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정보뿐만 아니라 해외 자본시장의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국내 주가수익률의 실현변동성의 설명력을 높임.
국내 정보뿐만 아니라 해외 자본시장의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국내 주가수익률의 실현변동성의 설명력을 높임.
기대효과
실제 다양한 파생상품 및 위험관리, 투자 등에서 활용되는 VIX는 미래의 실현변동성을 잘 설명해야 한다. 과연 국내 실현변동성이 국내 VIX에 의해서 잘 설명되는지, 아니면 다른 설명변수에 의해서 잘 설명되는를 파악함으로 말미암아, VIX의 개선점에 대한 함의를 도출 ...
실제 다양한 파생상품 및 위험관리, 투자 등에서 활용되는 VIX는 미래의 실현변동성을 잘 설명해야 한다. 과연 국내 실현변동성이 국내 VIX에 의해서 잘 설명되는지, 아니면 다른 설명변수에 의해서 잘 설명되는를 파악함으로 말미암아, VIX의 개선점에 대한 함의를 도출할 수 있을 것임.
연구요약
본 연구는 그 동안 이루어진 다양한 실증분석방법을 통해서, 과거변동성, Black-Scholes-Merton 내재변동성, 그리고 변동성지수(VIX)를 각각 산출하고, 각 변동성들의 실현변동성에 대한 예측력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특히 실현변동성 산출에 있어 일별 자료와 5분 ...
본 연구는 그 동안 이루어진 다양한 실증분석방법을 통해서, 과거변동성, Black-Scholes-Merton 내재변동성, 그리고 변동성지수(VIX)를 각각 산출하고, 각 변동성들의 실현변동성에 대한 예측력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특히 실현변동성 산출에 있어 일별 자료와 5분 단위 빈도 자료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강건한(robust)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실현변동성 예측에 있어 국내 정보로서 국내 금리변동성, 파생상품시장의 정보 등과 같은 국내정보뿐만 아니라, 환율변동성, 미국 주가지수 변동성, CBOE의 VIX, 미국 파생상품시장의 정보 등과 같은 해외정보변수로 고려하여 추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경우, 국내 실현변동성 예측에 있어서 설명력이 더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VIX 산출방법과 개선방식에 대한 새로운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예측된다.
실현변동성에 대한 예측력이 변동성지수뿐만 아니라 다른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설명변수로 추가하였을 때에 향상될 수 있을까 이를 실증분석하기 위해서 KOSPI200 일별자료 및 고빈도자료를 활용하여, 일별, 1시간단위, 30분단위, 및 5분단위 주가수익률의 역사적 변동성 ...
실현변동성에 대한 예측력이 변동성지수뿐만 아니라 다른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설명변수로 추가하였을 때에 향상될 수 있을까 이를 실증분석하기 위해서 KOSPI200 일별자료 및 고빈도자료를 활용하여, 일별, 1시간단위, 30분단위, 및 5분단위 주가수익률의 역사적 변동성과 실현변동성을 각각 계산하였다. 그리고 국내 금리시장, 외환시장, 외국의 주식시장 및 금리시장 등의 변동성 역시 계산하였다. 먼저 국내의 변동성지수인 VKOSPI가 실현변동성이 불편 조건부 기댓값인지를 검정한 결과 불편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리고 KOSPI200 실현변동성에 대한 설명력의 정보의 크기 VKOSPI, S&P500의 역사적 변동성, KOSPI200의 역사적 변동성 등 모두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VKOSPI 외에 다른 국내 변동성지표들을 설명변수로 사용하여 추정한 결과, 이 다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가지 특이한 것은 국내금리시장의 변동성과 실현변동성 간에는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주식시장의 변동성의 대표로서 S&P500 변동성을 상정하고, S&P500 변동성 외에 다른 해외시장의 변동성지표들을 추가하여 추정한 결과, 의 개선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실현변동성에 대한 해외주식시장의 설명력에 있어서 S&P500 변동성이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영문
Can the predictability of realized volatility be improved when volatilities of other financial markets are added as explanatory variables The dependent variable, that is, realized volatility is estimated by using various data sets with different freq ...
Can the predictability of realized volatility be improved when volatilities of other financial markets are added as explanatory variables The dependent variable, that is, realized volatility is estimated by using various data sets with different frequencies of day, hour, 30 minutes and 5 minutes. It turns out that VKOSPI is a biased estimator of the corresponding realized volatility. VKOSPI, historical volatility of S&P500, and historical volatility of KOSPI200 explain similarly the realized volatility of KOSPI200 in terms of the explanatory power. In addition to VKOSPI, volatilities of domestic bond and won/dollar exchange markets have additional minor explanatory power to the realized volatility. One thing interesting is that the volatility of the domestic interest rate market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realized volatility. For volatilities from foreign stock markets, S&P500 has dominant explanatory power to the realized volatility of KOSPI200.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실현변동성에 대한 예측력이 변동성지수뿐만 아니라 다른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설명변수로 추가하였을 때에 향상될 수 있을까? 이를 실증분석하기 위해서 KOSPI200 일별자료 및 고빈도자료를 활용하여, 일별, 1시간단위, 30분단위, 및 5분단위 주가수익률의 역사적 변동성 ...
실현변동성에 대한 예측력이 변동성지수뿐만 아니라 다른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설명변수로 추가하였을 때에 향상될 수 있을까? 이를 실증분석하기 위해서 KOSPI200 일별자료 및 고빈도자료를 활용하여, 일별, 1시간단위, 30분단위, 및 5분단위 주가수익률의 역사적 변동성과 실현변동성을 각각 계산하였다. 그리고 국내 금리시장, 외환시장, 외국의 주식시장 및 금리시장 등의 변동성 역시 계산하였다. 먼저 국내의 변동성지수인 VKOSPI가 실현변동성이 불편 조건부 기댓값인지를 검정한 결과 불편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리고 KOSPI200 실현변동성에 대한 설명력의 정보의 크기 VKOSPI, S&P500의 역사적 변동성, KOSPI200의 역사적 변동성 등 모두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VKOSPI 외에 다른 국내 변동성지표들을 설명변수로 사용하여 추정한 결과, 이 다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가지 특이한 것은 국내금리시장의 변동성과 실현변동성 간에는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주식시장의 변동성의 대표로서 S&P500 변동성을 상정하고, S&P500 변동성 외에 다른 해외시장의 변동성지표들을 추가하여 추정한 결과, 의 개선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실현변동성에 대한 해외주식시장의 설명력에 있어서 S&P500 변동성이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먼저 국내의 변동성지수인 VKOSPI가 실현변동성이 불편 조건부 기댓값인지를 검정한 결과 불편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KOSPI200 실현변동성에 대한 설명력의 정보의 크기 VKOSPI, S&P500의 역사적 변동성, KOSPI200의 역사적 변동성 등 모두 유사하게 나 ...
먼저 국내의 변동성지수인 VKOSPI가 실현변동성이 불편 조건부 기댓값인지를 검정한 결과 불편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KOSPI200 실현변동성에 대한 설명력의 정보의 크기 VKOSPI, S&P500의 역사적 변동성, KOSPI200의 역사적 변동성 등 모두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VKOSPI 외에 다른 국내 변동성지표들을 설명변수로 사용하여 추정한 결과, 이 다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가지 특이한 것은 국내금리시장의 변동성과 실현변동성 간에는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주식시장의 변동성의 대표로서 S&P500 변동성을 상정하고, S&P500 변동성 외에 다른 해외시장의 변동성지표들을 추가하여 추정한 결과, 의 개선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실현변동성에 대한 해외주식시장의 설명력에 있어서 S&P500 변동성이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국내 및 해외의 변동성지표들을 모두 고려하여 유효한 모든 지표들을 사용한 경우, 의 개선은 미세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내 KOSPI200을 활용한 금융상품거래의 가격책정이나 위험관리 등에 크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