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지구화 시대의 대안적 민주주의와 시민사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인문사회분야)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8-005-J01803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3 년 (2008년 12월 01일 ~ 2011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임성호
연구수행기관 경희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정유(경희대학교)
정희라(이화여자대학교)
윤성이(경희대학교)
이동수(경희대학교)
이전 참여 공동연구원 현황 김희강(경희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지구화는 양날을 가진 칼로서 민주주의에 긍정적 효과를 초래하지만 동시에 여러 측면에서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특히, 지구화는 국가경계의 침투가능성, 모호성, 복잡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기존 자유주의적 민주주의의 핵심 원리인 ‘주권재민’과 ‘사회이익의 중간적 조정’을 실천하기 힘들게 한다는 문제를 수반한다. 제3세부과제인 “지구화 시대의 대안적 민주주의와 시민사회”는 지구화 시대에 커지고 있는 자유주의적 민주주의의 한계를 극복 혹은 보완할 수 있는 대안적 민주주의 모델을 탐색하고 그 성격과 모습을 찾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 연구요약
  • 제3세부과제는 기존 민주주의 패러다임의 한계를 뛰어넘어 지구화와 조응하는 민주주의의 모습으로 토의 민주주의, 참여 민주주의, 디지털 민주주의, 민족주의적 민주주의, 시장 친화적 민주주의, 초국적 민주주의 등을 연구한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첫째, 글로벌한 관점에 서서 지구화의 과정 및 심화에 주목하며 자유주의적 민주주의 모델의 한계와 지구화에 조응할 수 있는 대안적 민주주의 모델을 모색한다. 둘째, 이론적인 수준에서 뿐만 아니라 실천적으로도 적용되고 분석될 수 있는 대안적 모델을 탐구한다. 셋째, 지구화 시대에 부합하는 다양한 모습의 대안적 민주주의 모델에 주목하면서, 동시에 이러한 다양성에서 보이는 공통의 특성으로서 민주주의의 제(諸)측면과 시민사회의 밀접한 관계를 강조한다.
  • 한글키워드
  • 뉴미디어,경계이론,시민사회,자유주의,다문화주의,대의과정,국가경계,초국적 민주주의,디지털 민주주의,토의 민주주의,대안적 민주주의,지구화,탈식민주의 ,의회정치,정당정치,민족주의,포스트모던 민주주의,이념,공론장
  • 영문키워드
  • post-colonialism ,party politics,boundary theory,deliberative democracy,alternative democracy,globalization,multiculturalism,post-modern democracy,liberalism,ideology,civil society,public sphere,digital democracy,representative process,new media,nationalism,transnational democracy,legislative politics,national boundary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