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음의 단계로 진행된다.
I 단계: 한-노 동시통역 실례 수집 및 분석과 오류 사례 고찰
(1) 통역사의 청취-발화 시차
(2) 동시통역의 단위
(3) 언어의 배합, 소음, 연사의 발화 속도 등이 통역 수행에 미치는 영향
(4) 발화오류 수집
본 단계는 체계 ...
본 연구는 다음의 단계로 진행된다.
I 단계: 한-노 동시통역 실례 수집 및 분석과 오류 사례 고찰
(1) 통역사의 청취-발화 시차
(2) 동시통역의 단위
(3) 언어의 배합, 소음, 연사의 발화 속도 등이 통역 수행에 미치는 영향
(4) 발화오류 수집
본 단계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한-노 동시통역 전략을 만들기 위한 가장 기초 단계로써 실험적인 연구의 성격을 띤다. 인지심리학자적인 입장에서 중립적인 시각을 갖고 한-노 동시통역현상을 분석, 기술하려는 시도를 행할 것이다. 국제회의, 동시통역 수업에서의 동시통역 발화 내용의 녹음자료를 텍스트화해서 한-노 동시통역 현상을 DB화하고, 한-노 동시통역에 나타난 오류 사례를 고찰한다.
II 단계: 한-노 동시통역 오류 분석 및 유형화
(1) 한-노 동시통역 오류의 유형화
음성적 층위에서의 오류
어휘적 층위에서의 오류: 용어사용의 문제
문법적 층위에서의 오류
형태론적인 층위: 명사의성, 단복수 사용, 격지배 관계등
어휘-의미론적인 층위: 접두사, 접미사 사용의 문제, 동사 상 문제 등
구문론적 층위에서의 오류 : 구문 사용, 복문에서의 연결 관계,
능동구문과 수동구문의 사용, 무생물 주어 구문, 어순의 문제 등
의미론적 층위에서의 오류
문체론적인 층위에서의 오류
화용론적 층위에서의 오류
(2) 출발어(Source Language)가 한국어, 도착어(Target Language)가 러시아어일 경우의 동시통역 오류와 출발어가 러시아어, 도착어가 한국어일 경우의 동시통역 오류의 분류 및 대조 비교
(3) 한-노 동시통역의 오류 유형에 따른 원인 연구
한국어와ㅡ러시아어 언어체계의 상이함의 측면에서 : 구문과 어순의 차이 측면에서
연사의 발화 속도의 문제 측면에서
발화 응집력, 정보 비중의 문제 측면에서
모국어 간섭현상 측면에서
한국과 러시아의 문화적 차이 측면에서
본 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수집한 한-노 동시통역 현상과 오류 사례를 언어학적인 측면에서 분류하고 유형화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각 언어 층위에서 일어난 다양한 한-노 동시통역의 오류를 유형화한 후 각 오류 유형에 따른 원인을 규명한다. 한-노 동시통역에 나타나는 오류의 유형화와 그 원인 규명 작업이 한-노 동시통역 전략 연구를 위한 전제조건이 될 것이다. 출발어가 한국어, 도착어가 러시아어일 경우의 동시통역 오류와 출발어가 러시아어, 도착어가 한국어일 경우의 동시통역 오류의 대조 비교 연구는 노한 동시통역과 한노 동시통역에 있어서 공통적인 전략과 함께 출발어와 도착어에 따른 변별적인 기법을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III 단계: 한-노 동시통역 전략 연구 및 모델 제시
본 단계에서는 선행 단계에서 수집하고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동시통역 전략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동시통역 기법과 방법론, 예를 들어, '예측하기', '기다리기',' 시간벌기', '여러 문장 나누기', '주제-논평 구조 활용하기' 등을 연구하여 한-노 동시통역 기법의 모델링을 시도한다. 본 단계에서는 동시통역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와 실용적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실제에서 이론으로’, ‘이론에서 실제로’ 의 메커니즘을 제시할 것이다.
따라서 한-노 동시통역 전략 연구 및 모델 제시 단계에서는 ‘기다리기’, ‘시간벌기’, ‘여러 문장으로 만들기’, '예측하기‘, ’주제-논평구조 활용‘ 등의 동시통역 전략과 텍스트와의 상관관계를 모델링하고, 동시통역 전략을 적용한 구체적인 예들을 연구함으로써, 한국어와 러시아어 두 언어간의 구조와 어순의 차이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통역의 ‘경제성’, ‘정확성’, ‘논리성’, ‘명료성’ 원칙에 기초하여 한-노 동시통역의 기법을 체계화하고, 전략적인 메커니즘을 만드는 시도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