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디지털 영상시대의 새로운 문화 트랜드의 등장과 창작 메카니즘의 변화에 따른 창작 예술의 창작 형태와 창작과정의 변화 인식. (2)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매체의 속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 등 창작 메카니즘의 변화에 따른 창의력 교육 강화를 위한 학습방법 연구. (3) ...
(1)디지털 영상시대의 새로운 문화 트랜드의 등장과 창작 메카니즘의 변화에 따른 창작 예술의 창작 형태와 창작과정의 변화 인식. (2)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매체의 속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 등 창작 메카니즘의 변화에 따른 창의력 교육 강화를 위한 학습방법 연구. (3)창조적 사고력과 표현의 다양성을 확대시킴으로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작 매카니즘에 대한 연구. (4)창의적인 영상표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영상 기초 교육 및 학습방법의 연구. (5)창의력 기초 교육이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실습 프로젝트 개발에 대한 연구. (6)창의력 기초 교육을 위한 체계적이고 다양화된 학습방법 개발의 지속적인 연구
기대효과
(1)학문적. 사회적 기대효과: 환경의 변화에 따른 교육방법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교육현장에서 채택하고 활용함으로써 교육의 변화를 주도. 창의성이 경쟁력이 되고 있는 디지털 영상산업기반에서 환경변화에 따른 창의력 교육을 제시함으로 창의력을 갖춘 영상디자이너 ...
(1)학문적. 사회적 기대효과: 환경의 변화에 따른 교육방법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교육현장에서 채택하고 활용함으로써 교육의 변화를 주도. 창의성이 경쟁력이 되고 있는 디지털 영상산업기반에서 환경변화에 따른 창의력 교육을 제시함으로 창의력을 갖춘 영상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기초 교육 연구를 마련. 교육현장에서 즉각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결과에 대한 분석과 보완을 끊임없이 시도하는 다각적인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짐. 창작의 새로운 메카니즘을 기반으로 한 영상의 창의력 기초 교육 및 학습방법을 제시하여 영상미디어 교육의 창의력 기초교육을 강화. 본 연구를 토대로 사회 뿐 만 아니라 학문적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예술 교육 연구의 틀을 마련. (2)교육 활용에 대한 기대효과: 영상의 창의력 기초교육에 관한 학습방법을 프로젝트로 개발한 것으로 관련 학과의 영상 기초교육과정에 활용이 가능.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방법과 학습교재 개발을 연구의 최종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자나 학습자가 활용이 가능. 수행과제별 학습활동 가이드를 단계적으로 제시하여 학습목적에 따라 활용이 가능. 프로젝트에 따라 학습활동 플로우가 제시되어 관련 교과의 주차별 강의계획서로 활용이 가능. 관련학과 및 기관에서 워크샵 형식으로 활용과 적용이 가능. 단계적으로 진행되는 학습내용을 워크샵 기획서, 워크시트, 학습자료, 셈플자료, 평가자료 등 페키지화하여 학습을 체계적으로 기획, 진행, 평가, 자료화까지 수행하는데 활용이 가능.
연구요약
(1) 영상 표현을 위한 발상단계의 기초 연구: 창조적 사고 과정-관찰과 경험을 위한 대상과 범위에 대한 연구, 대상과 범위에 따른 학습활동 연구(창조적 사고의 원리, 테크닉, 장치에 기초하여), 학습활동에 대한 활동가이드 연구, 관찰방법 제시를 위한 연구 창조적 시 ...
(1) 영상 표현을 위한 발상단계의 기초 연구: 창조적 사고 과정-관찰과 경험을 위한 대상과 범위에 대한 연구, 대상과 범위에 따른 학습활동 연구(창조적 사고의 원리, 테크닉, 장치에 기초하여), 학습활동에 대한 활동가이드 연구, 관찰방법 제시를 위한 연구 창조적 시각발상 과정-언어적 사고와 표현법 연구, 시각적 사고와 표현법 연구, 발상법에 따른 학습활동 연구, 학습활동에 따른 활동 가이드 연구 (2)영상 표현을 위한 제작단계의 기초 연구: 영상 표현과정-영상에서의 시각적, 내러티브적 요소와 표현법연구, 표현법에 따른 학습활동 연구, 학습활동에 따른 활동 가이드 연구 (3)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소단위 수행과제 개발, 수행과제별 학습활동 플로우 제시 주차별 학습과정으로 제시 (4)프로젝트의 학습 현장 적용사례연구: 학습 단계별 사례 연구대상 기초 분석을 통한 적용사례 연구적용과정과 결과에 따른 사례 연구 분석 사례결과 데이터베이스화 프로젝트에 따라 교육/학습과정으로 개발 (5)학습교재로 개발, 교육에 활용: 단계별 교육과정의 학습계획서 개발: 전공별, 학년별로 구분 워크샵과 워크시트 개발: 단계별, 발상법별, 테마별, 활용법별 교육/학습 로드맵 개발: 단계적 훈련과 적용법 프로젝트별 교육/학습툴 패키지 개발: 워크샵, 워크시트, 자료
한글키워드
학습설계,창조적 사고과정,시각발상과정,경험,탐구,언어적 시각적 사고,연구,관찰,창의적인 영상 표현과정,언어발상과정
영문키워드
lingusitic thining process,creative thinking process,learning design,inquiry,creative moving-image making process,observation,experience,exploration,inguistic and visual thinking,visual thinking proces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의 목적은 영상 전공 분야에서 영상 제작 기술 교육에 앞서 창의적인 영상 표현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방법을 연구하는 데 있다. 시각 발상법을 활용한 창의적인 영상 표현과 학습방법은 자신의 관점과 직관을 창의적으로 시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상 전공 분야에서 영상 제작 기술 교육에 앞서 창의적인 영상 표현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방법을 연구하는 데 있다. 시각 발상법을 활용한 창의적인 영상 표현과 학습방법은 자신의 관점과 직관을 창의적으로 시각화시키는 훈련을 통해 다양한 솔루션의 영상물로 표현하는 능력을 훈련하는 학습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학습원리는 언어적 사고와 시각적 사고를 통한 시각 발상법의 기본적인 원리와 접근방식을 영상제작의 발상단계에 접목시킨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창의적인 영상표현을 위한 학습방법을 교육에 활용하기 위해 프로젝트를 교과 프로젝트로 개발하였다. 프로젝트에 관한 사례연구에서 영상전공 학생들이 한 학기동안 단계별로 수행한 학습내용과 결과를 중심으로 학습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학습과정에는 단계별 수행과제가 제시된다. 그리고 각각의 학습활동을 통해 창조적 사고과정, 시각 발상과정, 영상 표현과정을 단계적으로 경험하고 학습하도록 설계되었다.
영문
This paper is aimed to stress the necessities of the creative moving image making in class, which should be taught prior to the technique-based education of the film and video production.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the creative moving image making ...
This paper is aimed to stress the necessities of the creative moving image making in class, which should be taught prior to the technique-based education of the film and video production.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the creative moving image making based on visual thinking mainly deals with a learning process of expressing various solutions in moving images by creativity-visualizing training of the intuitive points of view on surrounding environments. The principal learning method relates the basic theory of the visual thinking with linguistic and visual concepts to the thinking process of the film and video production. This paper is mainly concerned with designing the project for class activity. Various case studies for the project are performed with senior students, in a film and video major, for a whole semester and utilized to account for the learning process and its effects. The learning process basically suggests three gradual tasks performed step by step.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디자인교육에서 창의력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환경과 매체의 변화에 따른 창의력 교육과정 및 학습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기존의 발상법의 제한된 사고의 범위와 접근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접근방식과 전개방식에 기초하여 창조적인 사고를 개발하고 확장시키는 것 ...
디자인교육에서 창의력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환경과 매체의 변화에 따른 창의력 교육과정 및 학습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기존의 발상법의 제한된 사고의 범위와 접근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접근방식과 전개방식에 기초하여 창조적인 사고를 개발하고 확장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창조적 사고는 영상미디어의 창작의 기초가 되며 영상의 창의력 기초교육방법으로 활용된다. 또한 정체된 학습방법에서 탈피한 새로운 시도를 위해 다양한 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학습방법을 연구함으로써 환경변화에 따른 교육방법을 교육현장에 채택,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상 기초 교육에서의 창의력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및 학습방법 연구의 일환으로 언어적 사고와 시각적 사고에 의한 발상과 표현법의 기본적인 원리와 접근방식을 창의적인 영상 표현을 위한 발상단계에 접목시켜 영상의 창의력 교육 및 학습방법으로 개발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영상 제작 기술 교육에 앞서 영상의 창의력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기존의 제작 위주의 교육과정보다는 창의력 강화를 위한 기초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디지털 영상시대의 경쟁력 있는 아티스트를 육성할 수 있는 교육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토대로 창의적인 영상표현과 발상을 훈련할 수 있는 다양한 실습 프로젝트를 개발하여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 및 학습방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연구결과> -영상에서의 시각적, 내러티브적 요소와 표현법연구 -표현법에 따른 학습활동 연구 -학습활동에 따른 활동 가이드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소단위 수행과제 개발 -수행과제별 학습활동 플로우 제시 -주차별 학습과정으로 제시 -학습 단계별 사 ...
<연구결과> -영상에서의 시각적, 내러티브적 요소와 표현법연구 -표현법에 따른 학습활동 연구 -학습활동에 따른 활동 가이드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소단위 수행과제 개발 -수행과제별 학습활동 플로우 제시 -주차별 학습과정으로 제시 -학습 단계별 사례 연구대상 기초 분석을 통한 적용사례 연구 -적용과정과 결과에 따른 사례 분석 <활영방안> -사례결과 데이터베이스화/교육/학습과정으로 개발에 활용 -학습교재로 개발, 교육에 활용> 단계별 교육과정의 학습계획서 개발: 전공별, 학년별로 구분 워크숍과 워크시트 개발: 단계별, 발상법별, 테마별, 활용법별 교육/학습 로드맵 개발: 단계적 훈련과 적용 프로젝트별 교육/학습툴 패키지 개발: 워크숍, 워크시트, 자료
색인어
영상 기초 교육, 창의적인 영상표현과 발상, 언어적 사고와 시각적 사고, 기초 교육과정, 교육 및 학습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