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갑상선 기능저하증 유발 흰쥐의 뇌세포생성, 세포사멸 및 우울증 관련 변인에 트레드밀 운동의 신경과학적 효과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9-327-G00139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2 년 (2009년 11월 01일 ~ 2011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임백빈
연구수행기관 동서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운동은 뇌의 인지력이나 기억능력을 향상시키고, 손상된 뇌의 기능회복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임상에서는 앞서 제시한 약물적 치료와 함께 치료적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많은 선행연구에도 불구하고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대해 운동이 신경과학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스포츠의학적 측면에서 운동이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신경과학적 발생기전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은 갑상선 기능저하증을 위한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운동생리학과 스포츠의학, 그리고 신경과학 분야의 발전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운동처방 분야에서 갑상선 질환자에 합당한 운동을 권장하고 있으나 적당한 운동강도와 그 기전을 밝힌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갑상선 기능의 저하가 기억과 뇌세포 생성을 감소시킨다는 연구가 많으며, 일회적 운동시 발생하는 갑상선 호르몬의 역할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운동이 좋은지 조차도 연구되지 않았으며, 특히 운동이 갑상선 기능 저항증의 갑상선 기능과 뇌세포 생성과 기억능력, 학습능력, 뇌세포생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전을 밝히는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갑상선 기능저하증을 가진 어머니로부터 태어난 태아기 갑상선 기능저하증 모델로 1년차에서는 트레드밀 운동의 강도별 효과를 세포생성 단계와 세포사멸적 측면에서 규명하고 2년차에서는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우울증의 관련변인에 관하여 규명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신생아의 갑상선 기능저하증 발병 후 발생되는 세포생성, 기억, 학습, 인지력 감퇴에 대한 운동의 신경보호 작용을 세포생성 단계와 세포사멸, 신경영양인자를 관찰하고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의해 발병하는 우울증 변인과 행동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운동의 갑상선 기능저하증 치료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며, 본 연수과제의 결과로 얻게 되는 정보와 지식들은 다양한 실제 효용 가치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1) 갑상선 기능저하증상 동물모델을 통해 신생아에서 나타나는 뇌세포생성 기전을 밝혀 기억, 학습-인지기능 향상효과와 우울증 관련변인의 개선효과를 규명하여 운동처방 기초이론의 기반을 다지고 실제 운동처방에 적용할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운동생리학과 스포츠의학뿐만 아니라 운동재활 및 스포츠 신경과학 등의 분야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2) 현대사회에서 여성에게서 갑상성 기능 저항증 환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여성에게서 갑상성 기능 저하증 환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운동의 신경세포 보호를 규명함으로써 운동을 신경장애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재활치료 기술로써 확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환자에 대한 치료적 접근이 체계적이고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의료에 대한 환자 만족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국민건강을 증진하고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3) 본 과제의 결과는 국내․외 연구 상황으로 볼 때 국제경쟁력을 갖춘 학술논문 창출에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방향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년차 연구에서는 신생아 갑상선 기능 저하증 흰쥐에서 운동 강도에 따른 해마의 신경세포 생성의 단계와 세포사멸, 신경 영양인자 및 기억, 인지-학습 능력, 신경 영양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며, 2년차 연구에서는 신생아 갑상선 기능저하증 흰쥐에서 운동 강도에 따른 우울증 관련 변인의 신경학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분류 : 신생아 갑상선 기능 저하증유발 후 대조군 (n=10), 대조군-저강도 운동군 (n=10), 대조군-고강도 운동군 (n=10), 신생아 갑상선 기능저하증군 (n=10), 신생아 갑상선 기능저하증-저강도 운동군 (n=10), 신생아 갑상선 기능저하증-중강도 운동군 (n=10), 신생아 갑상선 기능저하증-고강도 운동군 (n=10), 신생아 갑상선 기능저하증-thyroxine 투여군으로 구하여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운동을 실시하고 행동 테스트를 실시한 후 희생시킨다.
    운동 및 분석 : 운동군은 소형동물용 트레드밀에서 점증적인 부하를 이용하여 출산 22일 째부터 4주간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성인 갑상선 기능저하증 쥐는 methimazole 투여 14일째부터 4주간 운동을 실시한다. 4주간 운동을 실시한다. 점증부하 운동수행은 트레드밀에서 경사도 0 %에서 초기 5분간은 2 m/min 속도로 부하 하다가 그 다음 5분은 3 m/min 속도로, 나머지 20분간은 4 m/min 속도로 총 30분 일주일에 5일씩 4주간 실시한다. 중등도 운동군은 트레드밀에서 경사도 0 %에서 초기 5분간은 5 m/min 속도로 부하 하다가 그 다음 5분은 8 m/min 속도로, 나머지 20분간은 11 m/min 속도로 총 30분, 일주일에 5일씩 4주간 실시한다. 고강도 운동군은 트레드밀에서 경사도 0 %에서 초기 5분간은 8 m/min 속도로 부하 하다가 그 다음 5분은 16 m/min 속도로, 나머지 20분간은 22 m/min 속도로 총 30분 일주일에 5일씩 4주간 실시한다. T3와 T4의 측정에는 Rodent T3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est kit (Endocrine technologies Inc., USA)와 Rodent T4 ELISA test kit (Endocrine technologies Inc., USA)를 사용한다. 조직학적 분석은 면역조직 화학법을 이용하여, 해마와 신경세포 생성 단계와 세포사멸과 우울증 변인의 활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BrdU, NeuN, DCX, PSA-NCAM, Calbindin, caspase-3, 5-HT, 5-HTAI, TPH, TUNEL assay를 실시하며, western blotting으로 신경세포생성과 우울증 변인으로 BDNF, TrkB, 5-HT, TPH, 5-HTAI을 분석할 것이다. 행동검사는 학습기억과 공간지각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로 radial arm maze, 인지, 학습, 기억 검사로 Morris water maze test, 기억력 검사로 passive avoidance task, 우울증 증상 검사로 forced swimming test (FST), open field test, sucrose preference test를 이용하여 본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본 실험에서 측정된 결과들은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항목에 대한 평균(mean) 및 표준오차(standard error mean, SEM)를 산출한다. 집단 간 비교를 위하여 one-way ANOVA을 이용한다. 결과에 따라 사후검정을 실시하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α= .05로 설정한다.
  • 한글키워드
  • 해마,치상회,신경영양인자,갑상선 기능 저하증,세포사멸,신경세포생성,인지기능,우울증,세로토닌. 도파민
  • 영문키워드
  • hypothyroidism,neurogenesis,cognitive function,apoptosis,hippocampus,dentate gyrus,depression,serotoni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갑상선 질환의 종류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뇌발달시 신경세포의 생성 및 성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갑상선 호르몬은 뇌 발달 시 세포생성과 성숙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갑상선 호르몬은 포유류의 중추신경계의 정상적 성숙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따라서 연구에서는 methimazole (MMI)에 의해 신생아 갑상선 기능 저하를 유발시킨 흰쥐를 대상으로 하여 운동 강도별 트레드밀 운동이 뇌세포 생성 (5-bromo-2'-deoxyuridine, BrdU; doublecortin, DCX; polysialylated neuronal cell adhesion molecule, PSA-NCAM; calbindin,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TrkB)과 세포사멸에 미치는 신경과학적 효과와 우울증의 관련변인에 관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갑상기능저하는 임신 14일째부터 임신 쥐를 정상 쥐 (n=5)와 MMI 처치군 (N=5) 분리하여 MMI 처치군은 식수에 0.02% (wt/vol)의 MMI를 공급하였으며, 임신 14일째부터 출산 49일째까지 투여되었다. 출산 후 새끼 쥐들은 정상군(n=10), 정상-저강도 운동군(n=10), 정상-중강도 운동군(n=10), 정상-고강도 운동군(n=10), 신생아 갑상선 기능저하증군(n=10), 신생아 갑상선 기능저하증-저강도 운동군(n=10), 신생아 갑상선 기능저하증-중강도 운동군(n=10), 신생아 갑상선 기능저하증-고강도 운동군(n=10)으로 구성하였다. 점증부하 운동수행은 트레드밀에서 경사도 0 %에서 초기 5분간은 2 m/min 속도로 부하 하다가 그 다음 5분은 3 m/min 속도로, 나머지 20분간은 4 m/min 속도로 총 30분 일주일에 5일씩 4주간 실시하였다. 중등도 운동군은 트레드밀에서 경사도 0 %에서 초기 5분간은 5 m/min 속도로 부하 하다가 그 다음 5분은 8 m/min 속도로, 나머지 20분간은 11 m/min 속도로 총 30분 일주일에 5일씩 4주간 실시하였다. 고강도 운동군은 트레드밀에서 경사도 0 %에서 초기 5분간은 8 m/min 속도로 부하 하다가 그 다음 5분은 16 m/min 속도로, 나머지 20분간은 22 m/min 속도로 총 30분 일주일에 5일씩 4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신생아 갑상선 기능 저하는 기억과 공간학습 능력의 손상, 우울증 상태를 유발하였다. 트레드밀 운동은 기억과 공간학습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우울증 상태가 호전되었다. 갑상선 기능저하는 해마치상회의 BrdU, DCX, calbindin, BDNF, TrkB 등의 세포생성인자는 감소시키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트레드밀 운동은 세포생성인자의 증가를 유도하였다. 반면 PSA-NCAM은 갑상선 기능저하에 의하여 증가하였으며, 트레드밀 운동에 의해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반대로 신생아 갑상선 기능 저하는 해마 치상회의 신경세포사를 증가시켰으며, 트레드밀 운동은 신경세포사를 억제하였다. 봉선핵의 5-HT와 TPH 발현와 해마치상회의 신경세포생성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트레드밀 운동은 5-HT와 TPH 발현과 해마치상회의 신경세포생성의 증가를 유도하였다. 그러나 운동강도에 따른 효과는 대부분의 변인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출생 후 트레드밀 운동이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의해 유도된 기억력, 학습 손상과 우울증 증상을 세포생성인자의 증가와, 신경세포사의 감소, 그리고 세로토닌성 경로의 개선에 의해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영문
  • Thyroid hormones (TH) play a crucial role in new neuron production and maturation during brain development.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readmill exercise on short-term memory and neurogenesis in the hippocampus with methimazole (MMI)-induced hypothyroid ra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stnatal treadmill exercise on the memory capability, spatial learning ability, and depressive state, on the 5-hydroxytryptamine (5-HT, serotonin) synthesis, 5-HT1A, and tryptophan hydroxylase (TPH) expression in the dorsal raphe nuclei, and on the apoptosis (caspase-3, DNA fragmentation, Bax, Bcl-2) and neurogenesis (5-bromo-2'-deoxyuridine, BrdU; doublecortin, DCX; polysialylated neuronal cell adhesion molecule, PSA-NCAM; calbindin,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TrkB) in the hippocampal dentate gyrus of rat pups following hypothyroidism. On the day of perinatal 14, the pregnant ra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n = 5 in each group): the maternal control group (n = 5) and the maternal MMI-treated group. For the rats in the maternal MMI-treated group, MMI was added to the drinking water (0.02% wt/vol), replaced daily with fresh MMI solution from the day of perinatal 14 to postnatal 49. After delivery, rat pups were divided into 8 groups: control group (n=10, control and low intensity exercise group (n=10), control and moderate intensity exercise group (n=10), control and high intensity-exercise group (n=10), MMI injection group (n=10), MMI-injection and low-intensity exercise group (n=10), MMI-injection and moderate-intensity exercise group (n=10), MMI-injection and high-intensity exercise group (n=10). In order to induce hypthyroid rat, pregnant rats were treated with 0.02% MMI in drinking water beginning at the 14 day of pregnancy and continuing until postnatal day 49. The rat in the exercise groups were forced to run on a treadmill for 30 min once a day from postnatal day 28 to postnatal day 56 (4 weeks). The low-intensity exercise consisted of running at a speed of 2 m/min for the first 5 min, 3 m/min for the next 5 min, and 4 m/min for the last 20 min. The moderate-intensity exercise consisted of running at a speed of 5 m/min for the first 5 min, 8 m/min for the next 5 min, and 11 m/min for the last 20 min. The high-intensity exercise consisted of running at a speed of 8 m/min for the first 5 min, 16 m/min for the next 5 min, and 22 m/min for the last 20 min with a 0° inclination. The rat pups in the hypothyroidism group showed depressive state with deceased memory capability and learning ability. Postnatal treadmill exercise increased memory capability and learning ability and alleviated depressive state of the rat pups in the hypothyroidism group. The neurogenesis factors (BrdU, DCX, calbindin), and BDNF, TrkB expression in the hippocampal dentate gyru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PSA-NCAM expression increased in the hypothyroid rat pups, and postnatal treadmill exercise increased the neurogenesis factors and BDNF, TrkB expression, and decreased PSA-NCAM expression. In contrast, apoptotic neuronal cell death in the hippocampal dentate gyru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ypothyroid rat pups, and postnatal treadmill exercise suppressed the hypothyroidism-induced apoptosis. The 5-HT synthesis, TPH, 5-HT1A expressions in the dorsal raphe nuclei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hypothyroid rat pups, and postnatal treadmill exercise increased 5-HT synthesis, the TPH expression, 5-HT1A,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intensities. The present results demonstrated that postnatal treadmill exercise alleviated hypothyroidism-induced depression with decrease of memory capability and learning ability, by suppressing apoptotic neuronal cell death and by enhancing neurogenesis and serotonergic pathwa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갑상선 질환의 종류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뇌발달시 신경세포의 생성 및 성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갑상선 호르몬은 뇌 발달 시 세포생성과 성숙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갑상선 호르몬은 포유류의 중추신경계의 정상적 성숙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따라서 연구에서는 methimazole (MMI)에 의해 신생아 갑상선 기능 저하를 유발시킨 흰쥐를 대상으로 하여 운동 강도별 트레드밀 운동이 뇌세포 생성 (5-bromo-2'-deoxyuridine, BrdU; doublecortin, DCX; polysialylated neuronal cell adhesion molecule, PSA-NCAM; calbindin,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TrkB)과 세포사멸에 미치는 신경과학적 효과와 우울증의 관련변인에 관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갑상기능저하는 임신 14일째부터 임신 쥐를 정상 쥐 (n=5)와 MMI 처치군 (N=5) 분리하여 MMI 처치군은 식수에 0.02% (wt/vol)의 MMI를 공급하였으며, 임신 14일째부터 출산 49일째까지 투여되었다. 출산 후 새끼 쥐들은 정상군(n=10), 정상-저강도 운동군(n=10), 정상-중강도 운동군(n=10), 정상-고강도 운동군(n=10), 신생아 갑상선 기능저하증군(n=10), 신생아 갑상선 기능저하증-저강도 운동군(n=10), 신생아 갑상선 기능저하증-중강도 운동군(n=10), 신생아 갑상선 기능저하증-고강도 운동군(n=10)으로 구성하였다. 점증부하 운동수행은 트레드밀에서 경사도 0 %에서 초기 5분간은 2 m/min 속도로 부하 하다가 그 다음 5분은 3 m/min 속도로, 나머지 20분간은 4 m/min 속도로 총 30분 일주일에 5일씩 4주간 실시하였다. 중등도 운동군은 트레드밀에서 경사도 0 %에서 초기 5분간은 5 m/min 속도로 부하 하다가 그 다음 5분은 8 m/min 속도로, 나머지 20분간은 11 m/min 속도로 총 30분 일주일에 5일씩 4주간 실시하였다. 고강도 운동군은 트레드밀에서 경사도 0 %에서 초기 5분간은 8 m/min 속도로 부하 하다가 그 다음 5분은 16 m/min 속도로, 나머지 20분간은 22 m/min 속도로 총 30분 일주일에 5일씩 4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신생아 갑상선 기능 저하는 기억과 공간학습 능력의 손상, 우울증 상태를 유발하였다. 트레드밀 운동은 기억과 공간학습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우울증 상태가 호전되었다. 갑상선 기능저하는 해마치상회의 BrdU, DCX, calbindin, BDNF, TrkB 등의 세포생성인자는 감소시키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트레드밀 운동은 세포생성인자의 증가를 유도하였다. 반면 PSA-NCAM은 갑상선 기능저하에 의하여 증가하였으며, 트레드밀 운동에 의해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반대로 신생아 갑상선 기능 저하는 해마 치상회의 신경세포사를 증가시켰으며, 트레드밀 운동은 신경세포사를 억제하였다. 봉선핵의 5-HT와 TPH 발현와 해마치상회의 신경세포생성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트레드밀 운동은 5-HT와 TPH 발현과 해마치상회의 신경세포생성의 증가를 유도하였다. 그러나 운동강도에 따른 효과는 대부분의 변인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출생 후 트레드밀 운동이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의해 유도된 기억력, 학습 손상과 우울증 증상을 세포생성인자의 증가와, 신경세포사의 감소, 그리고 세로토닌성 경로의 개선에 의해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트레드밀 운동은 기억과 공간학습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우울증 상태가 호전되었다. 갑상선 기능저하는 해마치상회의 BrdU, DCX, calbindin, BDNF, TrkB 등의 세포생성인자는 감소시키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트레드밀 운동은 세포생성인자의 증가를 유도하였다. 반면 PSA-NCAM은 갑상선 기능저하에 의하여 증가하였으며, 트레드밀 운동에 의해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반대로 신생아 갑상선 기능 저하는 해마 치상회의 신경세포사를 증가시켰으며, 트레드밀 운동은 신경세포사를 억제하였다. 봉선핵의 5-HT와 TPH 발현와 해마치상회의 신경세포생성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트레드밀 운동은 5-HT와 TPH 발현과 해마치상회의 신경세포생성의 증가를 유도하였다. 그러나 운동강도에 따른 효과는 대부분의 변인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출생 후 트레드밀 운동이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의해 유도된 기억력, 학습 손상과 우울증 증상을 세포생성인자의 증가와, 신경세포사의 감소, 그리고 세로토닌성 경로의 개선에 의해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연구결과 활용계획
    본 연구는 "신생아의 갑상선 기능저하증 발병 후 발생되는 세포생성, 기억, 학습, 인지력 감퇴에 대한 운동의 신경보호 작용을 관찰하고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의해 발병하는 우울증을 우울증 관련 변인과 행동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운동의 갑상선 기능저하증 치료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며, 본 연수과제의 결과로 얻게 되는 정보와 지식들은 다양한 실제 효용 가치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과제를 통하여

    1) 갑상선 기능저하증상 동물모델을 통해 운동의 기억, 학습-인지기능 향상효과와 우울증 관련변인의 개선효과를 규명하여 운동처방 기초이론의 기반을 다지고 실제 운동처방에 적용할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운동생리학과 스포츠의학뿐만 아니라 운동재활 및 스포츠 신경과학 등의 분야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2) 현대사회에서 여성에게서 갑상성 기능저항증 환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운동의 신경세포 보호를 규명하고 우울증의 치료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운동을 통한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재활치료 기술로써 확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환자에 대한 치료적 접근이 체계적이고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의료에 대한 환자 만족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국민건강을 증진하고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3) 본 과제의 결과는 국내․외 연구 상황으로 볼 때 국제경쟁력을 갖춘 학술논문 창출에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 색인어
  • 갑상선 기능 저하증, 세포사멸, 신경세포생성, 인지기능, 우울증, 해마, 치상회, 신경영양인자, 세로토닌. 도파민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