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노 동시통역 전략과 방법론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32-A00185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1 년 (2010년 05월 01일 ~ 2011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전혜진
연구수행기관 중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한-노 동시통역의 문제점을 분석, 규명하고, 그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한-노 동시통역 전략과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 첫째, 한-노 동시통역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추출하여, 그 문제점을 분석하고 규명한다. 둘째,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언어체계의 차이점으로 인한, 특히 구문과 어순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한-노 동시통역의 오류를 유형화한다. 셋째, 한-노 동시통역 모델을 연구하고, 한-노 동시통역의 구체적인 사례를 연구한다. 넷째, 동시통역의 ‘경제성’, ‘정확성’, ‘논리성’, ‘명료성’ 원칙에 의거하여 과학성, 체계성, 효율성을 제고하는 한-노 동시통역 기법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러시아어 통역분야에서의 동시통역 기법에 대한 연구 부재로 인한 동시통역 분야의 이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비효율성이 양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한-노 동시통역기법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와 실용적인 접근을 통하여 ’실제 통역에서 이론으로‘, ‘이론에서 실제 통역으로‘, 의 메커니즘을 제시할 수 있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구체적인 한-노 통역 오류 사례를 인지 심리학적, 언어학적, 통역학적인 입장에서 분석, 연구함으로써, 동시통역의 과학성, 체계성, 효율성을 제고하는 한-노 동시통역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한-노 동시통역 오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한-노 동시통역 전략 연구에 체계적이고 이론적인 입장에서 접근함으로써 한-노 동시통역의 이론적인 틀을 구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출발어에 매이지 않고, 모국어 간섭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러시아어와 한국어 두 언어 간의 구문과 어순 차이를 극복하여, 연사의 발화 속도와 길이에 적합한 한-노동시통역의 전략과 기법을 연구 조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회적인 성격이 강한 무형의 동시통역을 유형화시키고 체계화시킴으로써, 이론적인 측면에서 한-노동시통역의 이론적인 틀을 마련하고, 그와 함께 한-노 동시통역 전략을 실제통역에 적용함으로써 한-노 동시통역의 질과 효율성을 제고하여 실용적인 측면에서 그 응용 가치가 높다고 사료된다.
    이론적인 측면의 구체적인 기대 효과에 대해서 살펴보자면, 한노 동시통역 이론의 정립, 일반 동시통역 이론의 발전, 순수 언어학과 통역학의 상관관계, 통역학과 인지심리학의 상관관계,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비교 대조 연구를 통한 비교언어학 연구 등의 측면에서 학문적인 기여도가 크다. 한편 실용적인 측면에서는 한노 동시통역에서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언어체계의 차이점으로 인한, 특히 구문과 어순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한-노 동시통역의 오류를 분석하여, ‘경제성’, ‘정확성’, ‘논리성’, ‘명료성’을 지향하는 한-노 동시통역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동시통역 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며, 통역현장에서는 한-노 동시통역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질 높은 전문적인 동시통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노 동시통역기법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와 실용적인 접근을 통하여 ’실제 통역에서 이론으로‘, ‘이론에서 실제 통역으로‘, 의 메커니즘을 제시하는데 적지 않은 역할을 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다음의 단계로 진행된다.
    I 단계: 한-노 동시통역 실례 수집 및 분석과 오류 사례 고찰
    (1) 통역사의 청취-발화 시차
    (2) 동시통역의 단위
    (3) 언어의 배합, 소음, 연사의 발화 속도 등이 통역 수행에 미치는 영향
    (4) 발화오류 수집

    본 단계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한-노 동시통역 전략을 만들기 위한 가장 기초 단계로써 실험적인 연구의 성격을 띤다. 인지심리학자적인 입장에서 중립적인 시각을 갖고 한-노 동시통역현상을 분석, 기술하려는 시도를 행할 것이다. 국제회의, 동시통역 수업에서의 동시통역 발화 내용의 녹음자료를 텍스트화해서 한-노 동시통역 현상을 DB화하고, 한-노 동시통역에 나타난 오류 사례를 고찰한다.

    II 단계: 한-노 동시통역 오류 분석 및 유형화
    (1) 한-노 동시통역 오류의 유형화
    음성적 층위에서의 오류
    어휘적 층위에서의 오류: 용어사용의 문제
    문법적 층위에서의 오류
    형태론적인 층위: 명사의성, 단복수 사용, 격지배 관계등
    어휘-의미론적인 층위: 접두사, 접미사 사용의 문제, 동사 상 문제 등
    구문론적 층위에서의 오류 : 구문 사용, 복문에서의 연결 관계,
    능동구문과 수동구문의 사용, 무생물 주어 구문, 어순의 문제 등
    의미론적 층위에서의 오류
    문체론적인 층위에서의 오류
    화용론적 층위에서의 오류
    (2) 출발어(Source Language)가 한국어, 도착어(Target Language)가 러시아어일 경우의 동시통역 오류와 출발어가 러시아어, 도착어가 한국어일 경우의 동시통역 오류의 분류 및 대조 비교
    (3) 한-노 동시통역의 오류 유형에 따른 원인 연구
    한국어와ㅡ러시아어 언어체계의 상이함의 측면에서 : 구문과 어순의 차이 측면에서
    연사의 발화 속도의 문제 측면에서
    발화 응집력, 정보 비중의 문제 측면에서
    모국어 간섭현상 측면에서
    한국과 러시아의 문화적 차이 측면에서

    본 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수집한 한-노 동시통역 현상과 오류 사례를 언어학적인 측면에서 분류하고 유형화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각 언어 층위에서 일어난 다양한 한-노 동시통역의 오류를 유형화한 후 각 오류 유형에 따른 원인을 규명한다. 한-노 동시통역에 나타나는 오류의 유형화와 그 원인 규명 작업이 한-노 동시통역 전략 연구를 위한 전제조건이 될 것이다. 출발어가 한국어, 도착어가 러시아어일 경우의 동시통역 오류와 출발어가 러시아어, 도착어가 한국어일 경우의 동시통역 오류의 대조 비교 연구는 노한 동시통역과 한노 동시통역에 있어서 공통적인 전략과 함께 출발어와 도착어에 따른 변별적인 기법을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III 단계: 한-노 동시통역 전략 연구 및 모델 제시

    본 단계에서는 선행 단계에서 수집하고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동시통역 전략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동시통역 기법과 방법론, 예를 들어, '예측하기', '기다리기',' 시간벌기', '여러 문장 나누기', '주제-논평 구조 활용하기' 등을 연구하여 한-노 동시통역 기법의 모델링을 시도한다. 본 단계에서는 동시통역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와 실용적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실제에서 이론으로’, ‘이론에서 실제로’ 의 메커니즘을 제시할 것이다.
    따라서 한-노 동시통역 전략 연구 및 모델 제시 단계에서는 ‘기다리기’, ‘시간벌기’, ‘여러 문장으로 만들기’, '예측하기‘, ’주제-논평구조 활용‘ 등의 동시통역 전략과 텍스트와의 상관관계를 모델링하고, 동시통역 전략을 적용한 구체적인 예들을 연구함으로써, 한국어와 러시아어 두 언어간의 구조와 어순의 차이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통역의 ‘경제성’, ‘정확성’, ‘논리성’, ‘명료성’ 원칙에 기초하여 한-노 동시통역의 기법을 체계화하고, 전략적인 메커니즘을 만드는 시도를 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한-노 동시통역,'시간 벌기 전략,'주제-논평 구조 활용' 전략,'여러 문장으로 나누기' 전략,'예측하기' 전략,'기다리기' 전략,한-노 동시통역 전략과 기법
  • 영문키워드
  • Anticipation,Stalling,Theme-Rheme,Segmentation,Waiting,Korean-Russian Simultaneous Interpretation,Korean-Russian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trategies and Skill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문법 체계의 상이성으로 인한 한-노 동시통역의 문제점을 분석, 규명하고, 그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한-노 동시통역 전략과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 1 단계에서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문법체계의 상이성으로 인한 한-노 동시통역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추출하여, 그 문제점을 분석하고 규명하였다. 2 단계에서는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문법체계의 차이점으로 인한, 특히 구문과 어순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한-노 동시통역의 오류를 유형화하였다. 3 단계에서는 한-노 동시통역의 구체적인 사례를 연구하고, 한-노 동시통역의 모델링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출발어와 도착어의 특성과 동시통역의 방향성에 따라 노한 동시통역과 한노 동시통역의 전략과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립한 한-노 동시통역 전략이 러시아어와 한국어 두 언어 간의 구문과 어순 차이를 극복하여, 어순의 차이를 조절하고 비문 형성의 오류를 감소시켜주며, 발화의 동시성과 표현의 경제성을 보장해준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가 동시통역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문과 어순 등의 언어적 제약과 정보 처리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연구하였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회적인 성격이 강한 무형의 동시통역을 유형화시키고 체계화시킴으로써, 이론적인 측면에서 한-노 동시통역의 이론적인 틀을 마련하고, 그와 함께 한-노 동시통역 전략을 실제통역에 적용함으로써 한-노 동시통역의 질과 효율성을 제고하여 실용적인 측면에서 그 응용 가치가 높다고 본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동시통역 과정에서 발생하는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문법 차이로 인한 여러 가지 제약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동시통역 교육을 수행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Korean-Russian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trategy and skills.
    The tasks to achieve it are as follows:
    1)Examine closely Korean-Russian Simultaneous Interpretation mistakes caused by grammatical differences, specially, word order between Korean and Russian
    2)Set up the level and pattern of the Korean-Russian Simultaneous Interpretation mistakes
    3)Study how to overcome the mistakes which happens with Korean-Russian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nd research the way to applicate it
    4)Research the technique and method of Korean-Russian Simultaneous Interpret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한-노 동시통역의 문제점을 분석, 규명하고, 그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한-노 동시통역 전략과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과제는 다음과 같았다 : 첫째, 한-노 동시통역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추출하여, 그 문제점을 분석하고 규명한다. 둘째,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언어체계의 차이점으로 인한, 특히 구문과 어순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한-노 동시통역의 오류를 유형화한다. 셋째, 한-노 동시통역 모델을 연구하고, 한-노 동시통역의 구체적인 사례를 연구한다. 넷째, 동시통역의 ‘경제성’, ‘정확성’, ‘논리성’, ‘명료성’ 원칙에 의거하여 과학성, 체계성, 효율성을 제고하는 한-노 동시통역 기법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러시아어 통역분야에서의 동시통역 기법에 대한 연구 부재로 인한 동시통역 분야의 이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비효율성이 양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한-노 동시통역기법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와 실용적인 접근을 통하여 ’실제 통역에서 이론으로‘, ‘이론에서 실제 통역으로‘, 의 메커니즘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 수행 1단계& 2단계: 한- 노 동시 통역의 오류 수집 및 유형화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문법체계의 차이점을 극복하기 위한 동시통역 전략 연구를 위한 선행단계로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문법 체계의 차이점을 크게 형태론적인 특성과 구문적인 차이로 분류하여 살펴보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동시통역의 오류 유형을 분석하였다. 한국어를 A언어로 하는 동시 통역사와 동시통역 전공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동시통역 오류를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러시아어의 형태론적인 특징으로 인한 문법적 오류는 주로 한노 동시통역의 경우에 지배적으로 나타났고, 구문론적인 차이와 어순에 의한 차이로 인한 오류는 노한 동시통역과 한노 동시통역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연구수행 1단계에서는 노한 동시통역과 한노 동시통역의 오류를 수집하였다. 연구 수행 2단계에서는 러시아어 동시통역 과정에서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문법 체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오류를 크게 러시아어의 형태론적인 특징에 의한 오류와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구문 차이, 어순 차이에 의한 오류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러시아어의 형태론적인 특징에 의한 오류는 주로 한노 동시통역에서 나타났으며,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구문 차이, 어순 차이에 의한 오류는 한노 동시통역, 노한 동시통역 양방향에서 비슷한 빈도수로 발생하였다. 동시통역 실험을 분석한 결과,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구문과 어순의 차이에 서 비롯되는 문제가 동시통역의 내용의 정확성과 통역의 동시성에 가장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 러시아어 동시통역을 위해 해결해야 할 근본과제임을 알 수 있었다.
    러시아어의 형태론적인 특징에 의한 동시통역 오류는 동시통역사의 러시아어 소통능력과 숙달 수준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써, 동시통역사 자신이 러시아어 숙달을 통해 끊임없이 개선하고 노력해야 할 과제이다. 한편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구문과 어순의 차이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고, 그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동시통역 전략과 방법론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연구수행 3단계: 한-노 동시통역 전략과 동시통역 모델링

    연구수행 3단계에서는 선행 단계에서 수집하고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출발어가 러시아어냐, 한국어냐에 따라 각각의 고유한 동시통역 전략을 연구하고, 구체적인 동시통역 기법과 방법론을 제시하면서, 한-노 동시통역 기법의 모델링을 시도하였다. 본 단계에서는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동시통역 실례를 분석하여 구문 유형별로 동시통역 유형화와 모델링을 실험하고, 그를 이론화하고 체계화하였다.
    연구 수행 3단계에서는 선행 단계에서 수행한 구문과 어순의 차이에 의한 동시통역의 오류 분석을 토대로 노한 동시통역과 한노 동시통역의 전략을 연구하고, 구체적인 동시통역 기법과 방법론을 제시하면서, 한-노 동시통역 기법의 모델링을 시도하였다.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구문과 어순의 차이 극복을 위해 노한 동시통역에서는 주로 주제-논평구조 활용, 구문요소의 변형, 짧은 문장으로 나누기 (Segmentation), 단순화 전략 등을 사용하였고, 한노 동시통역에서는 발화의 경제성과 동시성 확보를 위해 명사구, 전치사구를 사용하는 구문요소의 변형전략을 주로 사용하였고, 짧은 문장으로 나누기 (Segmentation), 단순화 전략, 예측하기, 기다리기, 시간 벌기 등의 전략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동시통역 전략을 통하여 출발어와 도착어 간의 문법 차이, 청취, 이해, 발화의 동시성, 정보의 밀집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연구결과 활용 방안

    본 연구는 현재 세계화, 정보화 시대에 급격히 수요가 늘고 있는 국제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양성, 국제회의 통역사 교육과 통역사들의 전문화 재교육에 도움이 될 것이며, 학부 및 통번역 대학원에서 통역 교육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 통역 교육 방법론에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통역 교육 현장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외국어 교육의 방법론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한-노 동시통역뿐만 아니라 다른 외국어의 동시통역 기법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학문적 응용가치와 동시통역의 이론에 대한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국어 통사론과 러시아어 통사론의 비교 연구를 비롯하여, 통역학과 순수 언어학, 통역학과 심리언어학, 사회언어학 등의 학제 간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다.
  • 색인어
  • 한노 동시통역 전략, 노한 동시통역 전략, 효과적인 동시통역을 위한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문법 차이 극복 방안,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어순 차이 극복 방안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