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방법
(1) 대안세계화운동의 주요 이념과 전형 사례의 추출 및 국제비교
본 연구의 방법은 ①대안세계화운동의 역사적 기원과 진화과정을 추적하여 그 주요 이념을 추출 및 유형화하고, 각 이념의 특징과 의의 및 한계를 역사유물론의 방법에 의거하여 평가하는 ...
1) 연구방법
(1) 대안세계화운동의 주요 이념과 전형 사례의 추출 및 국제비교
본 연구의 방법은 ①대안세계화운동의 역사적 기원과 진화과정을 추적하여 그 주요 이념을 추출 및 유형화하고, 각 이념의 특징과 의의 및 한계를 역사유물론의 방법에 의거하여 평가하는 것, ②유형화된 대안세계화운동의 이념을 전형적으로 구현하고 있는 운동 사례를 추출하여 그와 같은 이념들이 이들 사례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는 것, ③대안세계화운동의 이념에 비추어 우리나라 진보적 사회운동의 주요 정파 및 단체의 이념들의 특징과 한계를 분석 평가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2) 대안세계화운동 이념에 대한 역사유물론적 분석
본 연구는 대안세계화운동의 이념의 분석과 평가에서 역사유물론적 방법론, 즉 마르크스주의적 방법론을 채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네오그람시안적 국제정치경제학적 접근, ‘개방적 마르크스주의’ 접근 및 트로츠키주의적 접근 등을 원용하여 역사유물론적 방법을 정립하고 이에 기초하여 대안세계화운동의 이념을 분석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유물론의 관점에서 자본주의 모순과 자본과 임금노동 간의 계급관계를 중심에 두면서 대안세계화운동에 대한 총체적 이론화를 시도하고, 기존의 조직노동운동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 사회운동이 대안세계화운동과 연대하고 결합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3) 학제적 국제협동연구 및 “운동 속에서의 운동 연구” 방법
대안세계화운동은 그 자체 하나의 거대담론이며 전지구적 차원의 운동이기 때문에, 이 운동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위해서는 학제적 연구 및 국제협동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정치경제학, 노동사회학, 경제철학 전공자들과 유럽 및 아시아 지역연구 전문가들을 공동연구원으로 편성하여 학제적 국제협동연구를 시도한다. 본 연구는 또 기존의 주류 사회운동 연구 방법인 가치중립적·관조적 방법을 지양하고 최근의 연구 방법인 “운동 속에서의 운동 연구” 방식을 채택한다.
2) 연차별 연구 내용
(1) 1차년도: 대안세계화운동의 주요 이념의 유형화 및 심층 분석
1차년도에는 대안세계화운동 이념을 그 역사적 배경과 진화과정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유형화하고 심층 분석한다. ①사회주의, ②자율주의, ③‘사회운동적 노동조합주의’, ④생태주의 및 페미니즘, ⑤제3세계 민족주의, ⑥글로벌거버넌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유형화에서 더 나아가 역사유물론의 관점에서 이들 주요 대안 이념을 분석 평가하여 이들 이념의 의의와 한계를 검토하고, 이들 상이한 이념들의 비판적 종합을 통해 대안세계화운동 이념 체계의 정립을 탐색할 것이다.
(2) 2차년도: 대안세계화운동 이념의 주요 구현 사례 국제비교연구
2차년도에는 대안세계화운동의 이념을 실천하기 위해 투쟁하고 있는 실제 대안세계화운동의 전형적 사례들을 추출하여 분석할 것이다. 이를 위해 1차년도에서 유형화한 대안세계화운동의 주요 이념들에 대응하는 다음과 같은 전형적 사례 혹은 주제들을 심층 분석하고 국제비교한다. ①사회주의 이념을 견지하는 주요 유럽 급진좌파 정당들이 최근 대안세계화운동에 어떻게 개입했는가? ②‘사회운동적 노동조합주의’가 홍콩, 중국, 인도,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 지역 노동운동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가? ③자율주의 이념이 2001년 아르헨티나 실업자 봉기, ‘기본소득 네트워크’(Basic Income Earth Network) 운동 등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가? ④제3세계 민족주의와 베네수엘라의 차베스가 제창하는 ‘21세기 사회주의’ 이념의 관련. ⑤1999년 ‘시애틀 전투’에서 주요 생태주의 및 페미니즘 운동단체들의 개입 방식. ⑥글로벌거버넌스, 혹은 국제적 케인스주의가 ATTAC의 이념과 실천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가?
(3) 3차년도: 한국의 대안세계화운동의 이념 연구
3차년도에는 오늘날 한국의 사회운동 주요단체와 정파들의 대안 이념과 반전 반신자유주의 투쟁을 비롯한 대안세계화운동에 어떻게 개입하고 있는지를 다음과 같이 분석 평가할 것이다. ①민주노동당, ②민주노총의 사회개혁투쟁, ③민주노동당 당내 및 당외 좌파 (‘다함께’, ‘전진’, ‘노동자의 힘’, ‘사회진보연대’, 코뮨주의, 자율주의, 평의회공산주의 등), ④자주파(NL)를 중심으로 한 좌파 민족주의 그룹, ⑤참여연대, 환경운동연합 등 주요 NGO. ⑥한미 FTA 반대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