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문화 텍스트의 상징 의미를 이용한 중국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9-327-A00509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1 년 (2009년 11월 01일 ~ 2010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송지현
연구수행기관 안양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인간의 상호 행위적 의사소통에 필요한 표현 수단에는 언어적 기호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기호도 있다. 의사전달의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비언어적 기호는 문화 의존적인 것으로 외국어 학습시간에 언어와 함께 필히 교수해야 할 요소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나라 중국어 교육 현장에서 비언어적 기호 습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 의사소통체계에 대한 인식 또한 부족하다. 우리가 중국인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기대한다면 앞으로 중국어 교육도 비언어적 의사소통체계까지 포함된 통합적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의사소통을 보다 효과적으로 그리고 보다 완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언어적 전언(verbal message)과 비언어적 행위(nonverbal behavior)가 일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 두 가지는 외국어 교육에서 반드시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문화권마다 비언어적 기호에 대한 의미해석이나 전달 방법이 매우 상이하므로 문화적 차이가 크면 클수록 이질문화간 사람과 의사소통 가운데 오해나 갈등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우리는 중국어를 교육하고 배우는 과정에 있어서 언어장벽 뿐 아니라 문화 장벽도 넘어야 한다. 중국어 학습과 함께 한·중 두 나라 문화 사이에 내재되어 있는 비언어적 요소의 차이에 대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금까지의 외국어 교육처럼 언어 텍스트 학습만을 강조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지 않는다면 학습자와 타 문화권의 비언어적 행동양식을 객관적으로 바라 볼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줄 수 없다.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행위와 언어적 메시지는 서로 관계를 맺으며 상호 보완작용을 한다. 중국어 학습에서도 언어 텍스트와 함께 문화를 배경으로 한 비언어적 의사전달 행위가 함께 학습되어 질 때, 학습자는 중국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으며 중국어를 이용한 의사전달 행위(communication act)를 한층 원숙하게 이끌어 낼 수 있다.
  • 기대효과
  •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다양한 인간관계를 설명하는 사회적 과정 중의 하나이다. 언어학의 경계를 넘어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연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언어적 행동들이 개인의 인지체계에서 어떻게 해석되고 의미화 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심리학의 분야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비언어적 기호를 의미화 하는 과정에서 각 문화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문화인류학의 분야가 될 수 있다. 또한 방송프로그램 속에서 비언어적 기호들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신문방송학의 분야가 될 수도 있다.
    이처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 걸쳐 있으며, 중국이 세계의 중심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이 시점에서 중국어와 중국문화에 대한 학습은 절대 소홀히 할 수 없는 부분이다. 중국의 보디랭귀지 등 중국어와 중국문화에 관련된 연구가 앞으로 우리나라의 중국어 학습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한․중 두 나라의 사회와 문화 전반적 연구에도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사회 언어학, 인지 언어학과 기호학, 문화 언어학 등 국내에서 중국어와 관련해서 연구 영역을 넓힐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인간은 한 문화 속에서 출생하여 그 문화권에서 사용되어지는 각종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기호들을 배우고, 그 기호들을 통해 다른 사람의 의미를 추정하며 또한 자신의 의사도 전달한다. 한국에 태어난 아기는 한국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언어적 기호체계와 비언어적 기호체계를 습득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하게 된다. 즉, 한 문화권이란 하나의 ‘기호 공동체’를 의미하는 것이고,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문화적 기호들을 해독하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우리가 중국어를 학습한다는 것은 중국 문화권에서 사용하는 언어적 기호체계와 비언어적 기호체계를 습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의 비언어적 기호체계에는 눈에 보이는 표면적 의미 이외에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또 다른 문화적 함의(含意)가 있다. 중국어 학습자는 표면적 의미 속에 감춰진 함의를 찾는 연상 과정을 통해 중국의 문화를 이해하고 중국어 표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중국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중국 문화가 반영된 기호나 상징의 함의를 알고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단편적으로 진행되어 왔던 시각 언어의 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켜 중국의 문화와 관련된 비언어적 상징이 어떻게 커뮤니케이션에 응용되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사이의 연결 고리의 비밀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언어적 전언,의사전달 행위,도상학(圖像學),비(非)언어적 커뮤니케이션,비언어적 행위,신체언어,기호학(記號學)
  • 영문키워드
  • nonverbal behavior,verbal message,nonverbal communication,body language(body communication),iconography,semiotics,communication act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인간은 한 문화 속에서 출생하여 그 문화권에서 사용되어지는 각종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기호들을 배우고, 그 기호들을 통해 다른 사람의 의미를 추정하며 또한 자신의 의사도 전달한다. 한국에 태어난 아기는 한국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언어적 기호체계와 비언어적 기호체계를 습득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하게 된다. 즉, 한 문화권이란 하나의 ?#44592;호 공동체?#47484; 의미하는 것이고,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문화적 기호들을 해독하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우리가 중국어를 학습한다는 것은 중국 문화권에서 사용하는 언어적 기호체계와 비언어적 기호체계를 습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의 비언어적 기호체계에는 눈에 보이는 표면적 의미 이외에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또 다른 문화적 함의(含意)가 있다. 중국어 학습자는 표면적 의미 속에 감춰진 함의를 찾는 연상 과정을 통해 중국의 문화를 이해하고 중국어 표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중국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중국 문화가 반영된 기호나 상징의 함의를 알고 있어야 한다.

  • 영문
  • Nonverbal communication is usually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through sending and receiving wordless messages. i.e., language is not the only source of communication, there are other means also. Messages can be communicated through gestures and touch (Haptic communication), by body language or posture, by facial expression and eye contact. Meaning can also be communicated through object or artifacts (such as clothing, hairstyles or architecture), symbols, and icons (or graphics). Speech contains nonverbal elements known as paralanguage, including voice quality, rate, pitch, volume, and speaking style, as well as prosodic features such as rhythm, intonation and stress. Dance is also regarded as a form of nonverbal communication. Likewise, written texts have nonverbal elements such as handwriting style, spatial arrangement of words, or the physical layout of a page.
    However, much of the study of nonverbal communication has focused on face-to-face interaction, where i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principal areas: environmental conditions where communication takes plac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ors, and behaviors of communicators during interaction.[

    A sign language (also signed language) is a language which, instead of acoustically conveyed sound patterns, uses visually transmitted sign patterns (manual communication, body language) to convey meaning?imultaneously combining hand shapes, orientation and movement of the hands, arms or body, and facial expressions to fluidly express a speaker's thoughts.

    Wherever communities of deaf people exist, sign languages develop. Their complex spatial grammars are markedly different from the grammars of spoken languages.[1][2] Hundreds of sign languages are in use around the world and are at the cores of local Deaf cultures. Some sign languages have obtained some form of legal recognition, while others have no status at al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인간의 상호 행위적 의사소통에 필요한 표현 수단에는 언어적 기호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기호도 있다. 의사전달의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비언어적 기호는 문화 의존적인 것으로 외국어 학습시간에 언어와 함께 필히 교수해야 할 요소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나라 중국어 교육 현장에서 비언어적 기호 습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 의사소통체계에 대한 인식 또한 부족하다. 우리가 중국인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기대한다면 앞으로 중국어 교육도 비언어적 의사소통체계까지 포함된 통합적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의사소통을 보다 효과적으로 그리고 보다 완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언어적 전언(verbal message)과 비언어적 행위(nonverbal behavior)가 일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 두 가지는 외국어 교육에서 반드시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문화권마다 비언어적 기호에 대한 의미해석이나 전달 방법이 매우 상이하므로 문화적 차이가 크면 클수록 이질문화간 사람과 의사소통 가운데 오해나 갈등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우리는 중국어를 교육하고 배우는 과정에 있어서 언어장벽 뿐 아니라 문화 장벽도 넘어야 한다. 중국어 학습과 함께 한·중 두 나라 문화 사이에 내재되어 있는 비언어적 요소의 차이에 대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금까지의 외국어 교육처럼 언어 텍스트 학습만을 강조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지 않는다면 학습자와 타 문화권의 비언어적 행동양식을 객관적으로 바라 볼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줄 수 없다.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행위와 언어적 메시지는 서로 관계를 맺으며 상호 보완작용을 한다. 중국어 학습에서도 언어 텍스트와 함께 문화를 배경으로 한 비언어적 의사전달 행위가 함께 학습되어 질 때, 학습자는 중국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으며 중국어를 이용한 의사전달 행위(communication act)를 한층 원숙하게 이끌어 낼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다양한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부분을 이루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에 의하면 두 사람간의 커뮤니케이션 중 약 30%만이 언어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한다. 문화배경이 다른 외국인과 대화하는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대부분 비언어적 단서에 의존한다. (최윤희 1997) 또한 대인간의 커뮤니케이션뿐만 아니라 다양한 매스 커뮤니케이션에서도 비언어적 방법들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광고의 경우 강력한 시각적 자극을 통해서 제품의 긍정적 메시지를 전달코자 한다. 결국 우리는 연속적인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과정 속에서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 걸쳐 있으며, 중국이 세계의 중심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이 시점에서 중국어와 중국문화에 대한 학습은 절대 소홀히 할 수 없는 부분이다. 중국의 보디랭귀지 등 중국어와 중국문화에 관련된 연구가 앞으로 우리나라의 중국어 학습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한․중 두 나라의 사회와 문화 전반적 연구에도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사회 언어학, 인지 언어학과 기호학, 문화 언어학 등 국내에서 중국어와 관련해서 연구 영역을 넓힐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신체언어, 도상학(圖像學), 기호학(記號學), 의사전달 행위, 언어적 전언, 비언어적 행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