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종교현상학의 주요 인물과 최근 동향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보호학문강의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7-551-A00075
선정년도 2007 년
연구기간 1 년 (2007년 09월 01일 ~ 200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안신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표는 종교학 방법론 중 종교현상학(phenomenology of religion)의 20세기 연구사를 주요 인물과 최근 동향을 중심으로 체계적이며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크게 다음 네 가지 측면에서 종교현상학과 관련된 주요 종교학자들의 생애와 사상을 살펴 볼 것이다.

    1. 19세기 말 종교현상학의 형성 과정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주요 사상들과 학문적 분위기를 소개함으로써, 초기 종교현상학의 학문적 특징과 주요 경향을 설명할 것이다. (1) 임마누엘 칸트(I. Kant)와 에드문트 후설(E. Husserl)의 철학, (2)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F. Schleiermacher), 알브레히트 리츨(A. Ritschl), 에른스트 트뢸치(E. Troeltsch)의 신학, (3) 에밀 뒤르깽(E. Durkheim)과 막스 베버(Max Weber)의 사회학, (4)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와 칼 융(Carl Jung)의 심리학 등이 종교현상학 태동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그 역사적이며 사상적인 배경을 소개할 것이다.

    2. 20세기를 주도했던 종교현상학자들의 주요사상과 연구업적을 연대기별, 지역별, 주제별로 분류하고 검토함으로써, 종교현상학사의 연구 경향을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론(a new typology)을 제시할 것이다. (1) 브레데 크리스텐센(W. Brede Kristensen)과 반 델 레우(Gerardus van der Leeuw)를 중심으로 한 네덜란드 종교현상학파, (2) 미르체아 엘리아데(Mircea Eliade)와 조나단 스미스(Jonathan Smith)를 중심으로 한 시카고 학파, (3) 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Wilfred Cantwell Smith)와 존 칼만(John Carman)를 중심으로 한 하바드 학파, (4) 니니안 스마트(Ninian Smart)와 앤드류 월스(Andrew Walls)를 중심으로 한 영국현상학파, (5) 루돌프 오토(Rudolf Otto)와 프리드리히 하일러(Friedrich Heiler)를 중심으로 한 독일 현상 학파, (6) 나탄 쉐더블럼(Nathan Sὂderblom)과 게오 비덴그렌(Geo Widengren)을 중심으로 한 스웨덴 학파 등이 주요 연구의 대상이 될 것이다.

    3. 사회과학 방법론을 중시하는 종교학자들이 종교현상학의 태도와 방법에 대하여 심각한 회의와 비판을 표명해 왔다. 그들이 제기한 문제점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하여 재조명하고, 그 문제점을 극복할 방안을 마련하여 21세기 종교현상학의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2003년 영국종교학회에서 프랭크 웨일링(Frank Whaling)과 로버트 씨갈(Robert Segal) 사이의 논쟁, 2005년 동경 세계종교학회에서 브라이언 레니(Bryan Rennie)와 도날드 위베(Donald Wiebe) 사이의 논쟁 등이 보여주듯이, 최근 종교현상학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주요 비평가들의 세계종교학계의 활동이 두드러져 왔다. 이러한 비판들의 핵심적인 논거를 구체적 사례를 통해 분석하여, 그 문제점에 대한 종교현상학의 입장에서 반성적 해결 방안의 가능성을 모색할 것이다.

    4. 최근 종교현상학의 연구 경향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해방 이후 한국 종교학계에서 진행되어 온 종교현상학에 대한 연구사를 인문학의 맥락 안에서 정리할 것이다. 대학의 종교학과와 종교학 관련 연구소를 중심으로 지금까지 축적되어 온 종교현상학에 대한 연구 성과와 현황을 종교학 관련 저널과 주요 저서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종교연구의 방법론적 발달과 세계종교학의 대외적 기여 가능성의 시각에서 한국 종교학의 과거와 현재를 평가하고 그 미래를 전망할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종교현상학에 관한 연구를 통해 우리는 다음 네 가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종교현상학의 강의와 세미나에 사용될 효과적인 교수안 및 교재를 출판할 것이다. 종교현상학의 교수 방식과 교재 선택 면에서 영미권의 대학과 한국의 대학 사이에 큰 격차를 느꼈다. 한국에서 종교현상학을 교수하면서 가장 먼저 부딪힌 문제는 종교현상학 방법론과 연구사를 독립적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해 놓은 한국어 교재가 한국종교학계와 대학의 종교학 교육에 부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영미권의 대학에서 종교현상학 강의와 세미나를 진행할 때, 종교현상학을 위한 최신 개론서와 연구서 등의 충분한 참고문헌을 학생들에게 제시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하여 다양한 쟁점과 다각도의 관점을 교수의 강의와 학생간의 토론을 통해 교수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종교학계와 대학교육은 세계학회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종교현상학의 최근 경향에 대하여 잘 소개되고 있지 않다. 종교현상학 연구와 강의 인력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의 부족으로 인하여, 종교현상학 강의를 개선시키려는 최소한의 노력이 부재해 온 가운데, 수강하는 학생에게도 최신 이론과 쟁점을 소개하지 못 하고 있다. 지금까지 강의 주교재도서 반 델 레우의 <종교현상학>(Religion in Essence and Manifestation)과 엘리아데의 <종교형태론>(Patterns in Comparative Religion) 등이 선택되어 왔고, 여기에 일반종교학 방법론에서 부분적이며 피상적으로 연구되어 있는 종교현상학 관련 부분을 첨부하여 보안하며 소개하는 방식으로 강의의 기본 골격이 마련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으로 종교현상학 강의의 향상을 가져오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초적 토대로서 종교현상학사(a history of phenomenology of religion)에 관한 체계적인 강의안과 교수안을 마련할 것이다.

    2. 본 연구는 영미 종교학회와 유럽학회 등 세계종교학회에서 최근 전개되고 있는 종교현상학 방법론에 대한 교수 및 강의 방법을 토대로, '환원주의'(reductionism)와 '종교주의'(religionism)의 논쟁을 중심으로 한 방법론의 쟁점들을 한국종교학계에 소개할 것이다. 미국과 유럽에서 배우고 교수한 종교학 이론을 한국의 인문사회과학의 맥락 안에서 더욱 심화시킬 것이며 한국 종교 현상의 연구를 위한 유용성 여부를 또한 고려할 것이다. 영국과 미국에서는 지금 종교현상학에 대한 관심이 눈에 띄게 고조되어 다양한 종교현상과 심지어 이데올로기에 적용하는 활발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는데 비하여, 한국에서는 인문학 연구의 위축된 분위기 속에 종교학 방법론 자체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이끌어 나가지 못 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영미권을 중심으로 한 최근 이론 연구의 경향을 소개하고, 이를 한국 종교의 맥락 안에서 보다 심화시키고자 한다.

    3. 본 연구는 개별 종교학 방법론을 위한 하나의 적용 가능한 연구 모델을 제공하며 동시에, 종교학과 다른 학문 사이의 학제 간 연구(inter-disciplinary studies)의 기초를 제공할 것이다. 21세기에 접어들어 세계 종교에 대한 대중적인 관심에 힘입어, 세계종교와 개별 종교 전통에 대한 많은 개론서와 연구서가 지속적으로 출판되고 있는데 반하여, 과학적 종교 이론에 대한 소개와 이해는 아직도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다. 특히, 에릭 샤프(E. Sharpe)의 <비교종교학>(Comparative Religion)과 월터 캡스(W. Capps)의 <현대종교학담론>(Religious Studies)과 같은 일반 종교학 방법론을 정리한 대표 서적들은 번역되어 출판되었지만, 인문학으로서의 개별 종교학 방법론인 종교현상학에 대한 소개는 없었다. 따라서 종교현상학자의 생애와 사상을 그 연구 태도와 주요 업적을 분석한 후 몇 가지 유형으로 정리하려는 본 연구는 개별 종교학 방법론 연구에 큰 활력을 가져다 줄 것이다. 동시에, 종교현상학의 형성 배경을 조명함으로써, 철학, 사회학, 심리학, 신학과 종교학에 대한 학제간 연구의 가능성을 열어 놓을 것이다.

    4. 한국의 종교학 연구사에 대한 축적된 연구 전통에 대한 종교 현상학적 관점에서의 평가가 이루어 질 것이다. 한국 종교학계에서는 (1) 종교현상학 이론에 대한 연구와 (2) 종교현상학적 태도를 유지하며 종교전통을 연구하는 두 가지 경향이 있어 왔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종교현상학의 축적된 연구업적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짐으로써, 앞으로 종교현상학이 지향해야 할 연구 방향을 제시해 볼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종교현상학사에 대한 하나의 적용 가능한 유형론(a viable typology)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 네 가지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1. 19세기 말부터 구체적으로 시작된 초기 종교현상학의 형성 배경과 20세기 동안 지속되어 온 다양한 종교현상학자와 종교현상학파가 지니고 있는 일반적 성격과 발달의 토대를 학제 간 연구의 관점에서 검토한다. 인문학으로서의 종교학은 종교 현상을 종교가 아닌 다른 현상으로는 환원 불가능한 ‘독자적인’(sui generis) 현상으로 인식해 왔다. ‘에포케’(epoche)와 ‘본질직관’(eidetic intuition)을 통하여 종교현상의 의미를 이해하려는 종교현상학은, 다양한 현대학문의 영향을 받아 역사적으로 발전했다. (1) 테카르트 철학의 기초인 주객의 이분법을 극복하려는 훗설의 철학적 현상학 운동을 검토하고, (2) 종교경험의 보편성을 주장한 슐라이어마허와 리츨의 자유주의 신학, (3) 뒤르깽과 베버의 사회학적 종교 이해, (4) 프로이트와 융의 심층심리학적 종교이해 등을 종교현상학의 방법론과 유형론의 형성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할 것이다.

    2. 20세게 종교현상학의 형성과 발전에 기여한 주요 인물과 학파를 연대별로, 지역별로, 주제별로 분류하여 종교현상학사를 이해하는 하나의 효과적인 유형론을 제시한다. 개별 학자의 간략한 생애와 함께, 주요 저서와 이론을 설명한 후, 다음과 같이 기초 분류를 시행한다. (1) 네덜란드 현상학파(Dutch school): 틸레(C. P. Tiele), 샹트피 드 라 소세(Pierre Chantepie de la Saussaye), 크리스텐젠 (W. Brede Kristensen), 반 델 레우(G. van der Leeuw), 블리커(C. Juco Bleeker), 자크 바르덴부르그(Jacques Waardenburg) 등, (2) 북미학파(North American School): 요하힘 바흐(Joachim Bach), 어윈 굳이너프(Erwin R. Goodenough), 미르체아 엘리아데(Mircea Eliade), 캔트웰 스미스(W. Cantwell Smith), 존 칼만(John Carman), 조나단 스미스(Jonathan Z. Smith), 라민 싸네(Lamin Sanneh), (3) 영국현상학파(British school): 에드윈 스미스(Edwin W. Smith), 지오프레이 파린더(E. Geoffrey Parrinder), 앤드류 월스(Andrew Walls), 니니안 스마트(Ninian Smart), 이 오 제임스(E. O. James), 제임스 콕스 (James Cox), (4) 독일 학파(German school): 루돌프 오토(Rudolf Otto)와 프리드리히 하일러(Friedrich Heiler), (5) 스웨덴 학파(Swedish school): 나탄 쉐더블럼(N. Soderblem)과 게오 비덴그렌(Geo Widengren) 등이 주요 연구대상이다.

    3. 최근 세계종교학계(2000년 남아공 더번 세계종교학회와 2005년 일본 동경 세계종교학회)에서 종교현상학의 방법론적 문제점을 제기하는 주요 종교학자들의 주장을 분석하며 그 대안을 제시한다. 특히, (1) 영국종교학회(British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Religions)에서 랑카스터대(University of Lancaster)와 스털링대(University of Stirring)를 중심으로 경험주의적 연구(empirical studies)를 강조하는 플러드, 씨갈, 피츠제랄드 등의 영국학자들과, (2) 북미 종교학회(North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Religion)를 중심으로 과학적 종교학을 주창하는 위베, 루터, 맥커쳔 등 북미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4. 한국 종교학계에서 최근까지 수행한 종교현상학에 관련된 연구업적을 분석한다. 한국종교학회를 중심으로 해방 후 진행되어 온 연구업적들을 ‘종교현상학’의 관점에서 분류하고 정리할 것이다. (1) 서울대, 서강대, 한신대 등의 대학의 종교학과를 중심으로 활동해 온 학자들, (2) 한국학중앙연구원와 한국종교문화연구소 등 연구소 중심으로 활동해 온 학자들의 연구 업적, (3) 종교학 관련 저널(『종교연구』등)을 중심으로 종교현상학적 이론 자체에 대한 연구와 함께 종교현상학적 태도에 입각하여 종교현상을 연구한 사례들을 선별하여 평가하고, ‘한국적 종교현상학’의 가능성을 진단한다.
  • 한글키워드
  • 브레데 크리스텐센,이 오 제임스,존 칼만,슐라이어마허,나탄 쉐더블럼,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미르치아 엘리아데,게라르두스 반 델 레우,환원주의,에포케,유형론/형태론,종교현상학사,종교현상학,알브레히트 리츨,쌍뜨피 들라 쏘쎄이,씨 피 틸레,칼 융,라민 싸네,제임스 콕스,앤드류 월스,에드문트 훗설,조나단 스미스,어윈 굳이너프,니니안 스마트,루돌프 오토,주코 블리커,루돌프 오토
  • 영문키워드
  • Brede Kristensen,C. Juco Bleeker,A History of Phenomenology of Religion,epoche,Andrew Walls,Edmund Husserl,Jonathan Smith,Erwin Goodenough,Ninian Smart,Wilfred Cantwell Smith,Mircea Eliade,Gerardus van der Leeuw,Reductionism,Nathan Soderblom,Rudolf Otto,E. O. James,Pierre Daniele de la Saussaye,.C. P. Tiele,Carl Jung,Lamin Sanneh,James Cox,Typology,Phenomenology of Religion,John Carman,Albrecht Ritschl,F. Schleiermacher,Rudolf Otto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