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속성정보가 유발하는 감정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분의 역할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7-327-B00251
선정년도 2007 년
연구기간 1 년 (2007년 12월 01일 ~ 2008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최낙환
연구수행기관 전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소비자에게 제품정보가 충분하다면 그 정보가 제품의 평가에 영향을 주로 미치지만, 제품정보가 부족하면 사전 기분(mood)이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단서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진다. 만약에 기분이 긍정적이면 표적브랜드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일 수 있다. Schwarz and Clore(1983)는 사람들의 삶에 대한 평가가 자신의 현재의 기분상태에 따라 달라진다고 보고 화창한 날씨에서 우중충한 구름 낀 날씨에서보다 삶에 대한 만족수준이 높음을 탐색하여 기분(mood)이 사람들의 판단에 투입되는 단서임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Pham(1998)은 Schwarz and Clore(1983, 1988)의 연구를 확장하여 감정이 판단표적에 대표성(representative)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면 그 표적에 전이되고(transferred), 또 표적평가에 관련된다(relevant)고 생각되면 표적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제품평가에 대한 기분의 직접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 그리고 기분이 겉으로 보기에 관련이 없어 보이는 객체들간의 관계에 대한 사고를 촉진하는 자원으로 작용하기도 한다(Isen et al. 1987; Lee and Sternthal 1999). 기분이 지각자원으로 작용하여 동화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Schwarz(2001)는 부정적 기분이 현장의 자료중심적인 상향식 처리를 촉진하고, 긍정적 기분은 개별적인 정보요소들간의 연상을 촉진하는 관계정교화(relational elaboration)과정을 유도한다고 하였다. Raghunathan and Trope(2002)은 긍정적 기분이 자원으로 작용한다고 보고, 자아관련 부정적 정보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여 긍정적 기분이 그런 부정적 정보를 극복할 수 있게 하는 심리적 완충지대가 됨을 탐색하였다.
    □ 그런데 기존 연구들은 선택에 대한 기분의 직접효과와 정보처리에 대한 영향을 다룬 것으로, 기분이 제품속성에 의한 감정유발 과정에 작용하고, 또 제품평가에 유발된 감정과 기분이 상호작용하는 문제를 도외시 하였다.
    □ Bosmans and Baumgartner(2005)는 성취욕구에 어필하는 광고가 기쁨감정을 유발하면 제품선호도가 높아지며, 예방목표에 어필하는 광고가 안도감을 유발하면 제품선호도가 높아진다고 하였다. 즉 어필유형에 따른 감정유발에 관한 연구를 한 것이다. Darke et al.(2006)은 제품자체와 관련된 본질적인 느낌과 제품자체와 관련이 없는 인위적으로 결부시킨 느낌을 구분하고 감정의 기능적 역할을 탐색하였다. 그러나 이들 연구에는 제품의 속성구분기준이 없고, 기분에 따라서 제품의 속성유형별로 유발되는 감정차이와 제품과 관련이 없는 기분이 속성정보별로 유발된 감정과 상호작용하여 제품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간과하고 있다.
    □ 따라서 이 연구는 첫째, 소비자의 기분이 제품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둘째, 제품속성유형을 구분하고, 속성유형별 어필방법에 따른 감정유발에 대한 기분의 조절효과와 유발된 감정과 기분의 제품평가에 대한 상호작용효과를 탐색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기여도
    □ 이 연구는 기존연구에서 탐색되지 않은 기분에 따른 제품속성유형별 어필의 감정유발효과가 탐색되고, 그리고 유발된 감정의 제품평가에 대한 기분효과가 탐색된다.

    □ 따라서 기존에 연구가 되지 않은 제품속성과 유발 감정의 관계가 탐색되고 기분의 조절효과가 동시에 연구되기 때문에 기존에 오감을 중심으로 연구된 이론에 속성 정보의 효과를 추가하여 새로운 틀이 만들어지게 한다. 따라서 마케팅의 이론발전에 기여하고 많은 담론이 유발될 것으로 기대한다.

    2 관리적 기여도
    □ 이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미탐색된 분야를 연구하여 마케팅관리자에 촉진방법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일깨워주고, 감성적 접근에 대한에 자신감을 갖게 한다.

    3 교육에의 환류와 인력양성
    □ 기존의 감성 또는 체험 마케팅 문헌에는 다양한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실증이 결여되어 있으며, 이성과 감성의 상호작용에 관한 내용은 매우 희박하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감성 마케팅 교육에 어려움이 있는데 이 연구는 실증자료와 함께 교육에 환류 될 수 있고, 특히 물리적 속성 정보와 유발 감정의 관계를 일목요연하게 보여줄 수 있고, 또 기분의 조절효과가 탐색되어,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연구자가 재직하는 대학에서는 학생들에게 연구 결과를 교육하여 이론적 무장을 하게 한다.
  • 연구요약
  • □ 사람들은 기쁨을 추구하고 고통을 회피하려 한다. 부정적인 기분상태에 있는 사람은 기분을 좋게 하는 행동을 하려하고(Zillman 1988), 긍정적인 기분상태에 있는 사람은 그 기분을 위협하는 행동을 자제하고(Clark and Isen 1982), 행복한 사람은 기분을 유지할 수 있는 행동을 하려한다(Manucia et al. 1984).
    □ 소비자의 제품평가에 양립하는 제품의 속성은 기분촉진활동과 기분예방활동에서 서로 다를 것이다. 소비자의 추구활동에 따라서 양립하는 속성들은 기쁨추구와 고통회피라는 쾌락원리(Higgins 1997)에 따라서 나누어질 수 있다. Bosmans and Baumgartner (2005)는 광고가 성취목표에 어필할 때, 기쁨을 느끼는 소비자는 안도감을 느끼는 소비자보다 제품을 더 호의적으로 평가하고, 광고가 예방목표에 어필할 때, 안도감을 느끼는 소비자는 기쁨을 느끼는 소비자보다 제품을 더 호의적으로 평가함을 탐색하였다..
    □ 행복한 소비자에게서 발생되는 기분예방활동에 양립하는 제품의 속성은 기분유지의 관점에서는 또 다른 기쁨추구를 위해 쾌락속성이나 수행속성일 것이고, 기분보호의 관점에서는 행복감을 위협할 수 있는 신뢰속성일 것이다. 그리고 기분유지관점에서 양립하는 쾌락속성이나 수행속성은 안도감보다는 기쁨을 유발시키고, 경험적 정교화 수준을 높게 할 것이며, 기분보호관점에서 양립하는 신뢰속성은 기쁨보다 안도감을 유발시킬 것이다.
    □ 기분이 나쁜 상태에서 기분전환을 하려고 할 때에, 기분 나쁜 상태가 유발된 원인이 실패, 다툼 등의 부정적 측면일 가능성이 크고, 본인의 실수일 경우에 낙담하는 정도가 더욱 클 수 있기 때문에, 본인의 과업을 잘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제품의 수행속성이 신뢰속성보다 제품평가에 더욱 양립할 것이다. 그리고 기분이 나쁜 사람에게 수행속성에 의한 어필은 실패에 대한 보상욕구의 충족감을 느끼게 하여 안도감보다는 기쁨을 유발시킬 것이다. 그런데 쾌락속성에 의한 어필은 상향식 자료처리접근이 유발되어 수행속성에 의한 어필보다 기쁨유발정도가 작을 것이다.

    연구내용 1 : 쾌락속성이나 수행속성에 의한 어필이 기쁨을 유발하는 정도는 기분에 따라 다를 것이다.
    연구내용 1.1 : 기분이 좋을 경우 쾌락속성에 의한 어필이 수행속성에 의한 어필보다 기쁨을 유발하는 정도가 클 것이다.
    연구내용 1.2 : 기분이 나쁠 경우 수행속성에 의한 어필이 쾌락속성에 의한 어필보다 기쁨을 유발하는 정도가 클 것이다.

    연구내용 2 : 신뢰속성에 의한 어필이 안도감을 유발하는 정도는 기분이 좋을 경우보다 기분이 나쁠 경우에 클 것이다.

    □ 한편, 이 연구에서 소비자가 느낀 기쁨이나 안도감은 긍정적 감정으로서 제품자체가 관련되어 유도된 감정이다. 따라서 동화현상에 의해 제품의 평가수준을 직접적으로 높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기분이 좋은 소비자에게 쾌락속성에 의한 어필로 유도된 기쁨감정은 제품의 경험적 측면에 대하여 체계적 처리를 유도하는 자원으로 작용하여 비판적 사고를 줄이고, 경험적 정교화 수준을 높게 할 수 있고, 경험적 정교화 수준은 제품의 평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 수행속성이나 신뢰속성은 모두 양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실용속성이며, 실용속성은 정보적 정교화와 관련된 개념이다. 그리고 기분이 나쁠 경우 자료중심적 상향식 정보처리과정이 유발된다. 따라서 기분이 나쁠 경우에 수행속성에 의해 유발된 기쁨과 신뢰속성에 의해 유발된 안도감은 기분이 좋을 경우보다 제품의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내용 3 : 쾌락속성에 의한 어필이 유발한 기쁨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기분이 나쁠 경우보다 기분이 좋을 경우에 클 것이다.

    연구내용 4 : 수행속성에 의한 어필이 유발한 기쁨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기분이 좋을 경우보다 기분이 나쁠 경우에 클 것이다.

    연구내용 5 : 신뢰속성에 의한 어필이 유발한 안도감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기분이 좋을 경우보다 기분이 나쁠 경우에 클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제품속성정보유형,기분,유발감정,제품평가
  • 영문키워드
  • Mood,Product Evaluation,the Affect Induced by Attributional Informa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평가대상과 관련이 있는 감정과 관련이 없는 기분의 상호작용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소비자의 기분이 제품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영향과 간접영향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제품의 속성유형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쾌락속성과 수행속성, 그리고 신뢰속성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속성유형별 어필에 따른 감정유발에 대한 기분의 효과와 유발된 감정의 제품평가효과에 대한 기분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스파․아쿠아를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여, 스파․아쿠아의 속성들을 쾌락속성과 수행속성, 그리고 신뢰속성요인으로 구분하고, 각 제품속성에 의한 어필에 의해 유발되는 감정에 대한 기분의 효과와 유발된 감정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제품의 속성유형별 어필에 따라 서로 다른 감정이 유발되고, 이렇게 유발된 감정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기분에 따라 달라짐을 발견하였다. 즉 기분이 좋은 경우 제품의 쾌락속성 어필이 기쁨 감정을 더 크게 느끼게 하며, 기분이 나쁜 경우 제품의 수행속성에 의한 어필이 기쁨 감정을, 제품의 신뢰속성에 의한 어필이 안도감 감정을 더 크게 느끼게 하였다. 또한 기분이 좋은 경우 쾌락속성과 관련되어 유발된 기쁨 감정이 제품평가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분이 나쁜 경우 수행속성과 관련되어 유발된 기쁨 감정이 그리고 신뢰속성과 관련되어 유발된 안도감 감정이 제품평가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is study has three research objectives. The first objective is to provide conceptual framework of consumption vision in the field of consumer behavior. The second objective is to discuss the concept of consumption vision and to classify factors (vividness, fluency, narrative, and self-reference) that might affect the formation of consumption vision. Third, this study is to understand roles of consumption vision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o explore the effect of consumption vision on both emotional and cognitive reactions. Lastly,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th to consequences (positive emotion, usage-situation suitability, critical thoughts and product evaluation) of consumption vis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ed. First, the four factors on consumption vision are all found to be positively affecting the formation of consumption vision. Second, a vivid consumption vision affects transportation positively. Third, transportation affects positive emotions and suitability of usage-situation and negatively affect the increase in critical thoughts. Fourth, positive emotions and suitability of usage-situation affect product evaluation positively and critical thoughts affects product evaluation negatively.
    It has been foun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at consumers can be clear of decision-making mechanism when they barely have the character of products and the belief of individual outcome of product using due to alternatives of option that has no direct and personal experience through consumption vision and transportation concept. In addition, what transportatio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when forming of consumption vision all the more intensifying consumers' emotion and recognition, has been substantiated, this results can be viewed that existing researches have expanded the frame of research abut consumption vision which was treated with limitation on qualitative studies.
    This research has tried verifying on what path consumption vision moves along when it weighs on evaluating products while finding out variations affecting on forming of consumption vision through advertising. What this research implies by this is as follows. First, existing models of decision making process shows that they integrate current belief and evaluations for products' character in order to from attitude toward products, and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can be found on the point that this research has verified consumers' decision-making, which they have to even for alternative options without their direct personal experience, through consumption vision and transportation concept. That is, this research can be viewed to have expanded existing theory of consumption vision, because it has verified that positive consumption vision is formed due to variations such as self-reference, vividness, information fluency, narrative formation of advertising in pre-purchasing situation before consuming products, and this vision makes consumers absorbed, which after all inducing their positive feelings thus influencing on suitability of using situation.
    Secondly, as four factors in forming of consumption vision (self-reference, vividness, information fluency, narrative formation of advertising) play an important role in inducing positive feeling, curb on critical thinking and affirmative consuming activities (that is, evaluation of products), it implies that marketing manager need to expect not only on the level of consumers' awareness for acts of consumption but also of emotion. This means that, by manager's controlling of consumers' consumption vision, consumers' acts of consumption can be revitaliz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평가대상과 관련이 있는 감정과 관련이 없는 기분의 상호작용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소비자의 기분이 제품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영향과 간접영향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제품의 속성유형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쾌락속성과 수행속성, 그리고 신뢰속성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속성유형별 어필에 따른 감정유발에 대한 기분의 효과와 유발된 감정의 제품평가효과에 대한 기분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스파․아쿠아를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여, 스파․아쿠아의 속성들을 쾌락속성과 수행속성, 그리고 신뢰속성요인으로 구분하고, 각 제품속성에 의한 어필에 의해 유발되는 감정에 대한 기분의 효과와 유발된 감정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제품의 속성유형별 어필에 따라 서로 다른 감정이 유발되고, 이렇게 유발된 감정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기분에 따라 달라짐을 발견하였다. 즉 기분이 좋은 경우 제품의 쾌락속성 어필이 기쁨 감정을 더 크게 느끼게 하며, 기분이 나쁜 경우 제품의 수행속성에 의한 어필이 기쁨 감정을, 제품의 신뢰속성에 의한 어필이 안도감 감정을 더 크게 느끼게 하였다. 또한 기분이 좋은 경우 쾌락속성과 관련되어 유발된 기쁨 감정이 제품평가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분이 나쁜 경우 수행속성과 관련되어 유발된 기쁨 감정이 그리고 신뢰속성과 관련되어 유발된 안도감 감정이 제품평가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의 초점은 기존연구에서 탐색되지 않았던 제품속성유형별 어필방법에 따른 감정유발에 대한 기분의 조절효과와 유발된 감정과 기분의 제품평가에 대한 상호작용효과에 맞추어져 있다. 연구 결과, 기분에 따른 제품속성유형별 어필은 더욱 강하게 관련된 감정을 유발시키고, 이렇게 형성된 감정은 제품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소비자들이 특정제품과 관련된 정보처리를 함에 있어, 감정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 된다는 기존의 이론을 확장하여 제품속성유형과 유발 감정 간의 관계가 탐색되고, 기분의 조절효과가 동시에 연구되기 때문에 기존에 오감을 중심으로 연구된 이론에 속성 정보의 효과를 추가하여 새로운 틀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소비자에게 제시되는 속성단서가 기분에 따라 제품에 대한 정보처리과정과 평가결과가 달라진다는 것을 기업의 마케팅 관리자에게 제시하고 있으며, 마케팅자극을 구성할 때, 소비자의 기분상태와 제품속성, 그리고 유발감정의 효과를 좀 더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소비자들이 목표와 연관된 감정을 더욱 강하게 유발할 수 있도록 감성적 속성단서나 광고의 전달매체나 프로그램, 메시지의 전달내용을 좀 더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광고의 실행을 전반적 분위기에 따라 쾌락속성, 수행속성, 신뢰속성 등으로 나누어 선정하면 효과가 클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경쟁사에 비하여 열등한 속성을 가진 제품의 광고전략을 구성할 때, 표적고객의 기분상태와 선호하는 속성을 활용하고 소비자의 감정을 강하게 유발해 줄 수 있는 속성을 강조하여 유리한 평가로 이끌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색인어
  • mood, emotion, hedonic attribute, performance attribute, reliability attribute, cheerfulness, quiescence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