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1920-30년대 러시아 안티유토피아 드라마투르기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박사후국내연수)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54-A00147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1 년 (2010년 09월 01일 ~ 201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승억
연구수행기관 경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수는 1920-30년대 러시아 드라마투르기에 나타난 안티유토피즘의 문제를 고찰함으로써 소비에트 드라마에 대한 새로운 해석, 폭넓은 접근 방법과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기 위한 시도이다.
    러시아 역사에서 1920-30년대는 사회주의 혁명, 세계대전과 내전, 신경제정책, 스탈린 독재 등으로 대단히 복잡하게 얽혀진 전대미문의 시간대이자, 러시아 극문학과 연극사에서 가장 흥미로운 시기로 평가된다.
    새로운 사회건설과 정착을 위해 가장 강력한 선전선동 수단으로 연극을 채택한 혁명정부의 전폭적이며 계획적인 관리와 지원 하에 이 시기의 드라마와 연극은 문학과 예술에서 주도적인 장르로 자리매김함과 동시에 복잡하게 얽혀진 시대상황을 그대로 반영하듯 모든 가능한 장르적 실험과 다양한 형식을 발현하여, 이른바 ‘러시아 드라마와 연극의 르네상스’를 이룩한 시기로 평가된다. 따라서 한 두 경향으로 쉽사리 정리되지 않는 이 시기 드라마투르기의 폭넓은 스펙트럼과 독특한 아우라는 러시아 극문학 연구자들에 끊임없는 연구의 원천을 제공하고 있다.
    오늘날까지 수많은 연구자들은 이 시기의 방대한 드라마 유산에 대한 작업을 끊임없이 지속하고 있으며, 그 결과 우리는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일련의 다양하면서도 복잡한 당대 드라마 장르들과 조우하고 있다. 대중-선동연극, 선동-세태연극, 낭만적 영웅드라마, 풍자 드라마, 클럽연극, 역사드라마, 영웅-혁명 드라마, 낙관적 비극, 전쟁드라마, 사회-심리드라마, 서정적 희극, 영웅적 희극, 사회주의 사실주의 드라마 등.
    따라서 현재까지 이 시기 드라마투르기의 연구는 이러한 장르 구분에 의존하여 장르내의 특성과 진화, 장르간의 대화와 대립을 기본 축으로 삼아 개별 작가, 작품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1920-30년대 드라마 연구 중 좌, 우파 경향의 장르간 대립과 대화에 대한 연구는 단순한 드라마 연구 영역을 넘어서서 사회문화 현상 전반을 재단하는 하나의 중요한 척도로써 그 성과를 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르 구분에 기반을 두는 연구는 몇 가지 한계와 오류를 드러내고 있다. 우선 이러한 분류법들은 주로 페레스트로이카 이전의 소련 연극학자들에 의해 규정된바 일정부분 관변적인 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당시 여러 가지 이유로-주로 당의 지침에 반대되는-출판되지 못하거나, 검열에 의해 심하게 수정된 수많은 희곡들을 간과하고 있어 균형 잡힌 드라마 연구에 적잖은 한계성을 내포하고 있다. 비단 이것은 드라마 장르에만 국한된 문제는 아니지만 1920-30년대 러시아 드라마투르기에 대한 연구는 보다 폭넓은 자료와 다양한 관점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각으로 재정립해야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수에서는 보다 현대적인 관점에서 1920-30년대 러시아 드라마투르기를 새롭게 조명할 수 있는 하나의 코드로서 ‘안티유토피즘’을 제시하여 그 경향과 특징을 1920-30년대 전체 드라마투르기의 맥락에서 살펴보고, 안티유토피즘을 내포하고 있는 개별 드라마들을 분석하여 ‘안티유토피아 드라마(антиутопическая драма)’라는 새로운 장르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나 안티유토피아는 주로 소설 장르에서 발생, 발전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 연구 역시 산문 장르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드라마 장르에서의 연구는 희박하다는 점이 본 연수의 목적과 필연성의 근본적인 토대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연수는 1920-30년대 소비에트 드라마투르기에 나타난 안티유토피즘을 연구하여 안티유토피즘이 산문에서 뿐만 아니라, 드라마에서도 실재성을 가진다는 것을 고찰하는 것이 그 첫 번째 목적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발생한 연원과 과정을 추적하고, 그것이 개별 작가와 작품 속에서 어떤 형태로 드러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1920-30년대 드라마투르기에서 어떠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장르간의 단순한 대립과 화합의 양상으로 연구되어온 이 시기 드라마투르기에 대한 새로운 시선을 부여하고자 한다.
    분석할 대상의 작품들은 때로는 유토피즘과 안티유토피즘의 경계에 있거나, 그 진의가 모호하여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 되곤 한다. 따라서 이들 작품에 드러나는 안티유토피즘을 제대로 고찰하고 그 정확한 의미를 밝혀낸다면 이 시기 드라마투르기 연구에 있어 일방적으로 편향된 기존연구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기존연구들의 성과와 더불어 1920-30년대 드라마투르기를 보다 유연하게 조망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무엇보다 우선 ‘안티유토피아 드라마’라는 매우 실재적인 드라마 장르를 정립함으로써 1920-30년대 드라마투르기를 보다 폭넓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좌, 우대결의 구도로 보아온 1920-30년대 소비에트 드라마투르기에 대한 보다 유연한 해석의 여지를 줄 수 있다. 특히, 마야코프스키, 트레치야코프등 이른바 좌파극작가들로 분류된 이들이 바라본 소비에트 안티유토피즘과 룬츠, 불가코프 등 우파극작가들의 안티유토피즘의 공통분모를 찾아낸다면 복잡한 시대상황 속에서 예술가들이 당시 소비에트 사회를 어떤 식으로 재단하고 있었는가를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할 수 있을것이다.
    둘째, 기존의 산문 장르의 안티유토피즘과의 공통성과 차별성을 통해 소비에트 안티유토피아 장르에 대한 보다 폭넓은 시각과 해석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유토피아, 안티유토피아에 대한 개념정립과 그 요소들을 밝힘으로써 유토피아와 안티유토피아 장르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셋째, 각각의 개별적인 작가들의 작품들을 안티유토피즘이라는 프리즘으로 바라봄으로써 일면적으로만 해석되어온 여러 작가들에 대한 보다 유연한 해석을 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이것은 특히, 앞서 언급했던 좌파 작가들마야코프스키, 트레치야코프등의 말년의 정체성의 모호함에 대한 하나의 해석 방법의 여지를 열어준다. 그리고 이러한 토대를 바탕으로 여타의 다른 좌파 작가들의 작품 세계를 보다 폭넓은 관점에 해석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1920년대 후반이 되면 빌르-벨로체르코프스키를 제외한 대다수의 라프계열의 작가들의 작품들이 금지되거나 사장되는 운명을 맞이하게 되는데, 비단 정치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문학 작품 내에서도 그들의 지향점을 재고할 수 있는 여지를 열어준다.
    마지막으로 소비에트 시절 문학적 재능에 비해 잘 알려지지 않았던 레프 룬츠의 극작세계를 연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일찍 요절한 탓에(24세) 네 개의 작품을 남긴 룬츠의 드라마 세계는 비로소 오늘날 러시아에서 연구가 시작되었음을 감안한다면 비단 한 작품이지만 그의 드라마 세계를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본 연구 수행의 결과물은 우선적으로 1920-30년대 소비에트 드라마투르기야 전반에 대한 연구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다양한 작가들, 그리고 그 작가들이 보여준 다양한 경향성과 연극관에 대한 정립으로 한 두 작가에 머물던 국내 드라마 연구에서 벗어나 보다 폭넓게 1920-30년대 드라마 흐름을 바라볼 수 있는 연구 자료가 될 것이다. 아울러 안티유토피아 장르 자체에 대한 개념 확립, 요소분석, 발전과정등에 대한 고찰은 안티유토피아 장르 연구에 대한 참고자료로 사용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업자료도 충분히 그 기능을 감당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연구요약
  • 본 연수는 두 가지 단계로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1920-30년대 러시아 드라마투르기에 나타난 안티유토피즘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안티유토피즘의 의미를 고찰하고 그를 둘러싼 논쟁들과 형성과정을 통해 용어의 정확한 개념을 우선적으로 정립해야한다. 그리고 이 개념들을 토대로 안티유토피아 작품들의 고유한 특징과 구체적인 요소들을 연구할 것이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개념과 요소들을 구체적인 작품에 적용, 분석하여 드라마에서 안티유토피즘이 어떤 식으로 발현되고 있으며 드라마만의 고유한 특징과 의미는 무엇인지를 면밀히 검토하여 안티유토피즘이 이 시기 드라마투르기에 얼마큼 폭넓게 적용될 수 있는가 하는 최종적인 결론을 도출할 것이다.
    안티유토피아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유토피아와 안티유토피아와의 관계 규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 유토피아와 안티유토피아의 정의와 구분은 매우 어렵고 지금까지도 명확한 정의가 거의 내려지지 않고 있으며, 학자들마다 다양하게 의견을 제시하면서 이 두 장르를 비슷한 장르로 보기도 하고, 전혀 다른 장르로 사유하기도 한다.
    실제로 문학에서 유토피아와 안티유토피아는 완전히 분리된 대립적인 개념을 가지기 보다는 마치 자웅동체(雌雄同體)처럼 보는 측면에 따라 해석을 달리 할 수 있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기에 늘 논쟁의 중심에 서있는 한계점을 드러낸다.
    따라서 본 연수에서는 기존의 연구를 보다 면밀히 재독, 정리한 후에 특별히 드라마 장르, 보다 좁게는 1920-30년대의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유토피아와 안티유토피아의 개념과 의미, 관계를 정립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더욱 분명히 하기 위해서 우리는 안티유토피아를 안티유토피아로 규정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이며 실재적인 요소들을 찾아내고자 한다.
    유토피즘, 안티유토피즘의 개념과 상관관계, 그리고 그 요소들을 밝혀낸 후, 1920-30년대 드라마 중에서 유토피즘과 안티유토피즘의 논쟁이 되고 있는 주요한 네 작품들을 대상으로 분석 작업을 할 것이다. 본 연수의 연구대상이 되는 작품은 다음과 같다. 레프 룬츠의『진실의 도시』(1924), 세르게이 트레치야코프의『나는 아이를 원해요』(1926), 블라지미르 마야코프스키)의『빈대』(1928), 미하일 불가코프의『극락』(1934).
    룬츠의『진실의 도시』는 Е. 자먀틴의 소설『우리들』(1921)의 드라마적 바리안트이자 러시아 최초의 안티유토피아 드라마로 간주된다. 따라서 그의 드라마의 특징, 내용, 요소들을 우선적으로 밝혀내는 것은 이 후의 드라마들과의 연관성상에서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자먀틴의『우리들』과의 연관선상에서 또 하나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작품은 미하일 불가코프의 드라마『극락』이다. 미하일 불가코프의「극락」은 작가의 작품 중에서 가장 안티유토피즘이 강하게 발현된 작품으로서 이 자품의 첫 번째 판본은 ‘자먀틴의「우리들」의 숨겨진 인용’이라고 할 만큼 유사란 점이 많은 작품이다.
    다음으로 본 연수에서 분석할 작품은 트레치야코프의『나는 아이를 원해요』와 마야코프스키의『빈대』이다. 이들 작가의 이 두 작품은 일반적으로 소비에트 유토피아를 그린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소비에트 유토피아를 지향하던 좌파 작가들의 드라마들 속에서 안티유토피즘을 연구한다는 것이 일면 모순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유토피아, 안티유토피아의 특별한 이중적 상관관계, 그리고 이 두 작가의 작품이 모두 공연 금지를 당했다는 점, 작가들 역시 자살과 숙청으로 소비에트 유토피아 사회에서 비극적인 ‘추방’을 당했다는 점이 연구의 출발 토대 점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기본적인 작품의 근간에서 출발하여 앞서 언급한 유토피아와 안티유토피아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그 요소들을 이들 작품에 적용하여 안티유토피즘을 면밀히 고찰할 것이다.
    더불어 이 양극단에 있는 네 작가의 작품을 하나의 경향으로 통합하여 고찰하되, 각 작품 사이의 상관관계, 상호텍스트성을 면밀히 밝힌다면 ‘안티유토피아 드라마’라는 하나의 장르를 정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920-30년대 드라마투르기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방법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한글키워드
  • 유토피아,1920-30년대 러시아 드라마투르기,안티유토피아,안티유토피아 드라마,룬츠,트레치야코프,불가코프,마야코프스키
  • 영문키워드
  • Mayakovsky,Luntz,Bulgakov,utopia,anti-utopia,anti-utopian drama,russian dramaturgy of 1920-1930'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1920-30년대 러시아의 희곡들에 나타난 안티유토피즘의 현상을 연구하여 당시 소비에트 드라마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기 위한 시도이다.
    러시아 역사에서 1920-30년대는 사회주의 혁명, 세계대전과 내전, 신경제정책, 스탈린 독재 등으로 복잡하게 얽힌 시기이며, 러시아 극문학과 연극사에서 가장 흥미로운 시기로 평가된다.
    새로운 사회건설과 정착을 위해 가장 강력한 선전선동 수단으로 연극을 채택한 혁명정부의 전폭적이며 계획적인 관리와 지원 하에 이 시기의 드라마와 연극은 문학과 예술에서 주도적인 장르로 자리매김함과 동시에 복잡하게 얽혀진 시대상황을 그대로 반영하듯 모든 가능한 장르적 실험과 다양한 형식을 발현하여, 이른바 ‘러시아 드라마와 연극의 르네상스’를 이룩한 시기로 평가된다..
    이러한 다양한 장르의 희곡들이 쏟아진 이 시기를 정리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안티유토피즘’을 제시하여 그 경향과 특징을 1920-30년대 전체 드라마투르기의 맥락에서 살펴보고, 안티유토피즘을 내포하고 있는 개별 드라마들을 분석하여 ‘안티유토피아 드라마’라는 새로운 장르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시기에 안티유토피아라는 장르가 의미가 있는 것은 다음의 이유를 따른다. 1917년 혁명은 이데아로서의 ‘유토피아’를 실재적으로 실현시킨 반면, 이 유토피아를 실현시키는 과정과 결과에서 ‘안티유토피아’라는 또 다른 현상을 동시에 탄생시킨 양면성을 지닌다. 용어 자체에서 이미 감지할 수 있듯이 유토피아에 대한 반향으로 탄생된 안티유토피아는 20세기 초반 러시아 문학에서 가장 주목받은 장르 중의 하나이며, 특히 1920년대는 안티유토피아가 문학 장르로서 탄생된 시기이기도 하다.
    인간의 절대적이며 완벽한 행복을 추구하는 유토피아는 과거 삶의 완전한 부정위에서 건설된 사회이다. 왜냐하면 유토피스트들은 예전의 방식으로는 이러한 행복을 추구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급진적이며 근본적인 변화와 변혁만이 유토피아 사회건설의 출발점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전 삶의 방식을 일시에 전복시키는 전쟁과 혁명은 유토피아 사회건설의 필수적인 동인으로 작용하며, 이러한 전쟁과 혁명이 지배한 20세기 초 러시아 사회는 유토피아 사회 탄생의 필요 충분한 토대를 가지고 있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시기에 드라마에 나타난 안티유토피즘의 요소를 연구하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작업이 될것이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단계로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1920-30년대 러시아 드라마투르기에 나타난 안티유토피즘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안티유토피즘의 의미를 고찰하고 그를 둘러싼 논쟁들과 형성과정을 통해 용어의 정확한 개념을 우선적으로 정립해야한다. 그리고 이 개념들을 토대로 안티유토피아 작품들의 고유한 특징과 구체적인 요소들을 연구할 것이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개념과 요소들을 구체적인 작품에 적용, 분석하여 드라마에서 안티유토피즘이 어떤 식으로 발현되고 있으며 드라마만의 고유한 특징과 의미는 무엇인지를 면밀히 검토하여 안티유토피즘이 이 시기 드라마투르기에 얼마큼 폭넓게 적용될 수 있는가 하는 최종적인 결론을 도출할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appears to study the phenomenon of the Soviet drama, and a new interpretation is an attempt to present different perspectives in Russian antiutopia drama in 1920-1930's. 1920-30's in the history of the socialist revolution in Russia, World War I and civil war, new economic policies, Stalin's dictatorship, and so intricate and time, the Russian drama and theatrical history as the most exciting time to be evaluated.
    Revolutionary government established a new social construction and as a means of propaganda for the most powerful plays were adopted, the revolutionary government's full support and with the support of management and planning in this period drama and theater in the literature and the arts has become the leading genre.
    And to complicate the situation as it got entangled era every possible genre, reflecting the expression of various types of experiments and the so-called "Russian drama and theater of the Renaissance period and is regarded as achieved.
    These plays of various genres, this time to clean up the spills in this study 'antiutopizum' by presenting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its 1920-30's take a look at the context of the entire drama based, antiutopia and involve jeum by analyzing the individual drama 'anti-utopian drama, a new genre is intended to provide.
    At this time, the genre of anti-utopian in the sense that the subject of the following reasons. 1917 as the idea a 'Utopia' and the realization that, while in practice, this utopia, and the results achieved in the process of 'anti-utopia' at the same time, there is another phenomenon that gave birth ambivalence. As the term itself is already able to detect anti-utopian utopia born as an echo of the early 20th century Russian literature, received the most attention is one of the genre, especially the literary genre in the 1920s as an anti-utopian period is also born.
    Absolute and perfect happiness of man to pursue a complete negation of the past life of utopia is a society built on a way, because the former can not pursue happiness by judging these radical and fundamental change and transformation utopian social construction of ten thousand and two is seen as a starting point.
    Thus, the previous way of life, war and revolution to overthrow the time, the construction of a utopian society, acts as the essential drivers, these wars and revolutions in the early 20th century Russian society ruled by the birth of a utopian society, need to be able to see was a sufficient foundation has will Therefore, at this time appeared in the drama of the elements of anti-oil toffee jeum that will be a very interesting job.
    This research study will be conducted in two phases. 1920-30 Russia's Tour stage drama presented in order to study the anti-oil jeum toffee toffee jeum the meaning of the anti-U was to investigate the controversy surrounding him over the course of the formation and the precise definition of the term should be established as a priority. Based on these concepts and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and specific anti-utopian work will study the elements. Finally, these concepts apply to specific work elements, anti-oil analyzes toffee time complexity in the drama is being expressed in some way unique feature drama and closely examine what is meant by the anti-U Tours Topeka drama this time because time complexity how much can be applied broadly to a final conclusion will be draw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1920-30년대 러시아 드라마투르기에 나타난 안티유토피즘의 문제를 고찰함으로써 소비에트 드라마에 대한 새로운 해석, 폭넓은 접근 방법과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기 위한 시도이다.
    러시아 역사에서 1920-30년대는 사회주의 혁명, 세계대전과 내전, 신경제정책, 스탈린 독재 등으로 대단히 복잡하게 얽혀진 전대미문의 시간대이자, 러시아 극문학과 연극사에서 가장 흥미로운 시기로 평가된다.
    새로운 사회건설과 정착을 위해 가장 강력한 선전선동 수단으로 연극을 채택한 혁명정부의 전폭적이며 계획적인 관리와 지원 하에 이 시기의 드라마와 연극은 문학과 예술에서 주도적인 장르로 자리매김함과 동시에 복잡하게 얽혀진 시대상황을 그대로 반영하듯 모든 가능한 장르적 실험과 다양한 형식을 발현하여, 이른바 ‘러시아 드라마와 연극의 르네상스’를 이룩한 시기로 평가된다. 따라서 한 두 경향으로 쉽사리 정리되지 않는 이 시기 드라마투르기의 폭넓은 스펙트럼과 독특한 아우라는 러시아 극문학 연구자들에 끊임없는 연구의 원천을 제공하고 있다.
    오늘날까지 수많은 연구자들은 이 시기의 방대한 드라마 유산에 대한 작업을 끊임없이 지속하고 있다. 1920-30년대 드라마 연구에서 가장 본질적이며 핵심적인 작업은 장르의 유형화에 있다. 그것은 근본적으로는 당시의 드라마 창작이 당의 지침에 따라 그 경향성이 규정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시기의 드라마 유산이 우리에게 다양성을 제공하는 것은 신경제 정책 시기의 유화국면과 맞물려 당의 지침에 이탈하는 다양한 경향의 드라마들도 풍부히 존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이 시기 드라마투르기의 연구는 이러한 장르 구분에 의존하여 장르내의 특성과 진화, 장르간의 대화와 대립을 기본 축으로 삼아 개별 작가, 작품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1920-30년대 드라마 연구 중 좌, 우파 경향의 장르간 대립과 대화에 대한 연구는 단순한 드라마 연구 영역을 넘어서서 사회문화 현상 전반을 재단하는 하나의 중요한 척도로써 그 성과를 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르 구분에 기반을 두는 연구는 몇 가지 한계와 오류를 드러내고 있다. 우선 이러한 분류법들은 주로 페레스트로이카 이전의 소련 연극학자들에 의해 규정된바 일정부분 관변적인 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당시 여러 가지 이유로-주로 당의 지침에 반대되는-출판되지 못하거나, 검열에 의해 심하게 수정된 수많은 희곡들을 간과하고 있어 균형 잡힌 드라마 연구에 적잖은 한계성을 내포하고 있다. 비단 이것은 드라마 장르에만 국한된 문제는 아니지만 1920-30년대 러시아 드라마투르기에 대한 연구는 보다 폭넓은 자료와 다양한 관점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각으로 재정립해야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현대적인 관점에서 1920-30년대 러시아 드라마투르기를 새롭게 조명할 수 있는 하나의 코드로서 ‘안티유토피즘’을 제시하여 그 경향과 특징을 1920-30년대 전체 드라마투르기의 맥락에서 살펴보고, 안티유토피즘을 내포하고 있는 개별 드라마들을 분석하여 ‘안티유토피아 드라마’라는 새로운 장르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단계로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1920-30년대 러시아 드라마투르기에 나타난 안티유토피즘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안티유토피즘의 의미를 고찰하고 그를 둘러싼 논쟁들과 형성과정을 통해 용어의 정확한 개념을 우선적으로 정립해야한다. 그리고 이 개념들을 토대로 안티유토피아 작품들의 고유한 특징과 구체적인 요소들을 연구할 것이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개념과 요소들을 구체적인 작품에 적용, 분석하여 드라마에서 안티유토피즘이 어떤 식으로 발현되고 있으며 드라마만의 고유한 특징과 의미는 무엇인지를 면밀히 검토하여 안티유토피즘이 이 시기 드라마투르기에 얼마큼 폭넓게 적용될 수 있는가 하는 최종적인 결론을 도출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기대효과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무엇보다 우선 ‘안티유토피아 드라마’라는 매우 실재적인 드라마 장르를 정립함으로써 1920-30년대 드라마투르기를 보다 폭넓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또한 좌, 우대결의 구도로 보아온 1920-30년대 소비에트 드라마투르기에 대한 보다 유연한 해석의 여지를 줄 수 있다. 특히, 마야코프스키, 트레치야코프등 이른바 좌파극작가들로 분류된 이들이 바라본 소비에트 안티유토피즘과 룬츠, 불가코프 등 우파극작가들의 안티유토피즘의 공통분모를 찾아낸다면 복잡한 시대상황 속에서 예술가들이 당시 소비에트 사회를 어떤 식으로 재단하고 있었는가를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할 수 있을것이다.
    둘째, 기존의 산문 장르의 안티유토피즘과 공통성과 차별성을 통해 소비에트 안티유토피아 장르에 대한 보다 폭넓은 시각과 해석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유토피아, 안티유토피아에 대한 개념정립과 그 요소들을 밝힘으로써 유토피아와 안티유토피아 장르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셋째, 각각의 개별적인 작가들의 작품들을 안티유토피즘이라는 프리즘으로 바라봄으로써 일면적으로만 해석되어온 여러 작가들에 대한 보다 유연한 해석을 할 수 있게 할것이다. 또한 소비에트 시절 문학적 재능에 비해 잘 알려지지 않았던 룬츠와 트레치야코프의 드라마적 유산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2. 활용방안
    본 연구 수행의 결과물은 우선적으로 1920-30년대 소비에트 드라마투르기야 전반에 대한 연구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다양한 작가들, 그리고 그 작가들이 보여준 다양한 경향성과 연극관에 대한 정립으로 한 두 작가에 머물던 국내 드라마 연구에서 벗어나 보다 폭넓게 1920-30년대 드라마 흐름을 바라볼 수 있는 연구 자료가 될 것이다. 아울러 안티유토피아 장르 자체에 대한 개념 확립, 요소분석, 발전과정등에 대한 고찰은 안티유토피아 장르 연구에 대한 참고자료로 사용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업자료도 충분히 그 기능을 감당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색인어
  • 안티유토피아, 안티유토피아 드라마, 유토피아, 러시아 드라마, 러시아 드라마투르기, 1920-1930년대 소비에트 드라마, 불가코프, 쟈마틴, 마야코프스키, 룬츠, 올레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