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애널리스트의 기업경영 모니터링 역할에 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8-327-B00249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1 년 (2008년 11월 01일 ~ 2009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김동순
연구수행기관 중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외환위기 이후 국내기업의 경쟁력 강화의 일환으로 이사회 제도의 개혁 등 다양한 기업 내외부적인 지배구조 개선이 이루어졌다. 특히 이사회 내에서 사외이사들은 상시적으로 재무보고 과정의 신뢰성 및 그 품질을 감독하고, 경영자의 의사결정과정을 통제하고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외이사 제도를 통하여 기업은 경영 및 회계투명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렇게 될 경우 애널리스트들은 이익 내지 주가를 예측함에 있어 그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Jensen and Meckling(1976)은 애널리스트들이 주주와 경영자간의 대리인문제를 줄이면서 기업지배구조를 개선하는 데 기여한다고 주장하였다. 대리인문제를 줄이기 위해서는 투자자에 대한 애널리스트의 정확한 정보 전달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기업에 대한 애널리스트의 역할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은 지배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즉, 애널리스트가 기존의 기업 및 산업 분석 기능에 덧붙여 국내기업의 경영자 내지 소유경영자의 경영활동과 관련한 모니터링(monitoring)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최근 들어 구미 학계에서는 기업지배구조의 개선과 관련하여 애널리스트의 모니터링 역할에 관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애널리스트들은 주가를 예측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본요인으로서 기업의 미래 이익을 분석하고 추정하여 발표한다. 또한 애널리스트들은 기업의 회계이익을 추정하는 데 있어 기업의 IR, 공시, 및 기업탐방 등을 통해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높은 기업가치를 가진 기업의 경우 외부투자자에게 양호한 본질가치를 알리기 위한 노력을 기울일 것이며, 이러한 신호전달과정에서 기업은 공시 혹은 IR활동 등을 적극적으로 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과정에서 기업과 투자자간의 중간자 역할을 하는 애널리스트의 이익 및 주가 예측의 정확성에 있어서도 기업에 따라 차이가 존재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업의 본질가치가 양호하거나 경영 및 회계투명성이 높은 기업의 경우 기업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인하여 애널리스트의 이익 예측에 있어 상대적으로 오차가 적을 것이며 이는 주가 예측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보다 포괄적으로 이사회제도를 비롯한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의 경우 애널리스트의 이익 및 주가 예측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정확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국 기업들은 애널리스트들에게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투자자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전달을 기하게 되고, 애널리스트들은 기업들로부터 보다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이익과 주가 예측에 연계시키면서 공적인 역할과 사적인 이익을 얻게 된다. 그러므로 기업과 애널리스트는 사실상 윈윈게임을 하게 된다.
    또한 기업의 소유구조 역시 애널리스트의 역할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만약 대주주 지분율이 높을 경우 소액주주, 혹은 애널리스트와 같은 외부인은 기업정보에 접근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특이 기업실적이 나쁠 경우 외부에 정보공개를 꺼릴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즉 소유구조에 따라 애널리스트의 예측정확도 혹은 주가영향력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주주의 경영참여나 그룹사 혹은 가족이 운영하는 소기업의 경우 등 여러 변수들에 의하여 지배구조 및 애널리스트의 모니터링 역할에 많은 차이를 보일 것이다. 한편, 국내주식시장의 대외개방에 따라 외국인투자자의 주주행동주의 역할이 존재하는지를 분석한다. 특히 국내기업에 투자하는 외국인 지분율의 차이에 따라 국내 및 외국 증권사 소속 애널리스트의 모니터링 역할에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주식시장이 선진자본시장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업지배구조 개선과 관련한 애널리스트의 역할을 조명하는 가운데, 국내기업들도 애널리스트들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경영 및 회계정보의 투명성을 제고하는 노력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업지배구조 수준과 애널리스트의 이익 및 주가 예측력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면 기업지배구조의 수준을 토대로 투자하는 펀드들의 역할도 최근 간접투자가 확대되는 시점에서 더욱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최근 구미학계의 재무 분야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주요 이슈들 중의 하나인 기업지배구조와 관련한 애널리스트의 모니터링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애널리스트 보고서의 시장영향력 혹은 회계추정능력 측면과, 기업의 소유구조, 지배구조, 그리고 외국인투자자와 연계한 복합적인 측면도 동시에 분석한다. 본 연구는 최근 글로벌금융시장의 통합 진전, 기업지배구조의 글로벌스탠더드 수렴, 기업의 사회적인 책임 등의 환경하에서 국내주식시장 및 기업에 대해 애널리스트의 기능과 역할을 국내 학계 최초로 조명함으로써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기업지배구조의 개선이 기업가치를 제고한다는 실증적인 증거는 풍부한 데 반해, 기업지배구조의 개선이 기업가치의 제고를 가져오는 과정, 즉 기업지배구조가 개선되고 경영투명성이 제고되면서 애널리스트가 기업가치를 새로이 평가하는 과정 또는 투자자가 기업가치를 시장에서 새로이 결정하는 경로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편이다. 더욱이 기업지배구조 개선과 관련한 애널리스트의 모니터링 역할에 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가 국내 학계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은 본질가치를 투자자들에게 정확히 신호전달하기 위해 노력한다. 더 나아가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 기업은 경영 투명성을 높이고 우수한 지배구조를 선택할 유인이 존재한다. 이러한 과정에서의 애널리스트의 역할이 자본시장이 발전할수록 그 중요성이 증가한다는 측면에서 국내 증권회사의 발전, 국내기업의 지배구조 개선 등과 관련하여 본 연구가 사회적인 기여도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사회제도의 정착, 사외이사의 역할 강화 등과 같은 국내기업의 지배구조가 개선되고 있는 시점에서 과연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의 경우 애널리스트의 주가예측에 있어서 차이 유무를 분석하고, 만약 기업지배구조와 이익예측에 있어서 어떠한 관계가 존재한다면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에 대해 최소한 애널리스트들의 이익예측이 투자자들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애널리스트들의 투자의견 내지 목표주가와 기업지배구조간의 관계가 실증된다면 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에 대한 애널리스트들의 투자의견 역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즉, 기업과 투자자들 모두 애널리스트의 긍정적인 정보전달 기능에 대해 신뢰도를 높이게 되고 애널리스트는 더욱 정치한 기업 및 산업분석을 행함으로써 국내자본시장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애널리스트의 커버리지가 또한 기업경영에 대한 모니터링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경영자의 이익관리 등 불건전한 관행을 사전적으로 예방하게 된다면, 국내기업에 대한 투자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국내주식시장이 기업에 대한 양질의 자본조달의 장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국내자본시장이 선진국 자본시장으로 발전하기 위해 애널리스트의 육성이 필수적인데, 애널리스트의 이러한 순기능이 실증된다면 투자자들의 애널리스트에 대한 신뢰도를 높힘으로써 국내자본시장의 중장기적 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한편,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일본의 메이지대학 Miwa 교수와 공동으로 한국과 일본의 증권사 소속 애널리스트의 모니터링 역할을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먼저 국내기업에 대해 지금까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주제로서 애널리스트가 또 하나의 외부 모니터링 내지 지배구조 메카니즘으로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기업의 지배 및 소유구조와 관련하여 애널리스트의 커버리지, 경영자의 이익관리 등의 측면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을 수행한다. 또한 국내기업의 지배구조 및 소유구조, 특히 외국인투자와 관련하여 기업가치의 차이, 애널리스트의 이익 및 주가 예측력의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애널리스트 커버리지,외국인투자자,기업지배구조,소유구조,지배주주,이익관리
  • 영문키워드
  • earnings management,ownership structure,foreign investors,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controlling shareholders,Analyst coverag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논문은 국내주식시장에서 애널리스트의 기업경영 모니터링 역할과 관련하여 애널리스트의 이익예측치의 정확성, 또한 목표주가 및 투자의견의 변경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력을 기업지배구조 관점에서 실증분석하였다. 먼저 애널리스트의 재무회계 예측치의 정확성은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일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애널리스트의 기업경영 모니터링 역할이 강화되는 경우 기업의 지배구조 및 정보환경 개선 등으로 나타나고, 애널리스트의 예측 정확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전반적으로 기업규모가 크고, 부채비율이 낮고, 수익성이 높은 건전한 기업일수록 애널리스트의 회계 예측치 오차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널리스트가 보고서를 공표하는 경우 주가에 미치는 영향력은 기업지배구조의 우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전체 연구기간인 2004-2006년 중 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의 경우 주가는 오히려 덜 긍정적인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근 연도인 2006년의 경우에는 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이 주가가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널리스트가 목표주가를 변경한 경우에는 목표주가 상향의 경우가 하향의 경우보다 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이 주가가 더 상승하고 있었다. 애널리스트가 투자의견을 변경한 경우에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나서 투자의견 상향의 경우가 하향의 경우 보다 주가가 더 상승하고 있었다.
    결국 애널리스트의 기업분석에서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의 경우 예측의 정확성도 높았으며, 주가에 미치는 영향도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도 기업지배구조를 개선하고 경영투명성을 높임으로써, 애널리스트의 긍정적인 모니터링 역할을 통해 기업가치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영문
  • This paper analyzes the monitoring role of financial analysts in the Korean stock market. They turned out to play a positive role in relation to the monitoring of Korean firms. Their forecasting accuracy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of Korean firms, so better governed firms enable analysts to forecast their earnings more accurately possibly by providing more favorable information environment. The stock price impacts of analysts are also more pronounced for Korean firms with higher governance rankings. In conclusion, Korean firms should further improve their governance mechanism including board structures, thereby enhancing the firm value. In this regard, Korean analys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Korean firms' transparencey and corporate value by playing a monitoring rol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논문은 국내주식시장에서 애널리스트의 기업경영 모니터링 역할과 관련하여 애널리스트의 이익예측치의 정확성, 또한 목표주가 및 투자의견의 변경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력을 기업지배구조 관점에서 실증분석하였다. 먼저 애널리스트의 재무회계 예측치의 정확성은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일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애널리스트의 기업경영 모니터링 역할이 강화되는 경우 기업의 지배구조 및 정보환경 개선 등으로 나타나고, 애널리스트의 예측 정확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시사한다. 애널리스트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력은 기업지배구조의 우열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전체 연구기간인 2004-2006년 중 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의 경우 주가는 오히려 덜 긍정적인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근 연도인 2006년의 경우에는 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이 주가가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널리스트가 목표주가를 변경한 경우에는 목표주가 상향의 경우가 하향의 경우보다 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이 주가가 더 상승하고 있었다. 애널리스트가 투자의견을 변경한 경우에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나서 투자의견 상향의 경우가 하향의 경우 보다 주가가 더 상승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애널리스트의 기업분석에서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의 경우 예측의 정확성도 높았으며, 주가에 미치는 영향도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도 기업지배구조를 개선하고 경영투명성을 높임으로써, 애널리스트의 긍정적인 모니터링 역할을 통해 기업가치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한국주식시장에서 애널리스트가 보고서를 공표할 경우 그 내용으로서 재무회계 예측치의 정확성, 또한 목표주가 및 투자의견의 변경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력을 기업지배구조와 관련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애널리스트의 기업분석에서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의 경우 예측의 정확성도 높았으며, 주가에 미치는 영향도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도 기업지배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경영 및 회계의 투명성을 높임으로써, 애널리스트가 기업가치를 보다 정확하게 투자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기업가치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방향으로는 기업지배구조의 보다 구체적인 내용들, 예컨대 이사회 구조, 사외이사 독립성 등과 관련하여 애널리스트의 역할을 조명할 수 있을 것이며, 기타 신흥국가 기업들과의 비교분석도 흥미로울 것으로 판단된다.
  • 색인어
  • 애널리스트, 예측 정확성, 기업지배구조, 주가영향력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