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지방자치제의 시행이 환경서비스의 효율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폐기물처리서비스를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8-332-B00562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1 년 (2008년 07월 01일 ~ 2009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강은숙
연구수행기관 한국해양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공공부문에서 효율성의 가치가 중요해지면서 지방정부에서도 효율성, 생산성의 가치가 증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서비스 중 폐기물처리서비스에 초점을 맞추어 7개 광역시 소속 74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목표를 추구한다.
    첫째, 지방자치제를 전후하여 각 지방정부의 효율성의 정도는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 이를 통해 지방자치제가 민주성뿐만 아니라 효율성의 제고에 있어서도 제도로서의 정당성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연도별로 어떤 지방자치단체가 더 효율적인가? 이를 통해 지방자치단체간 상대적 효율성의 정도를 비교할 수 있고, 개별 지방정부가 벤치마킹해야 할 지방자치단체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지방자치단체의 규모별로 효율성의 패턴을 발견할 수 있는가? 이를 통해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는 지방정부의 적정규모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이 연구의 기대효과는 크게 행정관리상의 실용적 측면과 학술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행정관리상의 실용적 측면으로는 74개 기초자치단체의 상대적 효율성의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폐기물처리 서비스에 있어서 지방정부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행정관리상의 시사점(투입물의 조정량 및 벤치마킹 대상 지방정부 확인)을 찾을 수 있다.
    학술적 측면에서는 연구결과의 해석을 통해 효율성에 있어서 지방자치제의 제도로서의 정당성의 근거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방자치단체간 횡단면분석을 통해 지방정부의 규모에 따른 효율성의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지방자치단체의 적정규모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신자유주의의 영향 하에 전개된 공공부문의 개혁과정에서 중요한 가치로 대두되고 있는 효율성 혹은 생산성을 측정할 수 있는 DEA(Data Envelope Analysis)를 이용하여 지방자치제가 지방자치단체 환경서비스의 효율성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7개 광역시 소속의 74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폐기물처리서비스에 초점을 맞추어 1990년부터 2007년까지의 18개년의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효율성의 변화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민주성 뿐만 아니라 효율성의 제고에 있어서 지방자치제가 제도로서의 정당성을 갖고 있는가를 확인한다. 동시에 자치단체간 상대적 효율성의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행정관리 및 운영상의 시사점을 살펴본다. 또한 지방정부 규모별로 효율성의 패턴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적정한 지방자치단체의 규모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정책평가,자료포락분석,효율성,신공공관리,환경서비스
  • 영문키워드
  • Environmetal Service,Efficiency,DEA,Policy Evaluation,New Public Management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논문은 지방자치제의 시행이후 기초자치단체 생활폐기물처리서비스의 상대적 효율성이 어떻게 변해왔으며,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3단계 DEA모형을 개발하여 분석한 결과 상대적 효율성은 지방자치제의 시행기간이 늘어남에도 유의미한 방향성을 찾을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시간이 지난다고 하여 지방자치단체간 효율성의 격차가 줄어든다고도 말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대적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상대적 효율성 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에 있어서 일정한 패턴을 발견할 수 있었다.
  • 영문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how the technical efficiency was changed in the area of waste disposal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local autonomy in 1995. We also deal with the question as to the factors that might have affected the efficiency differences among the local governments. The 3-stage DEA model is developed to answer these questions. It turns out that first, the technical efficiency does not show any progress as the local autonomy evolves in time, second, moreover the relative differential in efficiency does not show any tendency of shrinkage among the local governments. It is also found through a regression model that population, per-capita income(GRDP), service coverage area and time variables have certain relationships with the degree of efficienc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논문은 지방자치제의 시행이후 기초자치단체 생활폐기물서비스의 상대적 효율성이 어떻게 변해왔으며,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3단계 DEA모형을 개발하여 분석한 결과 상대적 효율성은 지방자치제의 시행기간이 늘어남에도 유의미한 방향성을 찾을 수 없는 없으로 밝혀졌다. 또한 시간이 지난다고 하여 지방자치단체간 효율성의 격차가 줄어든다고도 말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대적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상대적 효율성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에 있어서 일정한 패턴을 발견할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지방자치제의 시행이 환경서비스 중 하나인 생활폐기물처리서비스의 효율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면, 지방자치제의 제도로서의 유의미성이 증가할 수 있지만, 연구결과를 이를 확신할 수 없다. 다른 공공서비스를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지방자치제에 대한 보다 의미가 있는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지방자치, 3단계 DEA, 효율성, 폐기물처리서비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