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중 대학생의 여가동아리 활동 참여에 따른 삶의 만족의 구조모형분석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학술연구교수(인문사회)
연구과제번호 2009-353-G00023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3 년 (2009년 07월 01일 ~ 2012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송희
연구수행기관 호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생과 중국 대학생들의 대학교 생활과 관련된 여가동아리 활동을 통한 삶의 만족에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검정한 후 각 변수들의 삶의 만족에 대한 직, 간접적인 영향력을 밝혀 삶의 만족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최적의 모형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 기대효과
  • 우리의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주역인 대학생들이 경제위기라는 현시점에서 대학생들이 취업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진로자기 효능감을 높이고 동시에 높은 자아존종감과 함께 삶의 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활발하고 적극적인 동아리 활동을 위한 대학의 지원과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여가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로서 기대효고가 크다고 본다. 또한 연구의 결과로 한, 중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의 최적 모형을 제시하여 비교연구의 충분한 자료가 될 것이라 예상한다.
    여가를 전공하는 학부나 대학원에서도 교육적으로 활용될 것이며, 지금까지 이루어지지 않앗던 여가활동과 관련된 비교연구를 실행하는 후속연구의 선행자료 로서 그 가치성이 충분하다고 본다.특히 초,중,고등학교의 여가연구 자료로도 활용 가치가 크다고 본다. 국제화 시대에 맞추어 중국의 여가문화에 대해서도 간접적으로 많은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세계화와 개방화 시대에 따라 인종적,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는 한 방편으로서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여가동아리 활동 참여에 따른 삶의 만족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독립 변수에는 학교만족, 여가만족이 있으며 매개변수로는 진로자기 효능감, 자아존중감 등이며 최종변수에는 삶의 만족 변인이다. 이론적 기틀과 선행연구의 고찰과 전문가의 의견을 통하여 설문문항을 제작할 것이며, 이에 대한 가설과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게 될것이다.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여가동아리 활동을 통한 삶의 만족의 설문 문항을 이용하여 중국과 한국에서 현장 조사를 실시할 것이다. 표본 추출법은 난수표를 이용한 다단계 추출법을 사용할 것이며 1단계는 중국 J시의 대학을 명부로 작성한 후 난수표를 이용하여 몇 개의 대학을 추출하여 일차 표본 단위를 추출 할 것이며 그 다음 단계로는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를 편의표집방법(convenience sampling)을 활용하여 조사대상자를 추출할 것이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14.0 for windows 와 AMOS(Analysis Moment of Struture) 4.0을 이용하여 분석될 것이다.
    첫째, 측정도구에 대한 예비조사의 구인타당도(construct validity)를 위해 확증적 인자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내적 일관성 신뢰도 검증을 Crombach' α를 측정할 것이다.
    둘째, 측정 변수들의 자료가 정규분포의 기본가정을 충족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 첨도(kurtosis), 왜도(skewness), W(schpiro-wilk test) 통계량 등을 구하여 분석할 것이다.
    셋째, 제안된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검증 및 가설 검증을 위하여 구조모형 분석(analysis of covariance struture)을 적용할 것이다.
    넷째, 최종 수정모형을 제시할 것이다. 이로서 연구 종료이다.
  • 한글키워드
  • 중국 대학생 여가 동아리 참여자 삶의 만족 구조모형 분석,한국
  • 영문키워드
  • The Analysis of Structure Model Life Satisfaction Leisure Club Activity Participants Korea and China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 중 대학생의 여가동아리 활동 참여에 따른 삶의 만족의 구조모형 분석

    본 연구는 여가동아리활동에 참여하는 한국 K시, 중국 J시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여가만족이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기효능감등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을 구조방정식(SEM)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을 통해서 구인된 요인들 간에 유의미한 차가 존재하는 살펴보기 위하여 국내 대학생, 중국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추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Ver. 17.0과 AMOS(Analysis Moment of Structure) 16.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방법으로는 심리적 구인들을 제대로 측정 하였는가를 검증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확인적요인 분석(Confirmatiry Factor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Structure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였으며, 2, NFI, NNFI, AGFI, GFI를 사용하였다.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으로는 여가만족을 설정하였으며, 매개변인으로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효능감 등을 설정하여 구조모형분석을 통해서 최종결과 변수인 삶의 만족에 영양을 주는 변인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기본 가설은 여가만족, 대학생활만족, 진로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기본 모형을 제시하고 모형의 적합성을 대학생들의 동아리활동 참여와 함께 대학생활의 진로와 삶의 관점에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여가만족은 대학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여가만족감이 높아질수록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둘째, 한국과 중국대학생의 여가만족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여가만족감이 높아질수록 개인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셋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여가만족은 진로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여가만족감이 높아질수록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대학생활에 만족감을 느낄수록 삶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은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질수록, 삶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여섯째, 한국 대학생은 진로자기효능감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중국 대학생의 경우 진로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한국대학생들은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도도 높아졌으나, 중국 대학생의 경우, 진로자기 효능감이 삶의 만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일곱째, 한국 대학생의 경우, 여가만족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중국 대학생은 여가만족이 직접적으로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한국 대학생의 경우, 여가만족감이 높을수록 삶에 대한 만족감도 높아졌으나, 중국 대학생의 경우, 여가만족감이 높아져도 삶의 만족이 높아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가설검증으로 즉, 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통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인과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대학생 집단에서는 여가만족이 높으면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아졌으며,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면 삶의 만족도 높아졌으나, 진로자기효능감은 높아져도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즉, 여가만족은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이라는 매개변인을 통해서 삶의 만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국 대학생 집단에서는 여가만족이 높으면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아졌으며,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아지면 삶의 만족도 높아졌다. 그러나 여가만족이 높아져도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즉, 여가만족은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며,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효능감이라는 매개변인을 통해서 삶의 만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생의 20대의 대학생들은 대학입학과 전공에 대한 이해, 진로준비 등의 극복해 나아가야 할 문제들로 인하여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그렇다면 대학생들의 스트레스를 낮추고 대학생의 건강한 생활과 삶의 만족을 위한 가장 효과 적인 방법은 여가활동일 것이다.
    사회인으로 나아가기 마지막 단계인 대학생은 무엇보다도 적극적이고 활발한 여가동아리활동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두 나라의 여가동아리활동을 통한 삶의 만족의 첫 번째 비교연구로써 앞으로 이와 관련된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를 다진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크다 하겠다.

  • 영문
  •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Model of Satisfaction with Life Through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Leisure Club Activitie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hypothesis that leisure club activities affect students' self-esteem,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career self-efficacy, in turn that their self-esteem,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career self-efficacy affects satisfaction with life, and to identify any significant factors drawn from the analysis. The study was conducted among college students in Korea (City K) and China (City J). Data analysis statistical methods used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i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 Correlation Analysis, 2, NNFI, RMSEA, GFI, AGEI Structure Equation Modeling by SPSS version 17.0 and AMOS(Analysis Moment of Structure) 16.0 program.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sets satisfaction with leisure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the effects of leisure activities on satisfaction with life, while setting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self esteem, and self-efficacy in career as mediator variables in order to identify through an analysis of a structural model, the final 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satisfaction with life.
    The hypothesis of the study is that satisfaction with leisure,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self-efficacy in career and self-esteem affect satisfaction with life. In this way the study presents a model basis and tries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model, along with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in leisure club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s of career preparation in college and life. The results of the verified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leisur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That is,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ith leisure, the higher satisfaction they demonstrate with college life.
    Second,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leisur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elf-esteem. That is,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ith leisure, the higher self-esteem individuals demonstrate.
    Third,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leisur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elf-efficacy in their career. That is,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ith leisure, the higher self-efficacy they demonstrate in their career.
    Fourth,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That is,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the higher satisfaction they demonstrate with life.
    Fifth,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self-esteem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That is, the higher their self-esteem,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life they demonstrate.
    Sixth, Korean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in their career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while Chinese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in their careers does. That is, the higher self-efficacy Korean college students have in their careers,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life they demonstrate. However, self-efficacy in their careers does not have any influence on Chinese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life.
    Seventh, satisfaction with leisur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Korean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life, but it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hinese students' satisfaction with life.
    With the abov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this study confirms the following cause-and-effect relationship through the verification of appropriateness of the model.
    In Chinese college students, higher satisfaction with leisure leads to higher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n career, which in turn leads to higher satisfaction with life. However, higher satisfaction with leisure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life. That is to say, satisfaction with leisure does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life; it affects satisfaction with life through the mediator variables of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n career.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are under stress due to pressures such as successful completion of their majors and preparation for their careers. The most effective way to reduce their stress, promote a healthy life and higher satisfaction with life is through leisure club activities.
    In fact, active and lively engagement in leisure club activities are to be encouraged for college students who face these final hurdles before setting off on their career life.
    Lastly,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the first comparative study on satisfaction with life,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in terms of their leisure activities and it lays a foundation for further studies to follow.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여가동아리활동에 참여하는 한국 K시, 중국 J시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여가만족이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기효능감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을 구조방정식(SEM)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을 통해서 구인된 요인들 간에 유의미한 차가 존재하는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 대학생 310부 중국 대학생 398부를 연구대상으로 추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Ver. 17.0과 AMOS(Analysis Moment of Structure) 16.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방법으로는 심리적 구인들을 제대로 측정 하였는가를 검증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확인적요인 분석(Confirmatiry Factor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Structure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였으며, 2, NNFI, ,RMSEA, GFI, AGFI를 사용하였다. 한국과 중국 대학생은 여가만족이 높으면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 효능감이 높아졌다. 진로자기효능감은 삶의 만족에 한국 대학생 집단에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여가만족은 중국 대학생 집단에서만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여가동아리활동을 통하여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을 구조형방정식(SEM)을 통하여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첫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여가만족은 대학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한국과 중국대학생의 여가만족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여가만족은 진로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은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한국 대학생은 진로자기효능감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중국 대학생의 경우 진로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한국 대학생의 경우, 여가만족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중국 대학생은 여가만족이 직접적으로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한, 중 두 나라가 대학생 교류에 있어 상호 이해를 도모하고, 나아가 실질적인 교류와 협력을 증진시키는데 유익한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대학생의 바람직한 여가문화를 형성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접 국가인 중국의 지속적인 여가발전은 한국의 경제와도 매우 밀접하다고 본다. 그래서 보다 다양하고 적극적인 여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색인어
  • 여가만족,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효능감, 삶의 만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