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고 다양한 매체 속에서 지속적으로 수용되고 있는 전래민담 "푸른 수염 (Blaubart)"유형의 민담에 대한 연구이다. "푸른 수염"은 페로(Perrault)의 민담집(1697)에 수록됨으로써 최초의 기록이 이루어진 민담이다. 그림형제의 민담집의 ...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고 다양한 매체 속에서 지속적으로 수용되고 있는 전래민담 "푸른 수염 (Blaubart)"유형의 민담에 대한 연구이다. "푸른 수염"은 페로(Perrault)의 민담집(1697)에 수록됨으로써 최초의 기록이 이루어진 민담이다. 그림형제의 민담집의 초판(1812), 동시대 Bechstein의 민담집에 수록 소개되어 널리 애독되었던 민담이다. 이 민담은 여러가지 면에서 "신데렐라" "장미아가씨" "백설공주"와 같은 전형적 민담과는 전혀 다르다. 전형적 민담들이 긍정적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는데 비해, "푸른 수염"은 부정적 인물을 타이틀 롤로 삼고있는 특이한 민담이다. 이야기의 도식에 있어서도 전형적 민담은 수많은 역경 끝에 "결혼에 도달"함으로써 "행복한 결말"을 맞이하는 데 비해, "푸른 수염" 민담은 "결혼으로 시작하여" 갈등-파국-전환을 맞는 구조이다. 이 민담의 지속적 수용을 가능케 한 힘은 무엇인가? 다양한 수용상을 통해 민담의 다양한 모티브와 사회적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기대효과
본 연구는 유럽의 대표적 민담들의 기원과 발전사, 고유한 의미와 변화하는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계획의 일부이다. 연구결과가 민담의 숨은 의미 찾기, 전래민담 바로 읽기를 위한 지침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동시에 전래민담에 대한 학제간 연구(문학, 음악 ...
본 연구는 유럽의 대표적 민담들의 기원과 발전사, 고유한 의미와 변화하는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계획의 일부이다. 연구결과가 민담의 숨은 의미 찾기, 전래민담 바로 읽기를 위한 지침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동시에 전래민담에 대한 학제간 연구(문학, 음악, 심리학)의 유용한 모델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구요약
1) "푸른 수염" 유형 민담의 대표적 텍스트를 비교 분석하고 개별 텍스트의 차이점과 의미를 확인한다 2)"푸른 수염" 민담의 기원과 발전사를 역사적, 문학사적, 문화사적 측면에서 규명한다. 3) 대표적 텍스트의 비교분석을 통해 "푸른 수염" 민담의 주요한 모티브(호기 ...
1) "푸른 수염" 유형 민담의 대표적 텍스트를 비교 분석하고 개별 텍스트의 차이점과 의미를 확인한다 2)"푸른 수염" 민담의 기원과 발전사를 역사적, 문학사적, 문화사적 측면에서 규명한다. 3) 대표적 텍스트의 비교분석을 통해 "푸른 수염" 민담의 주요한 모티브(호기심, 금단의 방, 금기 파기, 엽기적 살해)를 확인하고 이들 모티브의 문학적 배경을 규명한다 4) "푸른 수염" 민담의 수용상을 조망하고, 상이한 문화적 조건(민족, 시대, 매체)에 따라 달라지는 요소와 의미를 분석한다. 5) 종합적으로 "푸른 수염" 민담의 수용과 해석의 사례들을 통해 남녀관계에 대한 민중의식의 변화를 규명한다
"Blaubart"는 프랑스인 페로의 민담집에 수록된 것을 기점으로 독일을 비롯한 전 세계에 널리 유포된 민담 유형이다. 그림형제는 자신들의 민담집 "Kinder- und Hausmaerchen"의 초판에서는 이 민담을 수록하였으나 제 2판부터는 더 이상 수록하지 않았다. 이것이 전적으 ...
"Blaubart"는 프랑스인 페로의 민담집에 수록된 것을 기점으로 독일을 비롯한 전 세계에 널리 유포된 민담 유형이다. 그림형제는 자신들의 민담집 "Kinder- und Hausmaerchen"의 초판에서는 이 민담을 수록하였으나 제 2판부터는 더 이상 수록하지 않았다. 이것이 전적으로 프랑스적 이야기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대신 유사형으로 "Raeuberbraeutigam"과 "Fitchers Vogel"을 수록하였다. 또한 이 민담은 독일에서 Tieck나 Bechstein의 창작동화로도 회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페로의 민담을 중심으로 하여, 독일의 유사형 민담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시대와 문화적 공간에 따라 변화하는 모티브의 변형을 추적하였다. 동시에 이 유형 민담의 해석이 변화하는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전래민담의 수용사를 천착하였다. "Blaubart"유형의 민담에서 특이할 사항은 페로 이전의 구전민담에서는 마술적, 환상적 내용이 주조를 이루나, 페로의 이야기에서부터는 이야기의 초점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즉 여성의 호기심과 그에 따른 불순종, 그리고 그 결과 징벌로서의 처참한 살해라는 주제가 이야기의 중심 모티브로 자리잡는다. 금지된 방을 열어본 여성의 호기심을 성적 호기심과 동일시하면서, 이를 모든 여성의 부정적 속성으로 제시하는 이야기의 전통이 수립된다. 이같은 상황은 결정적으로 1960년대 후 feminism운동의 격렬항 비판대상이 된다. 이와 같은 전래민담의 주제변형은 시대적 가치관을 파악하는 중요한 근거로 주목된다.
영문
Der Maerchentyp "Blaubart" ist eins der bekanntesten Volksmaerchen in Europa. Seitdem es zunaechst von dem franzoesischen Perrault literarisch gefixt wurde, ist dies Maerchen in Deutschland von Brueder Grimm, Tieck, Bechstein u.a. variert rezeptiert ...
Der Maerchentyp "Blaubart" ist eins der bekanntesten Volksmaerchen in Europa. Seitdem es zunaechst von dem franzoesischen Perrault literarisch gefixt wurde, ist dies Maerchen in Deutschland von Brueder Grimm, Tieck, Bechstein u.a. variert rezeptiert. In dieser Forschung wird Wandlugen der jeden Motive wie "Verbotene Zimmer", "Schluessel", "Frauenmord" analyttisch unterscht.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Blaubart"는 프랑스인 페로의 민담집에 수록된 것을 기점으로 독일을 비롯한 전 세계에 널리 유포된 민담 유형이다. 그림형제는 자신들의 민담집 "Kinder- und Hausmaerchen"의 초판에서는 이 민담을 수록하였으나 제 2판부터는 더 이상 수록하지 않았다. 이것이 전적으 ...
"Blaubart"는 프랑스인 페로의 민담집에 수록된 것을 기점으로 독일을 비롯한 전 세계에 널리 유포된 민담 유형이다. 그림형제는 자신들의 민담집 "Kinder- und Hausmaerchen"의 초판에서는 이 민담을 수록하였으나 제 2판부터는 더 이상 수록하지 않았다. 이것이 전적으로 프랑스적 이야기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대신 유사형으로 "Raeuberbraeutigam"과 "Fitchers Vogel"을 수록하였다. 또한 이 민담은 독일에서 Tieck나 Bechstein의 창작동화로도 회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페로의 민담을 중심으로 하여, 독일의 유사형 민담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시대와 문화적 공간에 따라 변화하는 모티브의 변형을 추적하였다. 동시에 이 유형 민담의 해석이 변화하는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전래민담의 수용사를 천착하였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Blaubart"유형의 민담에서 특이할 사항은 페로 이전의 구전민담에서는 마술적, 환상적 내용이 주조를 이루나, 페로의 이야기에서부터는 이야기의 초점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즉 여성의 호기심과 그에 따른 불순종, 그리고 그 결과 징벌로서의 처참한 살해라는 주제가 이 ...
"Blaubart"유형의 민담에서 특이할 사항은 페로 이전의 구전민담에서는 마술적, 환상적 내용이 주조를 이루나, 페로의 이야기에서부터는 이야기의 초점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즉 여성의 호기심과 그에 따른 불순종, 그리고 그 결과 징벌로서의 처참한 살해라는 주제가 이야기의 중심 모티브로 자리잡는다. 금지된 방을 열어본 여성의 호기심을 성적 호기심과 동일시하면서, 이를 모든 여성의 부정적 속성으로 제시하는 이야기의 전통이 수립된다. 이같은 상황은 결정적으로 1960년대 후 feminism운동의 격렬항 비판대상이 된다. 이와 같은 전래민담의 주제변형은 시대적 가치관을 파악하는 중요한 근거로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