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벤처기업 몰락의 동태적 과정: 몰락한 벤처기업의 유형, 몰락과정, 그리고 유형간 차이점들에 대한 종단적 분석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8-327-B00297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1 년 (2008년 11월 01일 ~ 2009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장수덕
연구수행기관 한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학술적으로나 실천적으로 그리고 정책적으로 향후 벤처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현시점에서 실패한 벤처기업들과 그 실패과정에 관한 동태적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 이에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들을 달성함으로서 학문적으로 그리고 실천적으로 중요한 시사점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첫째,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몰락하여 실패에 이른 벤처기업들의 유형을 몰락의 동태적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파악해 보고자 한다. 그런데 이때 벤처기업의 실패유형을 단순히 사후적으로 실패한 기업들을 군집분석을 통해 그 유형을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몰락의 과정을 중심으로 해서 구분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Miller(1990)는 그의 저서에서 기업의 몰락유형을 몰락과정을 중심으로 네 가지로 구분한 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와 마찬가지로 실패의 과정을 중심으로 해서 그 유형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둘째, 벤처기업 몰락의 동태적 과정에 있어서 유형별로 기업가, 전략, 조직구조, 환경 등에 있어서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Miller(1990)는 그의 연구에서 장인형 기업, 개척자형 기업, 영업사원형 기업, 그리고 모험형 기업 등이 전략, 핵심목표, 핵심부서, 구조, 추락궤도 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Miller(1990)는 이러한 주장을 하였는데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한 통계적 검증은 시도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듯 아직 시도된 바가 거의 없는 벤처기업 몰락과 그 과정에 대한 분석을 탐색적 수준에서 시도해 보고자 한다.
    셋째, Miller(1990)는 조직이 몰락하게 되는 과정을 활동영역(scope)과 변화(change)의 두 가지 차원에서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마찬가지로 한국 벤처기업의 실패과정을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환경변화의 두 가지 차원을 중심으로 각 영역의 기업들이 결과적으로 어떤 경로를 통해 실패에 이르게 되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연구자는 국내 기업의 몰락, 쇠퇴, 혹은 실패 등에 관한 향후 연구를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아울러 정책적으로 몰락한 기업들에 대한 동태적 분석을 통해 향후 벤처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필요한 정책적 역점을 어디에 두어야 할 것인가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국내에서 벤처기업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것은 1998년 벤처경영연구가 출간되면서부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듯 짧은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벤처기업은 기술력을 빠른 성장을 거듭했으며 적지 않은 경제적 부가가치 또한 발생시켰다. 그러나 IMF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시작된 경제적 위기는 많은 벤처기업을 파산케 했다. 하지만, 아직 벤처기업에 대한 축적된 연구성과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며 어떠한 벤처기업들이 왜 그리고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 실패에 이르게 되었지에 대한 동태적 분석들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에 대한 기대효과를 갖고 있다.
    첫째, 벤처기업의 실패나 생존과 관련하여 실패의 원인을 규명하고 생존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들에 대한 연구들은 국내에서 다소 진행되었다(이장우와 이성훈, 2004; 장수덕, 2005, 2006, 2007, 2008). 하지만, 이들 연구들은 실패한 기업들이나 생존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떠한 요인들이 보다 강한 영향력을 가지는지를 규명하는 데 초점이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어떤 벤처기업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과정을 통해 몰락하게 되는지 그 동태적 과정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iller(1990)의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몰락한 벤처기업들을 대상으로 그 유형별로 각기 어떤 과정을 통해 몰락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은 지난 10년간 벤처기업의 역사를 되짚어 보고 벤처기업 실패의 과정을 추적해 봄으로써 벤처기업의 실패율을 낮추고 생존율을 높이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학술적으로 보면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연구방법론적으로 진일보한 것으로 의의를 가지며 벤처기업의 실패나 생존, 혹은 위험관리 등에 대한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여진다. 국내에서 시도된 기존의 연구들에서 벤처기업의 실패와 관련하여 이론적 토대들이 부족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연령기반 이론, 성장단계 이론, 조직쇠퇴 이론 등을 접목시켜 벤처기업의 몰락과정을 동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범위를 확대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본 연구는 향후 벤처기업의 대(對) 환경관리, 위험관리, 내부적 경영관리 등에 대한 새로운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즉 각기 다른 상황에 있는 벤처기업들이 어떠한 내부적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위험을 줄이고 생존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벤처기업의 실무자들에게 보다 실천가능성이 높은 시사점을 던져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본 연구는 벤처기업뿐만 아니라 나아가 중소기업이나 기존 기업들에 대해서도 실패에 대한 관리에 새로운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기업실무적 차원에서 이전에 실패한 벤처기업들의 경로를 살펴봄으로써 자사의 현위치를 점검하고 몰락의 경로를 탈출하는 데 있어서 매우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섯째, 본 연구는 향후 벤처기업들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즉 벤처기업의 역사를 재점검하고 정리하며 향후 벤처기업들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들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한다. 벤처기업의 몰락과정에 있어서 정부정책이나 환경의 변화들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는 이러한 시사점 제공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한다.
  • 연구요약
  • 연구자는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고자 한다. 먼저, 이론적 연구에서는 진화론자들과 조직생태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진 연령변화에 따른 실패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예컨대, Stinchcombe, 1965; Hannan and Freeman, 1984; Levinthal and Fichman, 1984; Baum, 1989; Brüderl and Schüssler, 1990; Henderson, 1999; Barron, et al., 1994 등)을 토대로 벤처기업 실패과정과 실패요인 등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벤처기업의 실패과정을 동태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는 기업의 성장단계별 핵심과제가 무엇이며 어떤 경우에 실패할 수 있는지에 대한 분석도 필요하다. 따라서 벤처기업 성장단계에 관한 연구들도 이론적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한다(Lippit and Schmidt, 1967; Churchill and Lewis, 1983; Van De Ven et al., 1984; Kazanjian, 1988; Kazanjian and Drazin, 1990). 기존의 이러한 연구들을 토대로 벤처기업 실패에 있어서 어떤 요인들이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분석한 다음 기업쇠퇴에 관한 연구들(Miller, 1990; 이수도와 문계완, 2002; 권중생, 1997)을 살펴보고자 한다.
    실증적 연구에 있어서는 1998년 (사)한국벤처기업협회에 등록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벤처기업 실태조사한 연구의 데이터와 2000년 이들 기업들을 재조사하여 생존과 실패를 분류한 데이터 그리고 2008년 현재 실패한 기업들에 대한 추적조사를 통해 벤처기업의 실패에 대한 종단적 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기업의 실패나 실패에 관한 연구들은 대체로 사업 중에 있는 기업을 1차적으로 조사하고 1년 혹은 그 이상의 시간이 지나 실패한 기업들이 생겨났을 때 이들 기업들을 생존기업과 비교하는 사후적 연구접근방법을 많이 사용한다(Lussier, 1995). 본 연구도 마찬가지가지로 각 기업의 사업자 등록번호를 국세청 사업자 과세유형․휴폐업 조회계산 서비스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과세기업과 휴․폐업기업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벤처넷과 (사)한국벤처기업협회에 의뢰하여 벤처기업 확인 검색기를 통해 기업체의 연락처를 확보하여 전화 및 홈페이지 그리고 직접방문 등의 방법을 통해 생존과 실패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2차례에 걸쳐 종단적으로 조사된 설문지를 토대로 벤처기업의 실패유형과 과정 그리고 유형별 차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벤처기업의 몰락,몰락의 동태적 과정,벤처기업의 실패,몰락유형
  • 영문키워드
  • failure of ventures,downfalling process,failed firms' taxonomy,collapse of venture firm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실패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 실패의 원인, 과정, 실패의 유형별 차이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를 10여 년간에 걸쳐 추적조사하고 2차례에 걸친 설문조사를 통해 기업의 전략, 환경, 조직구조의 변화에 대해 종단적 자료를 확보했다. 그리고 그 변화에 따른 벤처기업의 실패 그리고 실패유형별 실패과정 및 실패원인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벤처기업의 실패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으며 그 실패의 과정에 있어서도 매우 차이가 많이 발생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실패한 벤처기업들의 경우 실패의 다양한 경로가 존재할 수 있으며 그 경로에 따라 각기 다른 실패요인들이 실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에 대해 사후적 분석을 시도하는 일반적인 연구들에 비해 벤처기업 실패의 동태적 과정을 파악하게 이해하게 한다는 점에서 분명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점에서는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 영문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failures of venture companies. The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auses and the processes of venture failures and the different paths that led to such failures. For the research, 116 firms registered with the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in 1997 were surveyed and traced in 2000. A questionnaire was sent to 105 companies that were operating at the time and 76 of them returned responses. In 2008, the 76 companies were re-traced, and it was found that 41 of them had failed while 35 survived. Through this process, a set of longitudinal data was gathered about the changes in strategies, environments, and organizational structures. Accordingly, t-test and ANOVA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different causes and processes of venture failures, as well as the taxonomy according to the changes in circumstances. Empirical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Venture companies failed due to various reasons and there were very different failing processe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various failing paths existed among failed venture companies and different factors affected company failures. Considering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is clearly advanced and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existing researches in terms of the dynamic understanding of the failures of venture compan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실패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 실패의 원인, 과정, 실패의 유형별 차이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를 10여 년간에 걸쳐 추적조사하고 2차례에 걸친 설문조사를 통해 기업의 전략, 환경, 조직구조의 변화에 대해 종단적 자료를 확보했다. 그리고 그 변화에 따른 벤처기업의 실패 그리고 실패유형별 실패과정 및 실패원인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벤처기업의 실패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으며 그 실패의 과정에 있어서도 매우 차이가 많이 발생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실패한 벤처기업들의 경우 실패의 다양한 경로가 존재할 수 있으며 그 경로에 따라 각기 다른 실패요인들이 실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에 대해 사후적 분석을 시도하는 일반적인 연구들에 비해 벤처기업 실패의 동태적 과정을 파악하게 이해하게 한다는 점에서 분명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점에서는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지금까지 벤처기업의 실패에 대해 많은 학자들이 연구를 진행해 왔다. 일부 학자들은 조직생태학적 관점에서 벤처기업의 생존과 사멸의 조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예컨대, Baum, 1989; Brüderl and Schüssler, 1990; Henderson, 1999; Barron, et al., 1994 등), 또 다른 연구자들은 조직론적인 관점에서 벤처기업의 성장과 단계별 생존에 필요한 과제들에 대해서 제시했다(Lippit and Schmidt, 1967; Churchill and Lewis, 1983; Van De Ven et al., 1984; Kazanjian, 1988; Kazanjian and Drazin, 1990). 하지만, 이들의 연구로는 벤처기업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어떻게 실패에 이르게 되는지 그 과정에 대한 이해는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쇠퇴에 대한 연구들(Miller, 1990; 이수도와 문계완, 2002; 권중생, 1997)을 분석에 활용하고자 했다.
    특히 연구자는 조직의 몰락과정을 연구한 Miller(1990)의 분석으로부터 우리나라의 벤처기업들도 다양한 몰락과 실패의 경로가 있을 것이라 보고 지난 10여 년간 2차례에 걸쳐 전략, 환경, 조직구조의 변화에 대해 조사한 벤처기업 표본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결과, 연구자는 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에 대한 사후적 연구만으로는 기업의 생존과 실패의 과정을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왜냐하면, 기존 연구들에서 벤처기업의 실패요인이라 밝혀진 것들이 생존기업과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벤처기업의 실패는 오히려 기업을 둘러싼 환경변화의 방향과 강도 그리고 그 속에서 기업의 전략적 그리고 조직구조적 대응방식의 변화와 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가장 큰 발견과 시사점 그리고 기존 연구와의 차이점은 바로 이렇게 벤처기업의 실패과정을 동태적으로 파악했다는 데 있다.
  • 색인어
  • 벤처기업 실패, 실패유형, 동태적 분석, 실패과정, 조직쇠퇴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