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지구화시대의 거버넌스와 시민사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인문사회분야)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8-005-J01802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3 년 (2008년 12월 01일 ~ 2011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의영
연구수행기관 경희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정종필(경희대학교)
송경재(경희대학교)
조영하
이화용(경희대학교)
조희원(경희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제 2세부과제인 “지구화시대의 거버넌스와 시민사회” 는 본 중점연구소 총괄과제에서 제기하고 있는 지구화 시대에서 지구화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거버넌스 시각은 과거와 달리 지구화 시대의 집단적 문제해결에 있어서 풀뿌리 결사체로부터 초국적 연합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새로운 시민사회 행위자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전통적 시민사회와 함께 인터넷 시민인 네티즌, 대학, 사업자단체, 글로벌 다중 네트워크, 글로벌 포럼 등은 기존 정부-NGO 관계 중심의 거버넌스 연구에서 등한시되어온 새로운 시민사회 행위자들이다. 그러나 기존 거버넌스 연구는 아직도 국가와 시민사회라는 한정된 분석의 틀로 지구화시대를 해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봄 연구는 일국 및 지방 수준 중심의 거버넌스 연구의 한계를 넘어 지구화 시대에 새롭게 대두되는 거버넌스 현상으로서의 다층적 거버넌스를 총체적으로 조망하고자 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네티즌, 사업자단체, NGO 및 시민운동단체, 지구화 시대에 있어 대학의 사회적 역할, 네그리와 하트(Negri and Hardt)가 규정한 21세기 제국의 다중(multitude) 네트워크, WEF(World Economic Forum, 일명 다보스 포럼)과 WSF(World Social Forum) 및 유엔 글로벌 회의(UN Global Conference)와 같은 글로벌 포럼(Global Forum) 등 다양한 분석 대상 및 주제를 다룰 것이다. 연구는 첫째, 거버넌스에 있어 지구화 시대의 새로운 시민사회 역할과 기여를 분석한다. 둘째, 대안적 패러다임으로서 지구화 시대 거버넌스 연구의 분석 대상 및 수준의 다양성에 주안점을 두고 다차원적인 거버넌스 분석을 시도한다. 셋째, 지구화 시대 거버넌스의 실천적 함의를 중시하는 실사구시적인 연구를 시도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세부과제들은 연구소 총괄주제와 연관성을 가지는 한국 NGO의 글로벌화, 산-학-시민사회의 연계로서 대학의 사회적 책임, 한국 정치경제와 사업자단체, 한국의 상호문화주의(multi-culturalism), 한국 여성운동과 여성정책의 발전, 2008 한국 촛불집회와 네트워크 시민운동 등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거버넌스 시각의 한국적 적용 가능성을 살펴볼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시민교육,지구화시대,시민사회,중국 민족주의,사회포럼,민족주의,민주주의,사회적 책임,거버넌스,네트워크 ,지역,인터넷 민족주의,상호문화주의,국가 페미니즘,성주류화,대안적 패러다임,결사체 거버넌스,글로벌 거버넌스,글로벌 포럼,다중,사업자단체,대학,제국,세계평화,공동체,글로벌 시민의식,시민 참여
  • 영문키워드
  • global citizenship,empire,chinese nationalism,social forum,nationalism,democracy,gender mainstreaming,alternative paradigm,associative governance,global governance,global forum,multitude,global age,civil society,governance,network ,region,business cooperations,university,civic engagement,civic education,social capital,internet nationalism,multi-culturalism,state feminism,world peace,community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