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학교개혁을 위한 교사 리더십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7-332-B00340
선정년도 2007 년
연구기간 2 년 (2007년 08월 01일 ~ 2009년 07월 31일)
연구책임자 황기우
연구수행기관 총신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모든 교사를 리더로 만들어 학교개혁을 가속화 하려는 이 연구는 두 가지 연구 목적을 갖는다. 하나는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교사 리더십에 관한 기초 이론을 연구함으로써 교사 리더십과 관련한 후속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후속 연구를 통해서 교사 리더십에 대한 한국 교사집단의 인식과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여 정착이 가능한 교사 리더십의 대안을 모색․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교사 리더십 이론이 한국의 교육계에서 활발하게 논의․연구되어 뿌리를 내리는 계기를 제공하는 한편, 성공적인 학교개혁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 기대효과
  • 이 연구결과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 및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⑴ 교사 리더십에 대한 기초 이론을 제공하여 한국 교육계에서 리더십의 연구가 활성화 되는 학문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⑵ 교사들을 리더십의 지위로 편입시켜 학교 공동체를 재구조화 하여, 학교효과(school effect)를 극대할 수 있다. 즉 비평가적인 가치 설정, 동료애(collegiate)의 모델링, 학습 공동체 구축, 동료교사들의 상호 격려를 통해서 학교의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다.
    ⑶ 교사들에게 리더십의 기회를 제공하여 교직에 대한 사명감, 헌신성, 자신감을 고취할 수 있다. 즉 교사가 리더십을 공유함으로써, 의사결정에 주인의식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생산성, 직무만족, 조직의 헌신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⑷ 교사 리더십은 교사들에게 권한을 이양하고 자율성을 확대시켜 교사들이 교육개혁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결정적인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⑸ 교사 리더십의 촉진과 개발은 모든 교사로 하여금 자긍심과 자신감을 가지고 각자가 맡은 일에 리더십을 발휘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학교개혁의 추진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다.
    ⑹ 교사 리더는 교육과정 개발자, 계획자, 학교 발전팀의 리더, 신참교사나 경험이 적은 교사들의 조언자, 그리고 교실과 강한 관계가 있는 현장 연구자가 되어 교직의 전문직화를 촉진할 수 있다.
    ⑺ 교사 리더십의 정착은 한국 학교개혁의 가장 큰 실패 원인 중 하나인 교사 참여의 부재 문제를 해결하여 효과적인 교육정책을 실행할 수 있다.
    ⑻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따른 교사의 합리적인 역할을 모색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⑼ 21세기에 부합하는 새로운 교사상(敎師像)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교육개혁은 학교교육의 요람인 경제․정치적․사회적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대응으로 부상했다. 지난 20여 년 간 교육개혁을 실행해 오면서 얻은 교훈은 교사는 지식기반 사회의 산파이며, 그들의 능력을 개발․활용하지 못한다면 미래사회는 기형아나 사산아가 될 것이라는 사실이었다. 즉 교사 참여와 그들의 능력을 강화하지 않고서는 진정한 학교개혁은 불가능하며, 교사를 배척하고 명령하는 식의 개혁은 자기 패배(self-defeat)로 끝난다는 평범한 사실을 깊이 깨닫게 되었다. 오늘날 학교는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교직은 더욱 복합적인 일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사에게 더 많은 새로운 의무가 요구되고 있는 까닭에 교사의 참여를 격려하고, 전문성을 적극 개발하여, 모든 교사들을 리더로 양성할 할 필요성이 과거 어느 때보다 크게 강조되고 있다
    교사 리더십에 대한 기대는 진정한 학교를 개혁하여 교수-학습을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모든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향상시키는 데 있다. 1980년대 이후, 영국과 미국의 교육학계는 교육개혁의 절대 조건은 교사의 자질 향상과 자발적 참여에 있다는 점을 일찍이 인식하고, 교사들에게 자율성과 책임감을 부여하고 참여를 유도하는 교사 리더십의 육성 정책을 꾸준히 개발해 왔다. 이에 반해 한국의 교사 리더십 연구는 교장의 리더십 유형의 틀을 교사 리더십에 덧씌워서 논의한 경우가 많아서 진정한 교사 리더십 연구가 자리를 잡지 못했다. 이런 연구들은 당연히 교사의 일상 업무와는 거리가 있을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교사들의 업무의 효율화나 전문성 향상, 변화와 혁신에 대한 참여 등을 설명하는 데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그것은 오히려 교사와 리더는 전혀 별개라는 편향된 인식을 고착시켰다.
    이 연구에서 실행하려는 학교개혁을 위한 교사 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종전의 그것과 판이한 교사의 독자적인 리더십 이론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현재의 지지부진한 한국의 교육개혁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상명하달의 실천방식에서 벗어나 교사의 자발적인 참여를 격려하고 주도권을 부여하는 대전환이 요구된다. 이는 교사 리더십의 촉진을 통해서 충분히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이런 점에 주안점을 두고 두 가지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하나의 연구 목적은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교사 리더십에 관한 기초 이론을 연구함으로써 교사 리더십과 관련한 후속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른 연구 목적은 후속 연구를 통해서 교사 리더십에 대한 한국 교사집단의 인식과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여 정착이 가능한 교사 리더십의 대안을 모색․제공하는 데 있다. 이는 교사 리더십이 한국의 교육계에서 활발하게 논의․연구되어 뿌리를 내리는 계기를 제공하는 한편, 성공적인 학교개혁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학교 개혁,학교효과,수업지도성,의사 결정 공유,학교 현장 중심 관리,통치 공유,학교의 재문화,전문가 학습 공동체,전문성 개발,전문직주의,교직의 전문직화,교사 권한 부여,교사 리더십,교사 리더의 역할
  • 영문키워드
  • Teaching Professionalization,Professionalism,Reculturing School,Sited-based Management,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Professional Development,Shared Decision-making,Instructional leadership.,Teacher Empowerment,Teacher Leadership,School Improvement,Shared Government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교육개혁은 학교교육의 요람인 경제․정치적․사회적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대응으로 부상했다. 지난 20여 년 간 교육개혁을 실행해 오면서 얻은 교훈은 교사는 지식기반 사회의 산파이며, 그들의 능력을 개발․활용하지 못한다면 미래사회는 기형아나 사산아가 될 것이라는 사실이었다. 즉 교사 참여와 그들의 능력을 강화하지 않고서는 진정한 학교개혁은 불가능하며, 교사를 배척하고 명령하는 하향식의 개혁은 자기 패배(self-defeat)로 끝난다는 평범한 사실을 깊이 깨닫게 되었다. 오늘날 학교는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교직은 더욱 복합적인 일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사에게 더 많은 새로운 의무가 요구되고 있는 까닭에 교사의 참여를 격려하고, 전문성을 적극 개발하여, 모든 교사들을 리더로 양성할 할 필요성이 과거 어느 때보다 크게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리더십의 이론과 효과를 연구․소개하여 학교개혁에 공헌할 가능성을 탐색하는 한편, 국내의 교사 리더십 연구를 촉진하는 데 있다. 이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실시했으며, 교사 리더십의 부상과 발전, 개념과 역할, 교사 리더십의 효과, 학교개혁의 공헌 등을 검토하고 그것이 한국의 학교개혁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 리더십은 학교 공동체에서 널리 수용되는 개념은 아니었으나 1980년대 미국의 교육개혁에서 교사의 권한강화와 분권화 전략 등이 우세해지면서 새롭게 부상한 이론이다. 교사 리더십의 개념은 매우 다양하지만 행정가나 관리자의 리더십과는 다른 것으로써, 교사의 의사결정의 공유, 권한강화, 팀워크, 커뮤니티 형성 등을 포함한다. 최근에는 교사 리더십의 역할이 지위가 아닌 과정의 역할로 이해되면서, 교사 리더십의 공식적 역할보다 비공식적 역할이 강조되는 추세이다. 교사 리더십의 효과는 교사리더, 동료교사, 학생들에게 매우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종국적으로 학교의 역량강화에 공헌하여 학교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작용한다. 실제로 본 연구는 교사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현직교원연수, 사이버 교원연수 강좌 등 교원역량 강화를 위해서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런 연구결과는 한국의 학교개혁에 교사 리더십을 도입․실행할 것을 강하게 시사한다.

  • 영문
  • A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d the school improvement through the discussion for the foundational theories of teacher leaderships. For that purpose, we reviewed the literature and documents about the concept and roles, the effects and the contribution of teacher leadership. we discussed suggestions of teacher leadership for the school improvement of Ko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The concept of teacher leadership is not so acknowledged in the school communities. It's a new concept that was emerged from the school improvement of America in 1980'. The concept of teacher leadership is very diverse but is different form the forms of leadership for administrators or managers. It include the share of decision making, empowerment, teamwork, and the formation of communications for teachers. The roles of the teacher leadership is not acknowledged the concept of teacher' status but that of process. It empathized the informal roles more than formal roles of teacher leaders. The effects of teacher leadership is appeared very strong among the teacher leaders, colleagues and students. As a results, The teacher leadership contributed the building of school competence and works effective means of school improve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teacher leaderships must be introduced in educational policy of Korea as soon as possible.

    Key words: teacher leadership, roles of teacher leadership, empowerment of teacher, participation of decision making, share of leadership, distribution of leadership, professional development,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리더십의 이론과 효과를 연구․소개하여 학교개혁에 공헌할 가능성을 탐색하는 한편, 국내의 교사 리더십 연구를 촉진하는 데 있다. 이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실시했으며, 교사 리더십의 부상과 발전, 개념과 역할, 교사 리더십의 효과, 학교개혁의 공헌 등을 검토하고 그것이 한국의 학교개혁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 리더십은 학교 공동체에서 널리 수용되는 개념은 아니었으나 1980년대 미국의 교육개혁에서 교사의 권한강화와 분권화 전략 등이 우세해지면서 새롭게 부상한 이론이다. 교사 리더십의 개념은 매우 다양하지만 행정가나 관리자의 리더십과는 다른 것으로써, 교사의 의사결정의 공유, 권한강화, 팀워크, 커뮤니티 형성 등을 포함한다. 최근에는 교사 리더십의 역할이 지위가 아닌 과정의 역할로 이해되면서, 교사 리더십의 공식적 역할보다 비공식적 역할이 강조되는 추세이다. 교사 리더십의 효과는 교사리더, 동료교사, 학생들에게 매우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종국적으로 학교의 역량강화에 공헌하여 학교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작용한다. 이런 연구결과는 한국의 학교개혁에 교사 리더십을 도입․실행할 것을 강하게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현직 교원 연수 주제, 사이버 교원 강좌개설, 교육대학원의 특별 프로그램 등 교원역량 강화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교사 리더십은 1980년대 미국의 교육개혁에서 교사의 권한강화와 분권화 전략 등이 우세해지면서 새롭게 부상한 이론이다.
    -교사 리더십의 개념은 매우 다양하지만 행정가나 관리자의 리더십과는 다른 것으로써, 교사의 의사결정의 공유, 권한강화, 팀워크, 커뮤니티 형성 등을 포함한다.
    -교사 리더십의 역할은 지위가 아닌 과정의 역할로 이해되면서, 교사 리더십의 공식적 역할보다 비공식적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교사 리더십의 효과는 교사리더, 동료교사, 학생들에게 매우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종국적으로 학교의 역량강화에 공헌하여 학교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작용한다.
    -교사 리더십 이론은 무엇보다 교사들에게 교육정책이나 학교경영에 참여할 기회를 확대할 뿐 아니라, 그들의 잠재적 리더십을 개발․육성할 것을 강하게 촉구한다.
    -정부와 교육 공동체는 교사가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리더의 지위에 부합하는 새롭고 다양한 교사의 역할을 적극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교사들은 학교 공동체의 구성원 중 가장 큰 규모의 집단이며 학생들과 가장 가까이 있는 사람들이다. 그들이 소유한 리더십의 역량은 많은 연구에서 증명된 사실이다. 교사의 권한을 강화하여 리더십의 역할을 부여하면, 지속 가능한 학교개혁에 효과적인 자원을 제공할 것이다.

    2. 활용방안
    -교사 리더십에 대한 기초 이론을 제공하여 한국 교육계에서 교사 리더십의 연구가 활성화 되는 학문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교사들을 리더십 지위로 편입시켜 학교 공동체를 재구조화 하여, 학교효과(school effect)를 극대할 수 있다. 즉 비평가적인 가치설정, 동료애(collegiate)의 모델링, 학습 공동체 구축, 동료교사들의 상호 격려를 통해서 학교의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다.
    -교사들에게 리더십을 발휘할 기회를 제공하여 교직에 대한 사명감, 헌신성, 자신감을 고취할 수 있다. 즉 교사가 리더십을 공유함으로써, 의사결정에 주인의식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생산성, 직무만족, 조직의 헌신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교사 리더십은 교사들에게 권한을 이양하고 자율성을 확대시켜 교사들이 교육개혁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결정적인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교사 리더십의 촉진과 개발은 모든 교사로 하여금 자긍심과 자신감을 가지고 각자가 맡은 일에 리더십을 발휘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교육개혁의 추진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다.
    -교사리더는 교육과정 개발자, 계획자, 학교 발전팀의 리더, 신참교사나 경험이 적은 교사들의 조언자, 그리고 교실과 강한 관계가 있는 현장 연구자가 되어 교직의 전문직화를 촉진할 수 있다.
    -교사 리더십의 정착은 한국 교육개혁의 가장 큰 실패 원인 중 하나인 교사 참여의 부재 문제를 해결하여 효과적인 학교개혁을 실시할 수 있다.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따른 교사의 합리적인 역할을 모색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21세기에 부합하는 새로운 교사상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교사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현직교원연수, 사이버 교원연수 강좌, 교육대학원 특별 프로그램 등 교원 역량 강화와 관련하여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 색인어
  • 교사 리더십, 교사 리더십의 역할, 권한강화(empowerment), 의사결정의 참여, 학교개혁, 리더십의 공유, 전문성 개발, 전문가 학습 공동체(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