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우리말 고어대사전> 및 <한중 고전소설 인명.지명 대사전> 편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인문사회분야)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8-005-J01901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3 년 (2008년 12월 01일 ~ 2011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박재연
연구수행기관 선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장윤희(인하대학교)
송하준(고려대학교)
정재영(한국기술교육대학교)
장경남
이재홍(선문대학교)
양승민(선문대학교)
유경민(한국기술교육대학교)
김효민(고려대학교)
이현희(서울대학교)
김영(선문대학교)
황선엽(성신여자대학교)
이전 참여 공동연구원 현황 김동국(고려대학교)
노순점(선문대학교)
김규선(한국외국어대학교)
김정녀(단국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소는 2단계 연구기간 3년 동안 「한중 어문학 관련 기초자료 활용을 통한 사전 편찬 연구」라는 총괄주제 하에 <우리말 고어대사전>과 <한중고전소설 인명․지명 대사전>이라는 2종의 대사전 편찬 연구를 계속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소의 이번 중점연구소 지원과제 수행의 최종 목표가 이 2종의 대사전을 편찬 간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소는 당초 제1단계 연구 개시 때부터 「한중 어문학 관련 기초자료 활용을 통한 사전편찬 연구」를 총 3단계 9년간의 중장기 총괄주제로 설정한 바 있다. 이에 제1단계 당시부터 위 2종의 사전 편찬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해 왔다.
    본 연구소는 그동안 국내외 각처 소장 한글필사본 번역소설과 희곡 번역본을 중심으로 방대한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를 다년간 구축해 왔다. 풍부한 한글고어 자료 확보를 위해 중국 통속소설이나 역사서들의 국문 번역 및 각종 언해류 문헌, 그리고 국내 창작소설 및 역사서들에 대해 필사본 원전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작업을 꾸준히 진행해 왔다. 그 결과 시기별, 장르별 한글고어 자료 및 그 용례들을 풍부하게 축적하였으며 그 결과물을 수시로 학계에 보고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에는 그동안 자료적 실태조사 정도만 이루어진 조선시대 번역소설, 번역 역사서, 국내 창작소설, 한글 편지, 한글 고문서 등이 산적해 있다. 이에 본 연구소는 금번 제2단계 연구사업을 통해서도, 그동안 미처 정리하지 못한 이들 한글필사본 자료들을 추가로 전산화하고 주석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한글고어 추출을 위한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를 더욱 확충하고자 한다. 이같은 일련의 기초자료 정리와 함께 <우리말 고어대사전>과 <한중고전소설 인명․지명 대사전> 편찬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우리말 고어대사전> 편찬의 최종 목표는 한글이 창제된 이후부터 20세기 초까지 각종 한글 문헌에 나타나는 낱말과 문법적 요소를 통합하는 형태의 사전이다. 기존의 고어사전들은 엄밀한 의미에서 통시적 사전이 아니면서도 시대를 구분하지 않고 현대어 이전의 한국어 어휘를 함께 수록하였고 고어 가운데 사어(死語)를 위주로 등재하고 잔존어(殘存語)는 매우 적게 표제항으로 다루었으며 한자로 표기되는 어휘를 표제항으로 등재시키지 않았다는 공통성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소는, 첫째 고유어 외에 차용어와 한자어까지 다 포괄적으로 등재된 사전, 둘째 풍부한 예문들을 보여줄 수 있는 사전을 목표로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한중고전소설 인명․지명 대사전>은 인명표제어와 지명표제어를 중심으로 소설의 핵심 제요와 다양한 내용적 정보를 광범위하게 보여줄 수 있는 형태의 사전이다. 본 연구소는 한중고전소설 주요작품 전체를 직접 섭렵하는 가운데 <한중고전소설 인명․지명 대사전>을 편찬하고자 한다. 이 사전편찬 연구는 특별히 고전소설 작품 원문을 입력하는 등의 기초자료 구축 과정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1단계 1차년도부터 곧바로 대상작품을 직접 읽어가며 원고를 집필해 왔다.
  • 연구요약
  • <우리말 고어대사전> 편찬팀은 제2단계(3년) 동안 <필사본 고어대사전> 편찬을 위한 필사본 자료 추가 정리 및 고어추출과 <우리말 고어대사전> 편찬을 위한 표제어 용례 추출이라는 두 방향에서 진행될 것이다.
    1차년도 : 다양한 용례와 표제어 추출을 위해 추가로 필사본 원전자료를 정리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자료(국내 창작소설 13종)를 토대로 고유어와 한자어를 추출하며, <필사본 고어대사전> 출간을 위한 2차 교열 및 편집 작업이 이루어질 것이다.
    2차년도: 최종 3차 교열 및 편집을 거쳐 중간결과물인 <필사본 고어대사전>을 간행하고, 아울러 15세기~20세기 초까지 고어의 변천과 총체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우리말 고어대사전> 편찬을 위해서 표제어와 용례를 추출하는 본격적인 작업에 들어간다.
    3차년도: 2차년도에 이어 표제어 용례를 추출하는 작업이 지속될 것이다. 그 방법은 <중조대사전>를 활용하는 것과 구축된 말뭉치자료들을 어휘검색기로 활용하는 두 가지를 병행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소 자체적으로 한글자료를 발굴하고 정리하는 연구도 계속될 것이다.
    1차년도 연구는 크게 3가지 방면에서 진행될 것이다. 첫째, 다양한 문헌과 용례를 수록하기 위해 미처 활용하지 못했던 필사본 원전자료를 정리하여 고어를 추출하는 것으로, 기행문류(연행록과 사행록) 6종과 역사서 1종, 역술서 2종이 이에 해당된다. 둘째, 1단계 3차년도와 동일하게 기존의 데이터베이스화된 자료를 토대로 고어를 추출한다. 이 작업은 장서각 소장 국학자료 전산화작업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한글창작소설 12종과 규장각소장 1종을 대상으로 어휘검색기를 적극 활용하여 고유어와 한자어 용례를 추출하고자 한다. 셋째, <필사본 고어대사전> 출간을 위한 2차 교열 및 편집 작업을 한다. 2차년도에는 <필사본 고어대사전> 출판과 필사본 자료에서 목판본․활자본 등으로 문헌의 범위를 확대하여 <우리말 고어대사전> 에 등재할 표제어를 선정하고 용례를 추출하는 작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3차년도에는 2차년도에 이어서 판본자료를 중심으로 표제어와 용례를 추출하게 될 것이며 <중조대사전>을 활용하는 것과 구축된 선행 DB자료를 활용하는 두 가지 방향에서 진행될 것이다.
    다음, <한중고전소설 인명․지명 대사전> 사전편찬 연구는 2단계 3년 동안 한국 중편소설 180종, 중국 중장편소설 75종을 소화하고자 한다. 한국소설은 기본적으로 국문소설이 주류를 차지하며, 중국소설은 백화소설이 주 작업 대상이다. 개별 작품 분량으로 볼 때, 한국의 중편소설은 평균 1-3책 정도의 것들이 주류를 이루며, 중국 중장편소설은 대략 10만자-30만자 정도의 길이를 보인다. 이상과 같은 목표를 설정, 2단계 3년간의 연구를 수행할 경우 결과적으로 약 4,000-5,000쪽(A4 용지 기본편집 기준) 가량의 원고를 집필, 수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한글키워드
  • 조선시대,한글 고어,필사본,판본,국문소설,지명,한자어,명대,목판본,청대,통시적,말뭉치,데이터베이스 구축,근대국어,중세국어,활자본,차용어,인명,중국소설,고어사전
  • 영문키워드
  • the middle age korean,the morden age korean,database,corpus,collection,a printed book,a word witten in chinese characters,Translated novel,block book,Qing Dynasty,Ming Dynasty,Manuscript,Cho-sun Dynasty,diachronic,Korean linguistics,a loan word,Korean novel,archaic word,dictionary,a persons name,the name of a place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