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결과
-교사 리더십은 1980년대 미국의 교육개혁에서 교사의 권한강화와 분권화 전략 등이 우세해지면서 새롭게 부상한 이론이다.
-교사 리더십의 개념은 매우 다양하지만 행정가나 관리자의 리더십과는 다른 것으로써, 교사의 의사결정의 공유, 권한강화, 팀워 ...
1. 연구결과
-교사 리더십은 1980년대 미국의 교육개혁에서 교사의 권한강화와 분권화 전략 등이 우세해지면서 새롭게 부상한 이론이다.
-교사 리더십의 개념은 매우 다양하지만 행정가나 관리자의 리더십과는 다른 것으로써, 교사의 의사결정의 공유, 권한강화, 팀워크, 커뮤니티 형성 등을 포함한다.
-교사 리더십의 역할은 지위가 아닌 과정의 역할로 이해되면서, 교사 리더십의 공식적 역할보다 비공식적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교사 리더십의 효과는 교사리더, 동료교사, 학생들에게 매우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종국적으로 학교의 역량강화에 공헌하여 학교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작용한다.
-교사 리더십 이론은 무엇보다 교사들에게 교육정책이나 학교경영에 참여할 기회를 확대할 뿐 아니라, 그들의 잠재적 리더십을 개발․육성할 것을 강하게 촉구한다.
-정부와 교육 공동체는 교사가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리더의 지위에 부합하는 새롭고 다양한 교사의 역할을 적극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교사들은 학교 공동체의 구성원 중 가장 큰 규모의 집단이며 학생들과 가장 가까이 있는 사람들이다. 그들이 소유한 리더십의 역량은 많은 연구에서 증명된 사실이다. 교사의 권한을 강화하여 리더십의 역할을 부여하면, 지속 가능한 학교개혁에 효과적인 자원을 제공할 것이다.
2. 활용방안
-교사 리더십에 대한 기초 이론을 제공하여 한국 교육계에서 교사 리더십의 연구가 활성화 되는 학문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교사들을 리더십 지위로 편입시켜 학교 공동체를 재구조화 하여, 학교효과(school effect)를 극대할 수 있다. 즉 비평가적인 가치설정, 동료애(collegiate)의 모델링, 학습 공동체 구축, 동료교사들의 상호 격려를 통해서 학교의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다.
-교사들에게 리더십을 발휘할 기회를 제공하여 교직에 대한 사명감, 헌신성, 자신감을 고취할 수 있다. 즉 교사가 리더십을 공유함으로써, 의사결정에 주인의식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생산성, 직무만족, 조직의 헌신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교사 리더십은 교사들에게 권한을 이양하고 자율성을 확대시켜 교사들이 교육개혁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결정적인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교사 리더십의 촉진과 개발은 모든 교사로 하여금 자긍심과 자신감을 가지고 각자가 맡은 일에 리더십을 발휘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교육개혁의 추진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다.
-교사리더는 교육과정 개발자, 계획자, 학교 발전팀의 리더, 신참교사나 경험이 적은 교사들의 조언자, 그리고 교실과 강한 관계가 있는 현장 연구자가 되어 교직의 전문직화를 촉진할 수 있다.
-교사 리더십의 정착은 한국 교육개혁의 가장 큰 실패 원인 중 하나인 교사 참여의 부재 문제를 해결하여 효과적인 학교개혁을 실시할 수 있다.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따른 교사의 합리적인 역할을 모색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21세기에 부합하는 새로운 교사상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교사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현직교원연수, 사이버 교원연수 강좌, 교육대학원 특별 프로그램 등 교원 역량 강화와 관련하여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