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의 교육적 의미 분석: 통합적 해석적 사례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7-327-B00503
선정년도 2007 년
연구기간 3 년 (2007년 12월 01일 ~ 2010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김경자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시도된 학교교육과정 조직의 한 원리로 정착된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통합적․해석적 관점(worldly interpretive framework)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초등학교 저학년통합교육과정이 20 수년 동안 실행된 시점에서 그리고 시대․사회적으로 학교교육과정에서 통합적 접근이 다양한 경로로 더욱 요청되는 상황에서 제4차 교육과정 기부터 현행 교육과정 기까지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을 복수의 관점(multiple perspectives)에서 통합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통합적으로 연구한다고 함은 통합적․해석적 관점을 취한다는 것으로서, 각 연구 문제에 대해 어느 한 관점을 취하기보다는 비교, 대조되는 복수의 관점을 각 연구 문제가 갖는 다양한 측면을 해석하는 틀로 사용함으로써 역사적으로, 시간적으로, 학교와 교사의 맥락이 서로 다르게 작용한 통합교육과정 접근을 상호 배타적으로 보기 보다는, 어떤 부분이 왜, 어떻게 상호 관련되는지 그리고 상호 보완되는 정보가 무엇인지를 탐구하고자 하는 시도이다(Clarke, 2001; Merriam, 1998; Yin, 2003). 이러한 시도는 교과적 관점, 통합적 관점, 그리고 또 다른 교육과정 관점에서의 논의들을 복수의 관점에서 학교교육과정 조직 원리로서의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 접근을 평가하고, 미래 통합교육과정 접근의 방향성을 제공하는 데 훨씬 더 풍부한 개선의 정보를 얻는 데 유효한 방법이 될 수 있다.
  • 기대효과
  •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갖는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의 교육적 의미를 통합적이고도 해석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둘째, 학교교육과정의 조직 원리로서 제안된 다양한 통합교육과정 접근들과 다양한 통합교육과정의 계획과 실행에 대한 논의와 주장의 수준들을 구분하여 복수의 문제와 요소들을 논의할 수 있는 통합교육과정 접근에 대한 연구의 틀을 제공한다.
    셋째, 이 연구의 단계 및 절차 자체가 통합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피드백 루프를 확인하고 수립하는 데 한 전형이 된다.
    넷째, 현재 과학기술 분야에서 요청되는 인식/지식의 통합 요구를 학교교육의 수준에서 논의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제시한다. 과학기술 분야의 전문가 수준에서의 인식/지식의 통합과 학생 수준의 인식/지식의 통합은 같은 인식론적 관점에서 제기되는 경우라고 할지라고, 이를 성취하기 위한 교육과정적 대응은 다르며, 학교와 교사라는 맥락 및 학생의 학습이라는 복잡한 측면에 대한 관계를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
    다섯째, 연구자료 분석을 함에 있어서 삼각검증법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crystallization' 방법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여섯째, 국가, 지역, 학교, 교사 수준에서의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의 계획과 실행을 학습의 효과와 관련지을 때, 교육적 의미를 평가할 수 있음을 알게 한다.
    일곱째, 실증적으로 제시되는 연구결과는 현행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개선을 위한 보완적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 연구요약
  •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수립하여 연구 과제를 수행한다.
    첫째, 제4차 교육과정 기부터 현행 교육과정 기까지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론적 전체성(epistemic holism)과 지식 통합(integration of knowledge)에 대한 복수의 관점들은 무엇인가?
    둘째, 최근 과학기술분야에서 요청되는 ‘통합’과 ‘통섭’의 개념에 내재한 인식론적 전체성(epistemic holism)과 지식 통합(integration of knowledge)의 관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관점이 던지는 학교교육과정 원리로서의 통합교육과정 접근에 제공하는 함의는 무엇인가?
    셋째, 학교와 교사가 실행하는 통합교육과정의 맥락, 계획, 실행은 어떠한가? 여기에서 통합교육과정을 학교와 교사가 실행한다고 함은 동일한 통합교육과정을 다르게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하는 것이다.
    넷째, 학교에서 교사의 통합교육과정을 경험한 학생의 학습의 종류, 즉, 지식, 기능, 태도는 무엇인가?
    다섯째, 국가수준 그리고 학교와 교사수준에서의 통합교육과정 계획과 실행, 그리고 학생이 경험한 통합교육과정의 관계는 무엇인가?
    여섯째, 과학기술분야에서 요청되는 ‘통합’과 ‘통섭’의 개념이 제공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 접근의 함의는 무엇인가? 시대 사회적 요구인 ‘통합’과 ‘통섭’의 개념을 반영하면서, 위 연구 문제들의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미래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 접근의 방향과 초․중등학교에서의 통합교육과정 접근의 확대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 연구는 통합적․해석적 관점(worldly intepretive framework)을 연구의 기본관점으로 하여 수행된다(Rennie, Scheffield, Venville, & Wallace, 2005). 자료 분석 방법은 통합교육과정과 같이 비교․대조․대립되는 복수의 관점에서 접근된다. 각 사례가 포함하는 요소 또는 측면을 복수의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연구 대상에 대해 복잡하고 깊이 있는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crystallizaiton' 방법을 사용한다(Clarke, 2001). ‘crystallization'은 크리스털이 면이 많은 것처럼 통합교육과정과 같이 다양한 관점에서 다양한 측면 또는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연구 대상을 여러 가지 측면에서 규정하고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을 은유로 표현한 것이다. 주제 또는 살펴보고자 하는 요소들에 대해 복잡하고 깊이 있는 이해를 하기 원할 때 적합한 방법이라고 할 것이다. 이 방법은 통합교육과정을 통합적이고 해석적으로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할 때 적합한 방법이며, 이 방법은 비교, 대조되는 연구 대상을 비교, 대조되는 복수의 관점에서 관찰함으로써 각 사례에 대해 보완 설명이 가능한 정보를 제공 해 준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을 학교나 교사의 맥락에 따라 제7차 교육과정의 관점과 같은 방식으로 계획, 실행하고 있는 한 학교와 교사를 선정하고, 제7차 교육과정의 관점과 다른 방식으로 계획, 실행하고 있는 또 다른 한 학교와 교사를 임의로 선정한다.
    자료수집은 연구 내용별로 교육과정의 의사결정의 수준을 확인하여 자료의 원천을 확인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 연구가 교육과정 연구로서의 기본 자료 원을 가능한 많이 빠짐없이 확인하여 자료를 수집, 정리할 수 있도록 한다.
    자료수집은 첫째, 교육과정 학자․전문가들의 입장, 이론, 모형들에 대한 논의를 한 문헌 또는 면담 자료를 담고 있는 이론적 또는 이상적 수준(ideal curriculum)에서 자료를 수집한다.
    둘째, 국가 및 지역교육청에서 개발되는 통합교육과정과 관련된 문서 자료, 개발자 면담 자료와 같은 형식적 수준(formal curriculum)에서 자료를 수집한다.
    셋째, 학교 및 교사가 계획한 수준(intended curriculum)에서의 자료, 즉 통합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 면담 자료, 교사 일지, 학생의 학습결과물 등을 포함하는 자료를 수집한다.
    넷째, 교사가 실행한 수준(enacted curriculum)에서의 통합 교육과정 자료로서 연구자의 수업관찰, 교사 일지, 교사의 자기 보고, 교사 면담, 학생의 학습결과물 등을 포함하는 자료를 수집한다.
    다섯째, 학생이 경험한 교육과정(experiential) 자료로서 수업관찰, 학생의 학습결과물, 학생 면담, 교사의 일지 등을 수집한다.
    여섯째, 개별 연구 문제 내에서 몇 개의 의사결정 수준이 포함될 수 있음으로 개별 연구 문제 내에서, 또는 연구 문제 간에 교육과정의 의사결정 수준 간에 나타나는 자료를 수직적으로도 비교, 대조할 수 있도록 정리한다.
  • 한글키워드
  • 학제적 접근,학교교육과정 조직 원리,인식론적 전체성,지식 통합,지식,인식,학교 맥락,학습,교과,학문,실행,계획,통합(융합),크리스털 분석법,통합적 해석적 관점,교육과정의 의사결정 수준,국가수준 교육과정,통섭,학습 효과,통합교육과정,학교교육과정,교사 맥락
  • 영문키워드
  • consilience,discipline,crystallization,worldly interpretive framework,learning effect,learning,teacher context(teacher perspective),school context(school philosophy),integration of knowlege,epistemic holism,knowledge,epistemology,organizational principle of school curriculum,integrated curriculum,school curriculum,planned,convergency,interdisciplinary approach,subject,enacted,national level curriculum,levels of curriculum decision making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학교교육과정 조직의 한 원리로 정착된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통합적 해석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타당성을 탐색하여, 새로운 시대에 맞는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의 의미를 통합교육과정 이론의 역사적 변천 속에서 재해석하였다, 둘째, 우리나라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의 의미의 타당성을 현대 학습 과학 이론에 비추어 분석하였다. 셋째, 국가수준의 통합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가 제공되는 맥락에서 교사의 수업 계획, 수업 실행을 면담, 관찰, 문서 분석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넷째, 학생이 경험하는 학습의 종류를 교사의 수업 계획, 수업 실행, 학습자의 학습경험(관찰 및 평가)을 상호 비교, 대조하였다. 다섯째, 통합교육과정의 의미와 국가수준, 교사의 계획과 실행 그리고 학습자의 경험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여섯째, 향후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의 횡적 통합의 개선 방향과 종적 통합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이론과 선행 연구에 대한 심층적 문헌 분석과 4명의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을 가르치는 교사와 학생에 대한 면담, 관찰, 계획 문서들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통합교육과정의 의미는 진보주의 시대에 사용된 생활주제 중심의 중핵교육과정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대 학습과학에 따르면, '학습자의 미분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활동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교육과정 조직해야 한다는 통합교육과정 개발자의 의도를 반드시 지지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가수준의 통합교육과정 접근은 학습자의 학습의 통합성을 추구하면서, 자기주도적, 창의적 학습의 가능성까지를 의도하고 있다. 그리고 활동 주제를 대주제, 소주제, 통합단원 주제로 구별하여 제시하고 이에따른 상세화한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통합교과를 '새로운' 교과로, 통합되기 이전의 교과와는 다른 특징을 지닌다고 하여, 교과로서의 지위를 부여하고 있다. 교사는 통합교과의 수업 계획, 수업 실행을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그대로 '진도나가기' 형식으로 반복, 암기식 활동을 통해 가르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통합교과를 다른 교과와 마찬가지의 교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른 대안이 없기 때문에 교과서대로 가르친다고 하였다. 넷째, 학습자는 교사의 발문 또는 지시를 따라 예, 아니오, 또는 단답형의 대답을 이어가는 경험을 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수업 후 실시한 사실 중심의 평가지에서 대체로 수업한 것을 모두 기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중에 학생들이 좀 더 심층적 의미를 알고자 하는 질문들이 나왔으나, 교사는 수업의 맥락을 그냥 이어가기 위해 무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에서 국가수준 통합교육과정, 교사의 계획, 실행, 학습자의 경험은 '충실도 관점'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수준의 의도는 학습자의 학습의 통합이고, 교사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지향하지만, 실제적으로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를 통해 완전히 수업을 통제, 지배하는 권위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단원의 예가 이러한 결과를 극명하게 증거하고 있다. 새로운 학습과학 이론에 따르면, 학습자는 나이 어린 아동이라고 할지라도 개념적 이해를 하는 성향이 있으며, 선지식을 가지고 있고, 능동적으로 학습의 전략을 선택하고 개발하는 능력이 있다. 그러나 교과서 중심의 수업은 학습자의 이러한 학습의 특성을 살려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은 유치원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3학년 교과/교과군 내용체계와 내적 일관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이나 학문분야에서의 중심 학문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통한 간학문적, 또는 탈학문적 접근과도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과의 구조나 특징이 무시되는 현행 활동주제 중심의 통합교육과정은 국가수준에서 전교과에 걸쳐서 적용이 가능하고 필요한 통합주제를 설정하여 제시하고 학교와 교사 수준에서 이를 각 교과에 통합하게 하거나, 각 주제를 중심으로 몇 개의 교과를 통합하게 하는 대안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또 다른 대안은 현행 활동주제 중심의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교과군에 포함되는 교과의 구조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목표로 조직하는 접근이라고 할 것이다. 교과간의 적절한 상호작용을 파악한 다음, 실생활 문제 맥락 속에서 교과의 구조를 다룰 수 있도록 하는 대안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of integrated curriculum appeared i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searched for the directions of the better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In doing so, the multiple ways of data collection were used. Literature review, interview, ovbrservation, and document analysis were used. 4 teachers and her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erach questions were in the following. First, the meaning of integrated curriculum was analyz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mearning integrated curriculum. Second, the meaning of integrated curriculum as "integration of experiences" and "integration of knowing" was analyzed and discussed by studying the experimental research performed in the field of the science of learning which included cognitive science, neuroscience, brain science, etc.). Expertise and expert knowledge, learning and transfer, child's early learning and brain research were review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meaning of integrated curriculum used i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rd, teacher's planned curriculum and enacted curriculum were analyzed to compare and constrast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Fourth, students' experiential curriculum were analyzed to compare and contrast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eacher's planned curriculum and enacted curriculum.Fifth, the relationship and consistency among the national curriculum, teacher's planned curriculum and enacted curriculum, and students' experiential curriculum were analyzed in reference to the perspectives of curriculum integration and the science of learning. Sixth, on the basis of analysis of the meaning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study of the various levels of integrated curriculum including national, teacher, and student level, directions of the revision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alternative suggestions about the current status and values of the existing subject matters categorized as integrated curriculu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오랜 기간 초등학교 저학년에서의 통합교육과정 운영이 당연시 되고 있는 상황에서 활동 주제 중심의 탈교과적 접근을 하고 있는 '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과의 의미를 분석하고 그 타당성을 탐색하여, 새로운 시대에 맞는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의 의미를 통합교육과정 이론의 역사적 변천 속에서 재해석하였다, 둘째, 우리나라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의 의미의 타당성을 현대 학습 과학 이론에 비추어 분석하였다. 셋째, 국가수준의 통합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가 제공되는 맥락에서 교사의 수업 계획, 수업 실행을 면담, 관찰, 문서 분석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넷째, 학생이 경험하는 학습의 종류를 교사의 수업 계획, 수업 실행, 학습자의 학습경험(관찰 및 평가)을 상호 비교, 대조하였다. 다섯째, 통합교육과정의 의미와 국가수준, 교사의 계획과 실행 그리고 학습자의 경험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여섯째, 향후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의 횡적 통합의 개선 방향과 종적 통합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이론과 선행 연구에 대한 심층적 문헌 분석과 4명의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을 가르치는 교사와 학생에 대한 면담, 관찰, 계획 문서들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통합교육과정의 의미는 진보주의 시대에 사용된 생활주제 중심의 중핵교육과정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대 학습과학에 따르면, '학습자의 미분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활동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교육과정 조직해야 한다는 통합교육과정 개발자의 의도를 반드시 지지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가수준의 통합교육과정 접근은 학습자의 학습의 통합성을 추구하면서, 자기주도적, 창의적 학습의 가능성까지를 의도하고 있다. 그리고 활동 주제를 대주제, 소주제, 통합단원 주제로 구별하여 제시하고 이에따른 상세화한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통합교과를 '새로운' 교과로, 통합되기 이전의 교과와는 다른 특징을 지닌다고 하여, 교과로서의 지위를 부여하고 있다. 교사는 통합교과의 수업 계획, 수업 실행을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그대로 '진도나가기' 형식으로 반복, 암기식 활동을 통해 가르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통합교과를 다른 교과와 마찬가지의 교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른 대안이 없기 때문에 교과서대로 가르친다고 하였다. 넷째, 학습자는 교사의 발문 또는 지시를 따라 예, 아니오, 또는 단답형의 대답을 이어가는 경험을 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수업 후 실시한 사실 중심의 평가지에서 대체로 수업한 것을 모두 기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중에 학생들이 좀 더 심층적 의미를 알고자 하는 질문들이 나왔으나, 교사는 수업의 맥락을 그냥 이어가기 위해 무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에서 국가수준 통합교육과정, 교사의 계획, 실행, 학습자의 경험은 '충실도 관점'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수준의 의도는 학습자의 학습의 통합이고, 교사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지향하지만, 실제적으로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를 통해 완전히 수업을 통제, 지배하는 권위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단원의 예가 이러한 결과를 극명하게 증거하고 있다. 새로운 학습과학 이론에 따르면, 학습자는 나이 어린 아동이라고 할지라도 개념적 이해를 하는 성향이 있으며, 선지식을 가지고 있고, 능동적으로 학습의 전략을 선택하고 개발하는 능력이 있다. 그러나 교과서 중심의 수업은 학습자의 이러한 학습의 특성을 살려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은 유치원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3학년 교과/교과군 내용체계와 내적 일관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이나 학문분야에서의 중심 학문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통한 간학문적, 또는 탈학문적 접근과도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과의 구조나 특징이 무시되는 현행 활동주제 중심의 통합교육과정은 국가수준에서 전교과에 걸쳐서 적용이 가능하고 필요한 통합주제를 설정하여 제시하고 학교와 교사 수준에서 이를 각 교과에 통합하게 하거나, 각 주제를 중심으로 몇 개의 교과를 통합하게 하는 대안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또 다른 대안은 현행 활동주제 중심의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교과군에 포함되는 교과의 구조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목표로 조직하는 접근이라고 할 것이다. 교과간의 적절한 상호작용을 파악한 다음, 실생활 문제 맥락 속에서 교과의 구조를 다룰 수 있도록 하는 대안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통합교육과정의 의미는 진보주의 시대에 사용된 생활주제 중심의 중핵교육과정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대 학습과학에 따르면, '학습자의 미분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활동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교육과정 조직해야 한다는 통합교육과정 개발자의 의도를 반드시 지지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가수준의 통합교육과정 접근은 학습자의 학습의 통합성을 추구하면서, 자기주도적, 창의적 학습의 가능성까지를 의도하고 있다. 그리고 활동 주제를 대주제, 소주제, 통합단원 주제로 구별하여 제시하고 이에따른 상세화한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통합교과를 '새로운' 교과로, 통합되기 이전의 교과와는 다른 특징을 지닌다고 하여, 교과로서의 지위를 부여하고 있다. 교사는 통합교과의 수업 계획, 수업 실행을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그대로 '진도나가기' 형식으로 반복, 암기식 활동을 통해 가르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통합교과를 다른 교과와 마찬가지의 교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른 대안이 없기 때문에 교과서대로 가르친다고 하였다. 넷째, 학습자는 교사의 발문 또는 지시를 따라 예, 아니오, 또는 단답형의 대답을 이어가는 경험을 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수업 후 실시한 사실 중심의 평가지에서 대체로 수업한 것을 모두 기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중에 학생들이 좀 더 심층적 의미를 알고자 하는 질문들이 나왔으나, 교사는 수업의 맥락을 그냥 이어가기 위해 무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에서 국가수준 통합교육과정, 교사의 계획, 실행, 학습자의 경험은 '충실도 관점'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수준의 의도는 학습자의 학습의 통합이고, 교사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지향하지만, 실제적으로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를 통해 완전히 수업을 통제, 지배하는 권위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단원의 예가 이러한 결과를 극명하게 증거하고 있다. 새로운 학습과학 이론에 따르면, 학습자는 나이 어린 아동이라고 할지라도 개념적 이해를 하는 성향이 있으며, 선지식을 가지고 있고, 능동적으로 학습의 전략을 선택하고 개발하는 능력이 있다. 그러나 교과서 중심의 수업은 학습자의 이러한 학습의 특성을 살려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은 유치원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3학년 교과/교과군 내용체계와 내적 일관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이나 학문분야에서의 중심 학문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통한 간학문적, 또는 탈학문적 접근과도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과의 구조나 특징이 무시되는 현행 활동주제 중심의 통합교육과정은 국가수준에서 전교과에 걸쳐서 적용이 가능하고 필요한 통합주제를 설정하여 제시하고 학교와 교사 수준에서 이를 각 교과에 통합하게 하거나, 각 주제를 중심으로 몇 개의 교과를 통합하게 하는 대안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또 다른 대안은 현행 활동주제 중심의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교과군에 포함되는 교과의 구조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목표로 조직하는 접근이라고 할 것이다. 교과간의 적절한 상호작용을 파악한 다음, 실생활 문제 맥락 속에서 교과의 구조를 다룰 수 있도록 하는 대안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연구의 기여도 및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사회적 기여도를 갖는다.
    첫째, 학교교육과정의 조직 원리로서 제안된 다양한 통합교육과정 접근들과 다양한 통합교육과정의 계획과 실행에 대한 논의와 주장의 수준들을 복수의 관점에서 각각의 의미를 바라볼 수 있는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의 틀을 제공한다. 둘째, 이 연구의 단계 및 절차 자체가 학교와 교실에서 또는 연구 맥락에서 통합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피드백 루프를 확인하고 수립하는 데 실질적 함의를 제공한다. 셋째, 현재 전문 분야에서 요청되는 인식/지식의 통합 요구를 학교교육의 수준에서 논의할 때 고려해야 할 함의 점을 제시한다. 전문 분야의 전문가 수준에서의 인식/지식의 통합과 학교의 학생 수준의 인식/지식의 통합은 동일한 인식론적 관점을 취한다고 하더라도, 이를 성취하기 위한 학교에서의 교육과정 적 대응은 다르며, 학교와 교사라는 맥락 및 학생의 학습이라는 복잡한 측면에 대한 관계를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 넷째, 국가, 지역, 학교, 교사 수준에서의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의 계획과 실행을 학습의 효과와 초학문적(meta-disciplinary) 접근과 관련짓는 것을 통해서 통합교육과정의 대안적 의미를 제공한다. 다섯째, 실증적으로 제시되는 연구결과는 현행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보완적 정보로 활용된다.
  • 색인어
  • 통합교육과정, 통합교과, 경험의 통합, 인식의 통합, 이해, 전이, 전학문적 접근, 초학문적 접근, 교육과정 실행, 충실도 접근, 상호 작용 접근, 교육과정 생성 접근,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통합의 횡적 접근, 통합의 종적 접근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