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운동시 유제품 섭취 수준이 식욕관련 생체지표 및 주관적 식욕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박사후국내연수)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54-G00062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1 년 (2010년 09월 01일 ~ 201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전혜린
연구수행기관 국립경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비만과 관련하여 운동과 기능성식품 소재의 효능에 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우유 및 유제품 섭취와 고칼슘 영양상태는 비만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지방대사, 에너지 소비 및 배설과 관련되어 연구되었으나 식욕관련 생체지표에 대한 검토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수는 최근 잠재적인 체중 및 체지방 조절 관련 기능성 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칼슘급원인 유제품의 섭취 수준에 따라 운동을 실시하는 대상자의 신체구성과 주관적 식욕수준 및 식욕관련 혈중 생체지표의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수 및 연구의 결과는 운동시 유제품 섭취 상태에 따른 체중 및 신체구성, 주관적 식욕수준과 식욕관련 생체지표의 특성을 확인하며 이들의 관계를 검토하여, 체중조절에 대한 이해를 돕고 체중조절과 관련된 기능성식품 활용과 운동처방분야에서 실용적이고,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식욕관련 인자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는 다양한 운동처방 및 기능성식품 탐구와 개발의 초기 연구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 연구요약
  • 연수과제의 수행과 목표달성을 위해 식욕관련 생체지표에 대한 운동과 유제품 칼슘의 효과에 대한 문헌연구를 수행한 후 이들의 효과를 검증하기위한 단면적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연구대상으로 평소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실시하는 집단을 대상으로 고유제품 섭취군과 유제품 비섭취군을 모집하여 신체계측, 에너지 소비량 및 영양섭취량을 조사하고, 공복 및 식후 주관적 식욕 수준 조사와 채혈을 실시하여 식욕관련 생체지표로 알려진 위장펩티드 ghrelin과 peptide-Y의 혈중 수준을 확인할 것이다. 결과를 통해 각 집단의 주관적 식욕수준과 식욕관련생체지표의 차이과 상관성을 검토한다.
  • 한글키워드
  • 운동 유제품 칼슘 식욕 ghrelin peptide-YY
  • 영문키워드
  • exercise dairy calcium appetite ghrelin peptide-Y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유제품을 통한 칼슘섭취가 장기적인 체중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축적되어왔다. 칼슘과 유제품의 체중 및 체지방 조절 기전은 주로 지방대사, 에너지 소비 및 배설과 관련하여 연구되어졌으나 식욕과 식욕관련 생체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칼슘의 급원인 유제품의 섭취 및 규칙적인 운동 실시 유무에 따른 식사전후 식욕관련 혈중 생체지표와 주관적 식욕수준에 관해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운동 및 유제품 섭취 유무에 따라 4개 집단으로 나누어 공복 및 식후 1시간에 주관적 식욕수준을 조사하고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중 식욕관련 생체지표로 acylated-ghrelin(AG)과 peptide-YY(PYY)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집단간 통계적 유의차를 검증하였다.
    AG 수준은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하는 유제품 섭취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PYY는 비운동군에서 식후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유제품 섭취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배고픔 수준은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하는 유제품 섭취군에서 식후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먹고자하는 욕구는 운동군이 식후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유제품 섭취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예상섭취량은 유제품을 섭취하는 비운동군을 제외한 나머지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배부름 수준은 식후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운동과 유제품 섭취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규칙적인 운동과 유제품 섭취는 식후 혈중 acylated ghrelin과 배고픔 수준의 감소와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식후 식욕억제에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영문
  •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hat dairy calcium may play a role in body weight regulation. A potential mechanism has been postulated to explain a possible role of calcium in body weight control, and yet it remains unclear whether there is a weight-loss effect of calcium or di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gular exercise and/or dairy consumption on acylated-ghrelin(AG), peptide YY(PYY) and subjective appetitive ratings in university male students. Subjects were assign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ir exercise and dairy consumption habits. AG, PYY, and insulin were assessed at fasting state and 60 min after consumption of standard test meal.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evaluated by ANOVA for reapeated measures. Exercise groups showed lower blood glucose level and higher postprandial triacylglycerol level than non-exercise groups(p<.05). Postprandial insulin elevation was lowered in exercise groups than non-exercise groups. AG was decreased in exercise and dairy consumption group, and PYY was increased in non-exercise groups after meal(p<.05). For subjective ratings, postprandial hunger level was decreased in exercise and dairy consumption group(p<.05). Desire to eat was decreased in exercise groups after meal(p<.05). Our finding suggests that chronicl exercise and dairy consumption reduces serum acylated ghrelin and subjective hunger level, which is related with postprandial anorexi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유제품을 통한 칼슘섭취가 장기적인 체중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축적되어왔다. 칼슘과 유제품의 체중 및 체지방 조절 기전은 주로 지방대사, 에너지 소비 및 배설과 관련하여 연구되어졌으나 식욕과 식욕관련 생체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칼슘의 급원인 유제품의 섭취 및 규칙적인 운동 실시 유무에 따른 식사전후 식욕관련 혈중 생체지표와 주관적 식욕수준에 관해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운동 및 유제품 섭취 유무에 따라 4개 집단으로 나누어 공복 및 식후 1시간에 주관적 식욕수준을 조사하고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중 식욕관련 생체지표로 acylated-ghrelin(AG)과 peptide-YY(PYY)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집단간 통계적 유의차를 검증하였다.
    AG 수준은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하는 유제품 섭취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PYY는 비운동군에서 식후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유제품 섭취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배고픔 수준은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하는 유제품 섭취군에서 식후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먹고자하는 욕구는 운동군이 식후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유제품 섭취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예상섭취량은 유제품을 섭취하는 비운동군을 제외한 나머지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배부름 수준은 식후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운동과 유제품 섭취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규칙적인 운동과 유제품 섭취는 식후 혈중 acylated ghrelin과 배고픔 수준의 감소와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식후 식욕억제에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칼슘의 급원인 유제품의 섭취 및 규칙적인 운동 실시 유무에 따른 식사전후 식욕관련 혈중 생체지표와 주관적 식욕수준에 관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규칙적인 운동과 유제품 섭취는 식후 혈중 acylated ghrelin과 배고픔 수준의 감소와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식후 식욕억제에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수 및 연구의 결과는 운동과 유제품 섭취 상태에 따른 체중 및 신체구성, 주관적 식욕수준과 식욕관련 생체지표의 특성을 확인하여, 체중조절에 대한 이해를 돕고 체중조절과 관련된 기능성식품 활용과 운동처방분야에서 실용적이고,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exercise, calcium, acylated-ghrelin, peptide YY, appetite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