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 개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9-32A-B00187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1 년 (2009년 07월 01일 ~ 2010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지성애
연구수행기관 중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유구종(강릉원주대학교)
박찬옥(중앙대학교)
조형숙(중앙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자기주도적 체험중심의 교육·문화(edu-culture)의 새로운 접근을 유아 미술에 접목하고 우리나라 유아들에게 적합한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 개발할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은 핵심적 내용 요소가 미술이 되도록 강조하고 유아들에게 자기표현과 자기발견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 주면서도 다양한 지식의 습득과 체험이라는 두 목적을 모두 실천할 수 있는 총체적 프로그램을 개발함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을 통하여 유치원교육과정을 기초로 교육·문화의 통합적 접근을 구축하고 우리나라 유아에게 적합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의 기본 방향은 전인교육을 목적으로 창의적이고 체험적이며 자기 주도적인 통합 교과를 지향하는 다양한 교수-학습활동을 통해 총체적으로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여 자신의 생활과 삶을 관조 할 수 있는 문화적 소양을 효과적으로 배양할 수 있도록 유치원교육과정을 기초로 통합된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표아래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유아와 교육현장에 적합한 미술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제공되고 있는 다양한 미술교육 유형과 방법 그리고 미술교육에 대한 교사 요구와 자아효능감을 체계적으로 조사 분석한다. 또한 2007년 개정 유치원교육과정과 이에 따라 개발된 유치원 지도서의 내용 및 활동 요소들을 표현과 응용, 체험, 통합 관점에서 분석 정리한다. 둘째, 우리나라 유아의 미술특성과 적성 그리고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유아 미술성향 검사’ 도구를 개발한다. 셋째, 교육·문화 접근의 새로운 시도를 유아 미술교육에 접목하고, 국내외 유아교육현장에서 제공하고 있는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과 접근법을 비교 분석하여 핵심 요소들을 추출하고 이를 근거로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넷째, 개발된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는 실험연구를 통해 유아교육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한다. 다섯째, 교육적 효과가 검증된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을 온라인상에서 유아교사교육 네트워크시스템으로 구축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 결과에 대한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이 고려해 볼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될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은 향후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의 준거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둘째, 본 연구는 유아들의 흥미와 발달단계에 부합된 미술 교수-학습방법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서 미술을 통해 개인적 특성을 기초로 잠재력 개발과 표상능력을 동시에 극대화시키는 개별교육 관련 연구에도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셋째,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은 추후 유아 미술교육 교수-학습방법과 내용을 위한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함으로서 미술교육의 교수-학습에 대한 체계적인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넷째, 유아교육의 이론적인 구호로서 ‘총체적접근’은 존재하여 왔으나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한 실제로서의 ‘총체적 미술교육’ 실체는 모호하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제기되어온 통합 원리에 기초한 총체적 미술교육 접근의 적용 가능한 실제를 제시할 것이다. 이는 본 연구가 유아교육의 총체적 접근에 관한 실제적인 새로운 패러다임과 학문적 모델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유아 미술성향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서 유아 미술관련 연구를 활성화시킬 뿐 아니라, 유아 미술 성향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 구축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여섯째, 본 연구의 결과는 미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키는데도 기여할 것이다. 지적능력 발달에만 관심을 갖고 있고 미술이나 미술성향에 대해서는 한정적이고 제한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한국사회에 유치원교육과정을 기초로 교육․문화를 접목시킨 미술교육을 통해 미술성향, 언어능력, 공간지능 나아가 사회성 발달까지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므로 유아 미술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유아교육 및 미술교육 전공자들 뿐 아니라 학부모를 포함한 일반인들도 갖도록 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일곱째, 본 연구 결과 구축된 온라인 시스템은 유아교육과정과 미술의 통합에 기여할 것이며 유아 미술 교육 정보화와 교육과정 개선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 개발을 목표로 하는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유아 미술교육 현황, 실태에 관한 조사와 유치원교육과정 및 유치원 지도서 분석 연구(연구1)와 유아 미술성향 검사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연구2),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연구3),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의 교육현장 적용 타당성에 관한 실험 연구(연구4), 그리고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유아교사 대상 온라인 네트워크시스템 구축 연구(연구 5)의 다섯 부분으로 구분지어 수행할 것이다. 미술교육 현황과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는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를 기초로 유아 미술교육 현황 및 조사 범주를 마련한 후,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후 설문지를 구성하여, 전국의 유아교육기관 300곳을 선정하고 재직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현장에서 제공되고 있는 미술교육 현황 및 실태 그리고 미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요구와 자아효능감을 조사 분석할 것이다. 더불어 유치원교육과정과 유치원 지도서와 연계된 미술관련 내용 및 활동 요소들을 중심으로 표현과 응용, 체험, 통합 관점에서 분석할 것이다. ‘유아 미술성향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연구는 미술적 성향 관련 문헌 연구와 타학문에 대한 유아의 성향을 파악하는 검사 도구를 토대로 유아 미술 성향의 측정 범주와 하위영역을 구성하고 문항을 개발하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거친 후, ‘유아 미술성향 검사’ 도구 시안을 개발한 후, 1000명의 유아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미술성향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할 것이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요인분석 등을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구하여 최종 ‘유아 미술성향 검사’ 도구를 개발할 것이다.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에서는 [연구 1]의 분석결과와 미술교육 관련 문헌 고찰 및 선행 연구 분석 그리고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여 유아 미술교육 접근법의 핵심 요소를 추출하고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전개절차, 교수-학습방법, 평가 체제의 틀을 구성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이다. 또한 개발한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의 교육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 실험 연구[연구4]에서는 실험집단을 4집단으로 구성한 후(DBAE, 지각연상, 주제표상,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 이들 프로그램들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미술성향, 언어능력, 공간지능 그리고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할 것이다. 교육적 효과가 검증된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의 온라인 시스템 구축 연구에서는 교수방법과 교육내용 등, 실제에 적용 할 수 있는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구성과 운영에 관한 구체적인 지침 및 정보를 중심으로 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아의 미술성향을 검사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제공할 뿐 아니라, 유아교육현장 유아에게 적합한 미술교육프로그램 제공과 아울러 효율적인 미술교육 운영 및 지도 지침의 실천적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 한글키워드
  •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 네트워크 시스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 네트워크 시스템 미술성향,학문에 기초한 미술교육,시지각 연상 미술 주제표상,미술중심 교육과정,시지각,통합적 미술교육 프로그램,미술표현능력,유아미술교육,미술교수효능감,균형적 미술교육,그리기표상능력,언어능력,공간능력 사회성
  • 영문키워드
  • balanced,social behavior,thematic representation,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art of visual perceptual association,visual perception,art-based curriculum,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DBAE: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spacial-ability,language competence,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art disposition of mind,the wholistic ar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network system,art teaching efficacy,art expressive abilit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6개 부분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1) 우리나라 유아 미술교육의 현황과 실태 분석, 2) 미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자아효능감 조사 분석, 3) ‘유아 미술성향 검사 도구 개발, 4)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인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5)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인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유아 교육현장 적용 타당성 검증, 6)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온라인상 네트워트시스템으로 구축.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연구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교육의 현황과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한 연구 대상은 공·사립 유치원 교사 588명이었다. 먼저 유아 미술교육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한 후, 이를 기초로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유치원 교사가 근무하고 있는 기관유형과 지역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χ2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미술 교육활동과 교수방법 현황 및 실태 측면 모두에서 교사가 근무하고 있는 기관유형과 지역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미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자아효능감 분석 연구 대상은 공·사립 유치원 교사 555명 있었으며, 미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교수 효능감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근거로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를 통해 유치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적인 유치원교사의 미술 교수 효능감은 ‘보통’정도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연령, 학력, 전공, 그리고 근무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유아 미술성향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개발한 도구의 타당화 작업을 위해, 191명의 유치원교사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상관계수와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 타당도를 구하였으며, ‘교사용 유아 미술 성향 검사 I'과의 상관관계를 구하여 공인타당도도 검증하였다. 또한 Cronbach a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 미술성향 검사도구’는 유아의 미술 성향을 검사하는데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도구를 판명되었다. 넷째, ‘유치원교육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유치원교육과정 내용 분석 결과와 유아 미술교육 현황 및 실태 분석결과, 유아교사의 미술 교수 효능감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개발하였다.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교사의 역할 및 평가로 구성되었으며, 건강, 사회, 표현, 언어, 탐구로 프로그램의 내용 영역을 구분하고 미술과 통합하여 총 100개의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다섯째,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유아교육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한 실험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유아의 언어능력, 공간지각력, 그리고 그리기표상능력 증진에 유의미하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적용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효과를 검증한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유아 미술교육 정보화 및 교육현장 활용화를 목적으로 온 라인 상에서 유아교사 교육 네트워크시스템으로 구축하였다. 네트워크 주소는 다음과 같다: www.youngchildart.kr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Wholistic Ar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o perform the study, it was divided by the following six contents; 1)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and practice of visual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Korea, 2) research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self-efficacy on visual art education, 3) development on 'visual art disposition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4) development on 'the wholistic ar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5) validity testing to apply the developed program in the field , and 6) online network system build-up for the developed program.

    The summarie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and practice of visual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588 private and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Chi-square and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ypes of kindergarten as well as region where teachers worked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urrent state and practice of visual art education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variations.
    Second, to analyze kindergarten teachers' self-efficacy on visual art education, the assessment was developed and used in the collection of data. The subjects were 555 private and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OVA with Scheffe post hoc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eachers' backgrounds. The results suggest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self-efficiency on visual art education were 'normal'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eachers' ages, academic degrees, majors, and regions where teachers worked for.
    Third, to develope 'visual art disposition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test, data were collected, The subjects were 191 private and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Corelation coefficient and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assessment. Correlation with 'The Visual Disposition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was presented to verify the validity. Cronbach a was also performed to verify the reliability. The results of this suggested that 'Visual Art Disposition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has high validity as well as reliability.
    Fourth, 'Wholistic Ar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was developed. This program was reflected on the analysis of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he result of the current state and practice of visual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result of kindergarten teachers' self-efficacy on visual art education. It consists of educational goal,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eacher's role and evaluation. It also divided by 5 areas such as health, social, expression, language and exploration inquiry areas including integrated 100 activities.
    Fifth, validity testing to apply the developed program in the field was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effective for children to improve their language ability, space perceptual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It also has high validit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ixth, online network system was built to share visual art education in the information society and utilize it well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website address is www.youngchildart.k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먼저 우리나라 유치원에서 시행되고 있는 유아 미술교육에 관한 현황과 실태를 588명의 유치원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유치원 교육현장에서 미술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555명의 유치원교사들을 대상으로 미술 교수 효능감도 조사 분석하였다. 이어서 유아들의 미술 선호성, 표현 및 감상 능력 그리고 미술에 대한 욕구와 미술매체를 다루는 능력 등 미술성향을 측정할 수 있는 ‘유아 미술성향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191명의 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검사도구의 타당성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유아 미술교육 현황과 실태 분석, 유치원 교사의 미술 교수 효능감 분석 그리고 유아 미술성향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를 반영하고 동시에 2007년 개정 유치원교육과정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이들을 근거로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한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실험대상 유치원을 선정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배정한 다음, 실험 처치하여 교육현장 적용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적 효과를 실험 연구를 통해 입증한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온라인상에서 유아교사 교육 네트워크시스템으로 구축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 및 활용 방안을 연구별로 구분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가 근무하는 기관 유형과 지역에 따라 미술교육의 현황과 운영 실태를 분석한 결과, 미술 교육활동과 교수방법은 유치원 교사가 근무하는 기관유형과 지역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하였다. 교육현장에서 미술교육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공립과 사립 유치원에 따라 또한 소재한 지역에 따른 현황과 실태를 고려해서 운영해야 함을 본 결과는 시사한다 하겠다. 둘째, 미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자아효능감 분석 결과, 전체적인 유치원교사의 미술 교수 효능감은 ‘보통’정도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연령, 학력, 전공, 그리고 근무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하였을 뿐 아니라, 유아 미술교육에 대한 연수교육 프로그램 구축에도 본 연구결과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미술성향을 검사하기 위한 ‘유아 미술성향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상관계수와 요인분석 그리고 Cronbach a를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 미술성향 검사도구’는 유아의 미술 성향을 검사하는데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도구를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 미술성향 검사’ 도구는 유아의 미술적 능력과 성향을 판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유치원교육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유치원교육과정 내용 분석 결과와 유아 미술교육 현황 및 실태 분석결과, 유아교사의 미술 교수 효능감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개발하였다.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교상의 역할 및 평가로 구성되었으며, 건강, 사회, 표현, 언어, 탐구로 프로그램의 내용 영역을 구분하고 미술과 통합하여 총 100개의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언어능력, 공간지각력, 그리고 그리기표상능력 증진에 유의미하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적용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본 프로그램을 적용할 것을 기대한다. 여섯째, 효과를 검증한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유아 미술교육 정보화 및 교육현장 활용화를 목적으로 온 라인 상에서 유아교사 교육 네트워크시스템으로 구축하였다. 네트워크 주소는 www.youngchildart.kr 이다.
  • 색인어
  • 유아 미술교육, 미술교육 현황, 미술교육 실태, 미술 교육활동, 미술 교수방법, 미술자료, 유아 미술성향 검사도구, 미술 이해, 미술 감상, 미술적 태도, 미술적 능력, 미술 표현능력, 미술 교수 효능감, 미술평가, 타당도, 신뢰도, 요인분석, 유치원 교사, 유치원교육과정,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 언어능력, 유아 공간지각력, 유아 그리기표상능력, 유아 교사교육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