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광고모델이 청소년의 육체이미지 혼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대중매체 및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 ‘유사사회적 상호작용’과 ‘추정된 매체 영향’을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기초연구지원인문사회(창의주제연구)
연구과제번호 2006-321-B01119
선정년도 2006 년
연구기간 1 년 (2006년 11월 01일 ~ 2007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윤태일
연구수행기관 한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신체적 매력을 앞세운 광고모델이 광고상품에 대한 보증인(endorser)으로서 소비자를 설득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란 것은 광고업계에서 일종의 전통적 지혜 (conventional wisdom)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광고학자나 실무자들의 일반적 통념은 매력있는 광고모델은 소비자들의 광고태도 및 상표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리라는 것이다. 이러한 통념에 근거하여 광고실무자들은 설득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매력적인 육체를 광고에서 최대한 활용해왔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지난 2-30년간 이렇게 이상화된 육체 이미지(idealized body image)가 미국의 대중매체에서 갈수록 증대해왔다고 한다(Harrison, 2000).
    그런데 많은 미디어 비평가들은 이러한 이상화된 육체 이미지가 소비자에게 의도하지 않은 부정적 파급효과를 야기한다고 비판해왔다. 특히 사춘기 청소년 소비자들이 광고모델의 지나치게 날씬한 몸매와 자기의 몸매를 비교함으로써 자기 몸에 대해 열등감을 갖게되어, 전반적인 자아존중감(self-esteem)이 손상되는 육체이미지 혼란을 겪게 된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광고 모델처럼 날씬해지려고 과도한 다이어트를 시도하여, 심한 경우 거식증이나 폭식증같은 섭취장애 (eating disorders)를 야기할 수 있다고 비판한다.
    보건 전문의, 교육학자, 임상 심리학자, 페미니스트, 매체 비평가 등은 대중매체나 광고, 다이어트 및 패션산업 등이 소비자에게 이러한 육체이미지 혼란을 야기하는 주범이라며 비판해 왔다. 그리하여 대중매체가 육체이미지 혼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행해졌다 (윤태일, 2004; Cusumano & Thompson, 1990; David and Johnson 1998; Gulas & McKeage 2000; Martin & Gentry 1997; Myers & Biocca 1992; Richins 1991; Stephens, Hill, & Hanson 1994 참조). 하지만 그동안의 연구들은 서로 모순된 결과를 보여주어, 보타(Botta, 1999)가 지적하듯이, 광고 등 대중매체와 육체이미지 혼란과의 관계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수수께끼의 파편조각만을 밝혔을 뿐이다.
    이러한 파편적인 수준의 이해에 머무른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을 수 있다. 그중 하나가 육체이미지 혼란에 대해서 대중매체만을 따로 분리하여, 그중에서도 매체의 직접적인 영향에만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일 수 있다. 육체이미지 혼란에 대한 전모를 온전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대중매체뿐 아니라, 몸에 대해서 가족이나 친구 등과 나누는 대화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육체적 매력을 강조하는 광고모델이 청소년기 소비자에게 육체이미지혼란을 야기하는가를 고찰함에 있어서, 대중매체 및 대인 커뮤니케이션(mass media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의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려는 한다.
    특히 육체이미지혼란에 미치는 대중매체의 영향을 고찰함에 있어서는, 광고모델과의 마치 현실 속의 친구나 이웃처럼 친근하게 여기며 상호작용을 한다는 유사사회적 상호작용(parasocial interaction)의 역할에 주목하고자 한다(Horton & Whol, 1956).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역할과 관련해서는 추정된 매체영향 (presumed media influence)의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볼 것이다. 건써와 스토리(Gunther & Storey, 2003)는 대중매체가 수용자에게 직접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미칠 것이라는 추정이 다시 수용자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 그러한 타인에 대한 영향력 추정은 다른 사람과의 대화를 통해 주로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유사사회적 상호작용’과 ‘추정된 매체 영향’이라는 두 가지 개념에 주목하여, 소비자의 육체이미지혼란에 미치는 광고모델의 영향을 고찰함에 있어서, 대중매체와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서베이 데이터를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할 것이다.
  • 기대효과
  • 몸이 시대의 화두가 되고 있는 이른바 육체사회(body society)에서, 그동안 광고모델의 아름다운 몸매가 산출하는 설득 및 마케팅 효과에 관한 연구는 많았지만 청소년 소비자의 신체적 자아존중감 등에 미치는 사회심리적 분석은 국내에서 부족한 형편이다. 이 논문은 광고모델의 육체이미지가 대중 및 대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청소년 소비자의 신체적 자아존중감 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그 심리적 메카니즘을 경험적 데이터를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커뮤니케이터가 의도한 직접적인 효과 뿐 아니라 커뮤니케이터가 의도하지 않은 간접적인 영향이 광고모델을 통해 어떻게 청소년기 여성 소비자 사이에서 산출되는가를 규명함으로써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 소비자 행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것으로 기대된다. 캐니다나 호주에서는 광고모델을 활용할 때 광고에서 그 육체 이미지 묘사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해 크리에이티브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고 정책적 권고사항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선진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결과는 향후 소비자 교육이나 미디어 교육 차원에서 폭 넓게 활용되고 더 나아가 청소년 관련 광고정책 수립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대중매체 및 대인커뮤니케이션, 육체이미지혼란과 대중매체, 제2자효과 및 추정된 미디어 영향력에 대한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해서 이 연구는 육체적 매력을 강조하는 광고모델이 청소년 소비자 사이에서 육체이미지혼란을 야기하는가를 대중매체 및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영역에서 동시에 살펴보려 한다. 우선, 대중매체의 영향과 관련해서 유사사회적 상호작용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다음과 같은 가설을 검증할 것이다. 유명인(celebrities)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것처럼, 유명인을 다루는 대중매체에 대한 이용은 유명인에 대한 유사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연결된다 (가설1a). 따라서 육체적 매력을 강조하는 모델에 대해서 주목하는 사람일수록 광고모델과 유사사회적 상호작용을 경험할 것으로 예상한다 (가설1b). 또 유사사회적 상호작용이 동일화 갈망의 필요조건인만큼, 광고모델과 유사사회적 상호작용을 많이 경험하는 사람일수록 모델과 닮고 싶어하는 동일화를 갈망할 것이다 (가설1c). 광고모델에 대한 동일화를 갈망하는 사람일수록 광고모델의 이상화된 육체이미지가 자신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지각할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지각하는 사람은 실제로 육체이미지의 혼란을 경험할 것이다 (가설1d).
    육체이미지에 미치는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는 추정된 매체 영향 개념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검증한다. 육체적 매력을 앞세운 광고모델에 주목하고 그와 관련해서 주위 사람들과 대화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이상화된 육체이미지가 도처에 만연해 있다고 지각할 것이다 (가설 2a,b). 그러한 육체이미지가 만연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러한 육체이미지에 영향을 많이 받을 것이라고 추정할 것이다 (가설 2c). 한편 이상화된 육체이미지에 자신이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마찬가지로 다른 사람도 영향을 많이 받으리라고 추정할 것이다 (가설2d). 다른 사람이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생각한다고 해도, 만약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의 생각 등에 별로 신경쓰지 않는 사람이라면 육체이미지 혼란을 덜 겪을 것이다. 따라서 타인에 대한 영향력 추정이 육체이미지혼란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의 사회적 비교성향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즉, 육체이미지가 다른 사람에게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추정하는 사람일수록 육체이미지 혼란을 많이 겪는데, 특히 그 중에서도 평소 주위 사람들의 시선과 생각에 예민하게 반응하여 사회적 비교 성향이 높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훨씬 더 심하게 육체이미지 혼란을 겪을 것이다 (가설2e).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서베이를 실시한다. 특히 사춘기의 급격한 신체적 변화로 몸에 대한 관심과 이성에 대한 관심이 많은 여자 중학생 400명 정도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다. 특정 여자 중학교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교사의 승낙을 받은 후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할 것이다. 우선 광고모델의 이상화된 육체이미지에 대한 인식과 유사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광고모델이 응답자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인물의 유사한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도록 통제할 필요가 있다. 우선 사전 조사를 통해 육체적 매력을 강조하는 대표적인 여자 광고모델 3인(보기: 전지현, 이효리, 옥주현)을 선정하고, 그들의 화장품이나 패션 광고물 중에서도 특히 매력적인 몸매를 강조하여 이상화된 육체이미지를 담고있는 방송광고물(CF)을 각각 3편씩, 총 9 편 정도를 영상물로 편집한다. 여자 중학생들에게 광고 영상물을 먼저 보여준 후, 가설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변인들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그 타당성 및 신뢰성이 검증된 측정항목들을 사용하여 가설을 구성하는 주요 변인들을 측정할 것이다 수집된 설문 데이터는 SPSS로 정리한 후 AMOS 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할 것이다. 구조 방정식 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을 통해 가설 및 연구모형을 검증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유사사회적 상호작용,추정된 매체 영향,육체이미지 혼란,대중매체 및 대인 커뮤니케이션
  • 영문키워드
  • parasocial interaction,presumed media influence,mass media and interpersonal communiation,body image disturbacne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영문 연구결과 요약문 참조
  • 영문
  • Body image disturbances (e.g., body image gap, body dissatisfaction, internalization of unrealistic body ideal, eating disorders, etc.) have become a very serious problem for adolescent and almost all consumers. Activists of consumerism, media critic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have kept suspicious eyes on the role of media consumption in exacerbating body image disturbances. However, although considerable efforts have been devoted to understanding the direct impacts of the media consumption on body image disturbances, research findings regarding the influences of the media have been inconsistent. Consequently, studies to date have only reveal ?scattered pieces of the puzzle? (Botta, 1999, p. 25), partly because studies thus far have neglected the simultaneous examination of the media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s and their interweaving proces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underlying mechanism of body image disturbances among adolescent consumers, not only media factors but also interpersonal talk (i.e., social pressure to conform the body ideal) should be simultaneously considered. Therefore, in an attempt to synthesize the effects of media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consumers? body image disturbances, the current study aims to propose and test a structural model capable of simultaneously examining the joint effects of media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body image disturbances among adolescent consumers.
    Particular attention will be given to parasocial interaction (PSI; Horton and Wohl 1956), an imaginary face-to-fac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media personalities, as a key concept in media-mediated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presumed media influence (PSI; Gunther and Storey 2005) ? where consumers are influenced by their presumptions of media influences on others ? will also be scrutinized in the context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ased on the integrated framework of parssocial interaction (PSI) and presumed media influence (PMI), the current study proposed a conceptual model and hypotheses in three domains: influences of media communication, influence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iteraction of media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 conceptual model and hypotheses were tested in a self-administered survey, which was conducted among 321 adolescent students (males and females) at a middle school in South Korea. The variables included media use, integrative talk, parasocial interaction, wishful identification, perceived prevalence of the body ideals, perceived media influence on self, perceived media influence on others, body dissatisfaction, and body image discrepancy.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confirmed the conceptual model and supported most hypotheses. Consumers who paid more attention to body-ideal media were more likely to engage in parasocial interaction with personalities in the body ideal media, and that consumers? parasocial interac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wish to resemble media personalities. Consumers who had a stronger desire to identify with media personalitie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strong influences of body ideal media on themselves, and such percep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rceived influences on others. Perceived influence on others enhanced consumers? dissatisfaction with their bodies, which, in turn, was linked to body image discrepancy. The perceived influence on others, a strong precursor to body image dissatisfaction, was also predicted by the perception of prevalent body ideals in mass media, which, in turn, was enhanced by integrative talk. In addition, both parasocial interaction and wishful identificat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egrative talk, whereas media use increased both integrative talk and the perceived prevalence of the body ideal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In an attempt to synthesize the effects of media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consumers’ body image disturbances, this study examined the roles that both parasocial interaction with personae in the body-ideal media and perceived influences of body-ideal media played in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Parasocial interaction and wishful identification were found to link media use and body image disturbances, whereas presumed media influence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integrative talk and body image disturbanc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혼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것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음.
  • 색인어
  • body image disturbances, parasocial interation, presumed media influence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