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래의 기술적 부정에 의해 허가되는 부사류들과 차별화되는 초언어적(상위언어적, metalinguistic) 부정에 의해 허가되는 부사류의 현상을 국내외 처음으로 한국어의 '보-통' '여-간'과 영어의 pitch 높은 a LITTLE 등을 통해 실험적으로 밝히고, 초언어적 현상의 메아리 ...
종래의 기술적 부정에 의해 허가되는 부사류들과 차별화되는 초언어적(상위언어적, metalinguistic) 부정에 의해 허가되는 부사류의 현상을 국내외 처음으로 한국어의 '보-통' '여-간'과 영어의 pitch 높은 a LITTLE 등을 통해 실험적으로 밝히고, 초언어적 현상의 메아리적, 인용적 성격도 파헤친다. 나아가 두 부정의 성격을 각각 대조 화제 대조 초점과 관련하여 이론적으로 더 탐구한다.
기대효과
영어에서 Bolinger(1972)가 사실을 관찰한 후 이론적으로 구명하지 못한 현상이어서 언어학의 의미와 억양과 관련해 세계 학계에 좋은 반향을 일으킬 것으로 본다. 연구와 대학원 강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영어에서 Bolinger(1972)가 사실을 관찰한 후 이론적으로 구명하지 못한 현상이어서 언어학의 의미와 억양과 관련해 세계 학계에 좋은 반향을 일으킬 것으로 본다. 연구와 대학원 강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연구요약
기술적 부정에 의해 허가되는 부정극어에 필수적인 양보사 ‘-도’의 척도성과 또한 이와 쌍대(雙對, dual)관계를 이루는 양보적 시인(是認)의 대조화제(Contrastive Topic)가 생성하는 척도 함축에서 정보구조. 척도 이론의 기여를 밝힌다. 특히 기술적 부정이 대조화제와 초언 ...
기술적 부정에 의해 허가되는 부정극어에 필수적인 양보사 ‘-도’의 척도성과 또한 이와 쌍대(雙對, dual)관계를 이루는 양보적 시인(是認)의 대조화제(Contrastive Topic)가 생성하는 척도 함축에서 정보구조. 척도 이론의 기여를 밝힌다. 특히 기술적 부정이 대조화제와 초언어적 부정이 대조초점(Contrastive Focus)과 밀접히 연관됨을 보인다. 따라서 '보-통' '여-간'은 첫 음절에 강세와 다소간의 길이가 나타난다. 초언어적 부정은 어느 언어에서나 높은 pitch를 요구한다. 지금까지는 국내외에서 이러한 관계가 잘 밝혀지지 못했다.
과제번호 A00331 첫음절 강세를 수반하는 한국어의 부사어 '보통'과 '여간'의 특성을 보이기 위해, 원래 상대방의 말을 반박/시정하기 위해 쓰이는 상위언어적 부정("A가 아니라 B야")과 세상 일과 맞지 않음을 나타내는 기술적 부정을 구별하고, 문제의 부사어들이 상 ...
과제번호 A00331 첫음절 강세를 수반하는 한국어의 부사어 '보통'과 '여간'의 특성을 보이기 위해, 원래 상대방의 말을 반박/시정하기 위해 쓰이는 상위언어적 부정("A가 아니라 B야")과 세상 일과 맞지 않음을 나타내는 기술적 부정을 구별하고, 문제의 부사어들이 상위언어적 부정이라는 주장을 펼친다. 그러나 일상적인 상위언어적 부정은 상대방의 말 표현을 부정하면서 자기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나, 이 부사어들의 경우는 상대방의 말에 근거해서 나오지 않으면서도 상위언어적 부정의 성격을 지닌다는 것을 이 논문은 여러 모로 입중하고 있다. '보통'과 '여간'은 상대방의 발화에 즉 앞선 발화에 나타나지 않았으면서도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기준(Bolinger의 'accepted standard')을 잡아 그것을 주로 외적 부정('-것이 아니다')을 써서 부정하는 방식으로 부정함으로써 예사스러운 정도를 훨씬 벗어나 '엄청나게/대단히/놀랍게/매우'의 수식을 받는 술어 내용이 전달되는 효과를 드러낸다. 상위언어적으로 부정되는 표현과 이에 이어 대안으로 제시되는 표현은 둘이 대조적 초점을 받는다고 보며, 특히 대조쌍이 안 나타나는 '보통'과 '여간'의 경우는 그 유표적인 쓰임을 드러내기 위해 첫 음절 강세가 유난히 두드러진다고 본다. 이러한 억양 특징들을 보이기 위해 한국어의 첫 음절 강세의 '보통'과 '여간'의 경우와 긍정적으로 쓰인 '보통으로'와 상위언어적으로 부정되어 쓰인('보통으로' 잘 한 게 아냐) 경우의 최소쌍을 녹음하여 억양(pitchtrack) 그림으로 보였고, 영어의 대조쌍이 되는 상위언어적 부정의 'not A LITTLE tired; VERY tired'과 부정극어가 되는 'NOT a little tired'('조금도 피곤하지 않어')을 음성 그림으로 보였다. 한편, 부정극어 생성에 핵이 되는 운용소(연산자)인 양보사 '-도'는 척도적이면서 척도상의 낮은 끝값과 결합해 강조적 표현인 부정극어를 이루는 일반적인 원리를 보이고 이는 또 실제로는 양보적으로 시인하는 대조화제(CT) 운용소 '-는'과 긴밀하게 척도상으로 반-쌍대(semi-dual) 관계에 있음을 보이고, 이 척도적인 부정극어(NPI). 긍정극어(PPI)는 Israel(1996)의 관련어휘 분포의 도표에 들어가나, 상위언어적 부정에 의한 부사류는 성격이 이들과 달라 같은 표에 들어 갈 수 없음을 보였다.
영문
The type of adverbials POthong ‘normally’ and YEkan ‘relatively’ in Korean are argued to be based on metalinguistic negation [MN] that licenses them. Although they don't have any preceding instance of the same utterance as in ordinary metalinguist ...
The type of adverbials POthong ‘normally’ and YEkan ‘relatively’ in Korean are argued to be based on metalinguistic negation [MN] that licenses them. Although they don't have any preceding instance of the same utterance as in ordinary metalinguistic negation, they require some kind of "accepted standard" (Bolinger 1972) to object to That is why these adverbials can convey "very," "exceedingly", etc., far beyond "normally." They are strikingly distinct from typical NPIs that are licensed by descriptive negation (DN), which negate states of affairs in the world. The two types of negation are theoretically compared and show the necessity of distinguishing between them at least pragmatically, as in Horn (1989). English and a little of Japanese counterparts of MN-based adverbials have been exemplified. The crucial phonetic experiments on intonation differences have been shown. The metalinguistically negated adverbials have a marked stress on them, compared to descriptively negated adverbials. This research is far advanced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than Bolinger's (1972) earlier touch on this distinction.
특이하게 상위언어적 부정에 입각한 부사어로서 첫음절 강세를 수반하는 '보통'과 '여간'의 특성을 보이기 위해 기술적 부정과 상위언어적 부정의 차이를 논하고, 기술적 부정에 입각하여 나타나는 부정극어에 해당하는 부사류와 구별짓는다. 상위언어적 부정에 입각한 ...
특이하게 상위언어적 부정에 입각한 부사어로서 첫음절 강세를 수반하는 '보통'과 '여간'의 특성을 보이기 위해 기술적 부정과 상위언어적 부정의 차이를 논하고, 기술적 부정에 입각하여 나타나는 부정극어에 해당하는 부사류와 구별짓는다. 상위언어적 부정에 입각한 '보통'과 '여간'은 일상적인 상위언어적 부정에 입각한 부사어들과 달리 상대방의 발화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표현의 어떤 측면을 반박/시정하는 방식으로 쓰이지 않는다는 큰 특징이 있다. 즉 앞선 발화에 나타나지 않았으면서도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기준(Bolinger의 'accepted standard')을 잡아 그것을 주로 외적 부정을 써서 부정하는 방식으로 부정함으로써 예사스러운 정도를 훨씬 벗어나 '엄청나게/대단히/놀랍게/매우'의 수식을 받는 술어 내용이 전달되는 효과를 드러낸다. 상위언어적으로 부정되는 표현과 이에 이어 대안으로 제시되는 표현은 둘이 대조적 초점을 받는다고 보며, 특히 대조쌍이 안 나타나는 '보통'과 '여간'의 경우는 그 유표적인 쓰임을 드러내기 위해 첫 음절 강세가 유난히 두드러진다고 본다. 이러한 억양 특징들이 한국어의 '보통'과 '여간'의 경우와 긍정적으로 쓰인 '보통으로'와 상위언어적으로 부정되어 쓰인('보통으로' 잘 한 게 아냐) 최소쌍을 녹음하여 pitchtrack 그림으로 보였고, 영어의 대조쌍이 되는 상위언어적 부정의 'not A LITTLE'과 부정극어가 되는 'NOT a little'('조금도')을 음성 그림으로 보였다. 한편, 부정극어 생성에 핵이 되는 운용소(연산자)인 양보사 '-도'는 척도적이면서 척도상의 낮은 끝값과 결합해 강조적 표현인 부정극어를 이루는 일반적인 원리를 보이고 이는 또 실제로는 양보적으로 시인하는 대조화제(CT) 운용소 '-는'과 긴밀하게 척도상으로 반-쌍대(semi-dual) 관계에 있음을 보이고, 이 척도적인 NPI. PPI는 Israel(1996) 도표에 들어가나, 상위언어적 부정에 의한 부사류는 그렇지 않음을 보였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연구는 기간내에 원만히 대체로 완료되었으나, 상위언어적 부정과 기술적 부정의 억양 차이를 당초 영어의 현상만을 녹음해 그 분석 그림만을 제시했으나, 한국어 현상의 실험이 필요하다는 판단 연구 기간 종료 이후 발음 녹음할 피험자들을 구해 작업했으며, 이를 반영 ...
연구는 기간내에 원만히 대체로 완료되었으나, 상위언어적 부정과 기술적 부정의 억양 차이를 당초 영어의 현상만을 녹음해 그 분석 그림만을 제시했으나, 한국어 현상의 실험이 필요하다는 판단 연구 기간 종료 이후 발음 녹음할 피험자들을 구해 작업했으며, 이를 반영해 논문을 수정 중이다. 6월 20일 대구 경북대에서 열리는 한국언어정보학회 여름학술대회에서 구두 발표하고 그 내용이 대체로 자료집에 들어갈 예정이다. 그러나 그 내용을 영어로 더 다듬어 몇달 안에 국제지에 제출할 것이므로, 그것이 출판되려면 제출후 보통 2년이 소요되므로 내후년이라야 나올 것이다. 나오게 되면 Bolinger가 1972년에 Degree Words라는 책에서 논의한 이래 이 현상에 대해 이론적으로 명확하고 경험적으로도 음성 억양 실험을 갖춘 그것도 범언어적으로 뒷받침되는 연구로서 학계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보며, 교육과 IT 응용에도 쓰일 것으로 본다.
색인어
상위언어적 부정에 입각한 부사어, '보통'과 '여간', 기술적 부정과 상위언어적 부정,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기준, 대조적 초점, 첫음절 강세, pitchtrack, 최소쌍, 운용소(연산자), 양보사 '-도', 대조화제(CT), NPI. PPI, 반-쌍대(semi-dual) 관계, 척도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