨으로써 국제적인 문서 교류의 효율성이 높아질 뿐 아니라, 문서 교류의 비용도 크게 절감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가독성과 번역 수월성 제고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문서 작성의 원칙들을 찾아내고 검증함으로써 언어 간, 또는 국가 간 문서 소통에 적용될 수 있는 문서 통제의 보편 원칙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1) 한-독/독-한 기술문서 소통의 효율성 제고 본 연구의 결과는 한-독, 독-한 양방향 번역의 성공률과 품질을 제고하는 데 직접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이다. 통제언어 모형이 적용되는 한국어 기술 문서가 간결하고 명확해지고, 이에 의해 독일어로 번역해야 하는 내용이 ...
(1) 한-독/독-한 기술문서 소통의 효율성 제고 본 연구의 결과는 한-독, 독-한 양방향 번역의 성공률과 품질을 제고하는 데 직접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이다. 통제언어 모형이 적용되는 한국어 기술 문서가 간결하고 명확해지고, 이에 의해 독일어로 번역해야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가 쉽게 이해될 것이기 때문이다. 독일어의 기술문서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경우에도 최종적인 언어 표현을 통제언어의 기준에 맞춘다면, 번역된 문서의 가독성을 크게 제고시킬 수 있게 될 것이며, 이와 같은 양방향 번역 품질의 제고는 한국과 독일의 기술 문서 교류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본다. (2) 통제언어 R&D 활성화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유형의 문서에 적용될 수 있는 통제언어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는 많은 후속 연구들을 촉발하게 될 것이다. 심리학적 관점에서 문서의 이해에 사용되는 인지전략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작업 뿐 아니라, 실용적 차원에서 문서의 가독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는 작업 역시 중요하다는 점이 분명히 드러났기 때문이다. 특히 지속적으로 새로운 기술문서를 작성하고 다른 언어로 번역해야 하는 기업들의 관심을 촉발하여 통제언어에 대한 학-연-산 공동 연구가 시작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실제적인 활용가치가 큰 통제언어 모형들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3) 한국어-다국어 기술문서 소통의 효율성 제고 한-독 문서 소통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통제언어 모형은 독일어가 아닌 다른 언어권과의 문서 소통과도 깊은 관련성을 가진다. 가독성을 높여 독일어로의 번역 수월성을 제고한 문서는 예컨대 영어나 중국어, 또는 프랑스어나 스페인어로의 번역도 분명 용이하게 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쓰기규칙은 일단은 기술 문서 혹은 이와 유사한 영역의 문서로 제한되겠지만, 이 정도만으로도 단일 연구의 파급효과로는 상당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4) 대학 교과과정 개발 본 연구의 결과는 독어학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것은 연구에 참여한 독어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독어독문학 교육의 외연 또한 확장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노력은 지금까지와는 또 다른 시각에서 독어독문학 교육의 프로그램을 다변화하고자 하는 시도들을 추가로 촉발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독어독문학 교육이 보다 활성화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외국인을 위한 언어 교육 분야에서도 통제언어의 활용가치는 상당히 크다. 특히 영어의 경우 외국어로서의 영어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가치가 중요한 통제언어 개발 취지로 꼽히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 이르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에 대한 교육 수요가 증가 추세에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통제언어 모형은 기술 문서의 언어표현에 우선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여기에서 개발된 쓰기 규칙들은 기술 문서에만 국한되는 것들이 아니다. 따라서 앞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초점을 맞추는 통제언어가 개발된다면, 본 연구의 결과가 그러한 목표의 달성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6) 자동번역 기술 개발에의 함의 기계번역기의 번역율 제고를 위해 개발실험 중인 체커의 문법 및 구조분석 기능에 보다 상세화된 통제 쓰기규칙과 통제 어휘집이 적용된다면 체커의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기술문서 작성자들의 문서작성 프로그램에 통제 어휘집이 명제분석에 근거한 템플릿으로 포함되어 활용된다면 보다 정확하면서도 단순명제 구성에 기반한 단순하면서 논리적인 원문 작성이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