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그동안 국가적 차원에서 케이블, 위성, DMB, IPTV 등 새로운 미디어를 도입하고자 한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국민에게 다양하고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함은 물론 문화적 다양성을 추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하 ...
우리나라가 그동안 국가적 차원에서 케이블, 위성, DMB, IPTV 등 새로운 미디어를 도입하고자 한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국민에게 다양하고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함은 물론 문화적 다양성을 추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하지만 케이블이나 위성, DMB 등이 등장했을 때마다 정책적 혼란 및 혼선, 대국민들에 대한 홍보 부재로 인해 초기 시장 진입에 실패를 경험했다. 따라서 이러한 정책 실패를 경험한 현재 융합미디어 환경에서 새로운 정책의 시도는 공공커뮤니케이션이 할 수 있는 정부, 미디어, 시민의 원활한 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간주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정책과 IPTV 등에 대한 정부와 공중의 의사소통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는지 공공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예컨대, 디지털 전환정책과 IPTV 등에 대한 공중의 인지, 지각, 이해 등과 관련된 수용성을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정부의 디지털 전환정책과 IPTV 등이 공공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제대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고자 한다. 아울러 수용성 파악을 통해 디지털 전환정책과 IPTV 등에 대한 효율적인 공공커뮤니케이션 수립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자 한다.
기대효과
본 연구는 융합미디어 정책에 관한 공공커뮤니케이션 연구로 새로운 융합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국가정책의 공공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1) 학문적 차원의 기대효과
기존의 미디어 채택 연구 모델에 근거하여 제안된 본 연구는 새로운 미디어 수용 모 ...
본 연구는 융합미디어 정책에 관한 공공커뮤니케이션 연구로 새로운 융합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국가정책의 공공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1) 학문적 차원의 기대효과
기존의 미디어 채택 연구 모델에 근거하여 제안된 본 연구는 새로운 미디어 수용 모델을 설립하고자 통합마케팅커뮤니케이션 접근을 통하여 뉴미디어 환경에 대한 학문적 기여가 기대된다. 또한 수용자, 산업 및 정책적 측면을 고려한 분석을 통해서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의 도입에 따른 시장 안정화 전략을 도출하는데 실용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통합마케팅과 개혁확산이론을 통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형태를 수립하고 특히 정부와 국민의 커뮤니케이션 소통을 위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시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2) 수용자 측면 & 이용자적 측면의 효과 기존 미디어 정책 연구에서는 수용자를 단순히 수동적 수용자로 인식하였다. 국내 미디어 서비스는 산업적 측면을 강조하여 이용주체인 이용자의 미디어 선택과 욕구 그리고 이용자 권리에 대한에 대한 논의가 매우 부족한 실정임을 감안하여 실질적인 이용자 중심의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뉴 미디어 서비스 정책 수립시 정부-산업적 측면과 이용자 측면이 고려되어 수용자의 미디어 채택에 영향을 주는 각종 변인들과 사회적 영향 등을 고려하고, 이용자들의 권리추구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포괄적 미디어 이용자에 대한 실질적인 권리 추구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3) 국가차원의 정책적 측면
수용자 분석을 기반으로 한 본 연구는 공공 커뮤니케이션 연구모델에 근거하여 각 미디어 별로 어떠한 채택 요인이 보다 중요한지 발견하여,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최근 논의되는 수용자 복지라는 큰 틀에서 이용자들의 입장에서 미디어 & 콘텐츠 이용 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 및 피해를 최소하고, 문제 발생 시 대처방안 및 해결 방안을 적극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 이용자를 위한 정책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국가의 공공커뮤니케이션은 오늘날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공공커뮤니케이션의 형성과 조건 그리고 전략과정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성공 틀을 마련함으로써 앞으로 있을 국가 정책을 국민들에게 알리는 좋은 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요약
정부의 융합미디어 정책은 국민들과 관련된 것으로 당연히 국민들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 국민들에게 알리는 수단으로 각종 미디어가 활용되는데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의 형태를 공공커뮤니케이션(Public Communication)이라고 한다. 공공커뮤니케이션은 일반적으로 개인 ...
정부의 융합미디어 정책은 국민들과 관련된 것으로 당연히 국민들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 국민들에게 알리는 수단으로 각종 미디어가 활용되는데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의 형태를 공공커뮤니케이션(Public Communication)이라고 한다. 공공커뮤니케이션은 일반적으로 개인 및 사회 전반의 비영리적인 이익을 위해, 매스미디어를 포함하는 수단이나 조직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통해, 비교적 명확히 정의된 많은 수용자를 대상으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설득하거나 행위 변화를 일으키도록 동기화하기 위한 의도적 시도 등에 사용된다. 따라서 공공커뮤니케이션의 목적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수용자에게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 동기화 유발을 통해 그들의 태도나 행위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할 수 있다. 페이즐리(Paisley, 2001)는 공공커뮤니케이션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부에 의해 제안된 정책과 그로 인한 효과가 수용자들에게 잠재적 혜택을 줄 수 있어야 하고, 수용자는 그러한 잠재적 혜택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결국, 공공커뮤니케이션의 성공은 수용자 자신들이 누릴 수 있는 잠재적 혜택을 명확하게 이해할 때 태도나 행위변화를 유도하는 동기화가 상대적으로 강화된다고 하겠다.
이에 본연구는 융합미디어 정책이라 할 수 있는 IPTV와 디지털 전환에 대한 공공커뮤니케이션의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공공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새로운 컨버전스 서비스(convergence service)의 시장전략으로 방송과 통신의 컨버전스 현상에 따른 미디어 경쟁구조와 시장전략 변화에 적절한 정책 수립과 아울러 미디어 서비스 시장에서 소비자의 욕구를 올바르게 파악하여 소비자 전략에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국가정책을 알리고 정당성을 확보하며, 이용자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여 국가정책의 호응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뉴미디어 도입 시 나타난 정책적 오류를 바탕으로 새로운 개선책과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에 맞는 합리적인 규제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시장 활성화 촉진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한글키워드
통합마케팅,융합미디어 정책,개혁확산,정보기술수용,공공커뮤니케이션
영문키워드
Convergence media Policy,Technology Acceptance Model,Public Communication,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Diffusion of Innovation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정부의 모든 정책과 앞으로의 방향은 국민들과 관련된 것으로 국민들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해야 한다. 국민들에게 알리는 수단으로 각종 미디어가 활용되는데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의 형태를 공공커뮤니케이션(Public Communication)이라고 한다. 공공커뮤니케이션은 일반적 ...
정부의 모든 정책과 앞으로의 방향은 국민들과 관련된 것으로 국민들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해야 한다. 국민들에게 알리는 수단으로 각종 미디어가 활용되는데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의 형태를 공공커뮤니케이션(Public Communication)이라고 한다. 공공커뮤니케이션은 일반적으로 개인 및 사회 전반의 비영리적인 이익을 위해, 매스미디어를 포함하는 수단이나 조직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통해, 비교적 명확히 정의된 많은 수용자를 대상으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설득하거나 행위 변화를 일으키도록 동기화하기 위한 의도적 시도 등에 사용된다. 이에 본 연구는 융합미디어 정책이라 할 수 있는 IPTV와 디지털 전환에 대한 공공커뮤니케이션 연구를 기반으로 새로운 형태의 대국민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영문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n to know the way how the government communication with people. To attain this purpos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onvergence era. On the study of era media convergence to establish a public communications model. In conc ...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n to know the way how the government communication with people. To attain this purpos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onvergence era. On the study of era media convergence to establish a public communications model. In conclusion government information agency's activities have many defects when these actvities are delivered and understanded by people. Also some devices should be made which help communication between government and people. inaddition the reliability between government and the pressins low, so it is needed that cooperation between them.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정부는 현재의 모든 정책과 미래의 정책 방향성이 모두 국민들과 관련된 것으로 인지하고 국민들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즉, 시대와 환경 변화에 맞는 공공 커뮤니케이션 방벙과 수단을 통해서 새로운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이러한 차원에 ...
정부는 현재의 모든 정책과 미래의 정책 방향성이 모두 국민들과 관련된 것으로 인지하고 국민들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즉, 시대와 환경 변화에 맞는 공공 커뮤니케이션 방벙과 수단을 통해서 새로운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국가가 송신자가 되어 전달하는 메시지를 국민들에게 전달하는데, 이 과정에서 이용되는 수단으로 각종 미디어가 활용된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의 형태를 공공커뮤니케이션(Public Communication)이라고 한다. 공공커뮤니케이션은 일반적으로 개인 및 사회 전반의 비영리적인 이익을 위해, 매스미디어를 포함하는 수단이나 조직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통해, 비교적 명확히 정의된 많은 수용자를 대상으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설득하거나 행위 변화를 일으키도록 동기화하기 위한 의도적 시도 등에 사용된다. 이에 본 연구는 융합미디어 정책이라 할 수 있는 IPTV와 디지털 전환에 대한 공공커뮤니케이션 연구를 기반으로 새로운 형태의 대국민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최근 소통의 부재라는 말이 유행처럼 번지는 것 또한 국가의 주인인 국민에게 전달되는 메시지가 불명확하거나 전달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라기 보다는 효율적으로 메시지가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대국민 커뮤니케이션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는 융합미디어 정책이라 할 수 있는 IPTV와 디지털 전환에 대한 공공커뮤니케이션의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공공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에 우선 IPTV와 디지털 전환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그 후 각 매체별 메시지 전달에 대한 ...
본 연구는 융합미디어 정책이라 할 수 있는 IPTV와 디지털 전환에 대한 공공커뮤니케이션의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공공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에 우선 IPTV와 디지털 전환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그 후 각 매체별 메시지 전달에 대한 특성을 고려하여 매체 신뢰, 콘텐츠 신뢰, 국가신뢰, 국가기관 신뢰 등에 대해서 집단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새로운 컨버전스 서비스(convergence service)의 시장전략으로 방송과 통신의 컨버전스 현상에 따라 대국민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국가정책을 알리고 정당성을 확보하며, 이용자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여 국가정책의 호응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뉴미디어 도입 시 나타난 정책적 오류를 바탕으로 새로운 개선책과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에 맞는 합리적인 규제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시장 활성화 촉진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융합미디어 정책에 관한 공공커뮤니케이션 연구로 새로운 융합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국가정책의 공공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1) 학문적 차원의 기대효과
기존의 미디어 채택 연구 모델에 근거하여 제안된 본 연구는 새로운 미디어 수용 모델을 설립하고자 통합마케팅커뮤니케이션 접근을 통하여 뉴미디어 환경에 대한 학문적 기여가 기대된다. 또한 수용자, 산업 및 정책적 측면을 고려한 분석을 통해서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의 도입에 따른 시장 안정화 전략을 도출하는데 실용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통합마케팅과 개혁확산이론을 통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형태를 수립하고 특히 정부와 국민의 커뮤니케이션 소통을 위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시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2) 수용자 측면 & 이용자적 측면의 효과
기존 미디어 정책 연구에서는 수용자를 단순히 수동적 수용자로 인식하였다. 국내 미디어 서비스는 산업적 측면을 강조하여 이용주체인 이용자의 미디어 선택과 욕구 그리고 이용자 권리에 대한에 대한 논의가 매우 부족한 실정임을 감안하여 실질적인 이용자 중심의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뉴 미디어 서비스 정책 수립시 정부-산업적 측면과 이용자 측면이 고려되어 수용자의 미디어 채택에 영향을 주는 각종 변인들과 사회적 영향 등을 고려하고, 이용자들의 권리추구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포괄적 미디어 이용자에 대한 실질적인 권리 추구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3) 국가차원의 정책적 측면
수용자 분석을 기반으로 한 본 연구는 공공 커뮤니케이션 연구모델에 근거하여 각 미디어 별로 어떠한 채택 요인이 보다 중요한지 발견하여,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최근 논의되는 수용자 복지라는 큰 틀에서 이용자들의 입장에서 미디어 & 콘텐츠 이용 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 및 피해를 최소하고, 문제 발생 시 대처방안 및 해결 방안을 적극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 이용자를 위한 정책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국가의 공공커뮤니케이션은 오늘날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공공커뮤니케이션의 형성과 조건 그리고 전략과정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성공 틀을 마련함으로써 앞으로 있을 국가 정책을 국민들에게 알리는 좋은 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