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중 대학생의 여가동아리 활동 참여에 따른 삶의 만족의 구조모형 분석
본 연구는 여가동아리활동에 참여하는 한국 K시, 중국 J시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여가만족이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기효 ...
한, 중 대학생의 여가동아리 활동 참여에 따른 삶의 만족의 구조모형 분석
본 연구는 여가동아리활동에 참여하는 한국 K시, 중국 J시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여가만족이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기효능감등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을 구조방정식(SEM)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을 통해서 구인된 요인들 간에 유의미한 차가 존재하는 살펴보기 위하여 국내 대학생, 중국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추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Ver. 17.0과 AMOS(Analysis Moment of Structure) 16.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방법으로는 심리적 구인들을 제대로 측정 하였는가를 검증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확인적요인 분석(Confirmatiry Factor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Structure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였으며, 2, NFI, NNFI, AGFI, GFI를 사용하였다.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으로는 여가만족을 설정하였으며, 매개변인으로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효능감 등을 설정하여 구조모형분석을 통해서 최종결과 변수인 삶의 만족에 영양을 주는 변인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기본 가설은 여가만족, 대학생활만족, 진로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기본 모형을 제시하고 모형의 적합성을 대학생들의 동아리활동 참여와 함께 대학생활의 진로와 삶의 관점에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여가만족은 대학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여가만족감이 높아질수록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둘째, 한국과 중국대학생의 여가만족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여가만족감이 높아질수록 개인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셋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여가만족은 진로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여가만족감이 높아질수록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대학생활에 만족감을 느낄수록 삶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은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질수록, 삶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여섯째, 한국 대학생은 진로자기효능감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중국 대학생의 경우 진로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한국대학생들은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도도 높아졌으나, 중국 대학생의 경우, 진로자기 효능감이 삶의 만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일곱째, 한국 대학생의 경우, 여가만족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중국 대학생은 여가만족이 직접적으로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한국 대학생의 경우, 여가만족감이 높을수록 삶에 대한 만족감도 높아졌으나, 중국 대학생의 경우, 여가만족감이 높아져도 삶의 만족이 높아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가설검증으로 즉, 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통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인과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대학생 집단에서는 여가만족이 높으면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아졌으며,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면 삶의 만족도 높아졌으나, 진로자기효능감은 높아져도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즉, 여가만족은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이라는 매개변인을 통해서 삶의 만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국 대학생 집단에서는 여가만족이 높으면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아졌으며,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아지면 삶의 만족도 높아졌다. 그러나 여가만족이 높아져도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즉, 여가만족은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며,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효능감이라는 매개변인을 통해서 삶의 만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생의 20대의 대학생들은 대학입학과 전공에 대한 이해, 진로준비 등의 극복해 나아가야 할 문제들로 인하여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그렇다면 대학생들의 스트레스를 낮추고 대학생의 건강한 생활과 삶의 만족을 위한 가장 효과 적인 방법은 여가활동일 것이다.
사회인으로 나아가기 마지막 단계인 대학생은 무엇보다도 적극적이고 활발한 여가동아리활동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두 나라의 여가동아리활동을 통한 삶의 만족의 첫 번째 비교연구로써 앞으로 이와 관련된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를 다진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크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