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Smart Mobile Office) 도입이 호스피탈리티 기업의 지식경영(Knowledge Management)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27-B00888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5월 01일 ~ 2012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이형룡
연구수행기관 세종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현재 도입확산 단계라 할 수 있는 국내 스마트 IT 전략의 대표 유형인 ‘모바일 오피스’의 현황과 그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실행하고자 한다. 또한 지식경영 과정에 있어 스마트 IT의 지식경영 활용 도구로써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며, 그 세부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스피탈리티 기업의 지식경영에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도입 및 활용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수단-목적 사슬 이론(Means-end chain Theory)을 기반으로 그 방법론적 도구인 래더링(Laddering) 기법을 활용하여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수용에 있어 사용자가 추구하는 내재적 가치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둘째, 호스피탈리티 기업의 지식경영의 도구로써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태도 및 사용의도와 실제 활용성과에 대한 결과를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위의 두 가지 연구 목적을 수행하는 데 있어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도입에 대한 의사결정자 그룹과 업무 현장에서 적용하는 주 사용자 그룹에 대해 두 그룹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그룹간의 스마트 갭(Gap)을 도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기존의 기업 정보 시스템과 차별적으로 새롭게 도입확산되고 있는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의 지식경영시스템의 툴로써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호스피탈리티 기업은 지식경영에 있어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의 중요한 역할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식경영에 있어 조직내 학습, 지식의 공유 및 전달 과정에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인식하고 지적 자본의 효율적 관리를 통한 업무 성과를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구체적인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문적 기여도
    기존의 다수 정보시스템 수용관련 연구들과는 차별적으로 기술 수용 행동을 구성하는 각 단계별 요소들이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의사 결정권 집단과 주 사용자 집단에 따라 수용행동을 지배하는 주된 가치가 무엇인가를 파악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와는 다른 측면에서 사용자의 수용행동을 새로운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지식경영에 관한 주요 연구 흐름 중 하나인 지식관리 시스템 중심적 측면으로 접근함으로써 정보 시스템 품질이 지식경영에 있어 매커니즘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 본다.

    2) 사회적 기여도
    2011년 인터넷 10대 이슈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분야는 ‘스마트폰/스마트 패드’와 ‘스마트 워크’이다. 많은 기업들의 관심이 스마트폰과 스마트 패드를 활용한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 구현에 쏠려 있다. 장소와 시간의 제약없이 언제 어디서든 회사의 업무를 처리가 가능함으로써 기업 업무의 생산성 향상과 기업 정보의 경쟁력 강화를 제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아직 도입단계인 항공사, 호텔, 여행사 등 호스피탈리티 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의 도입 및 활용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아직 도입을 고려하고 있거나 현재 도입 중인 기업들에게 기술 수용에 대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또한 세부적으로 도입에 관한 의사 결정을 담당하는 집단과 실제 사용자 집단에 대한 개별 연구결과를 통해 기술 수용에 있어 각 집단이 추구하는 최종 가치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2011년 새로운 키워드로 이슈화 되고 있는 스마트 워크의 대표적 유형인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SMO)의 도입이 호스피탈리티 기업의 지식경영에 효율적 도구로써의 역할과 이어 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를 실행하고자 하고자 하며,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직까지 호스피탈리티 기업의 지식경영의 효율적 도구로써 새로운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을 다룬 연구는 전무(全無)하며, 본 연구를 계기로 호스피탈리티 분야의 SMO 관련 새로운 연구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학술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기존 기술 정보 시스템은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수용 요인을 도출한 연구가 대부분이나, 본 연구는 기술 수용 요인에 있어, TAM이외에 래더링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기술 도입 의사 결정권자와 실제 사용자간의 수용에 대한 심층적 동기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기존의 연구들이 TAM을 토대로 사용자의 행위 동기를 규명하는 차원에 그쳤다면, 본 연구는 이와는 차별적으로 래더링 기법을 통해 기술 수용에 대한 내재 가치를 도출해 내고자 함이다.

    셋째,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SMO기술 수용에 있어 기업의 의사 결정권자와 실제 사용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수용 요인 및 사용 행동에 대한 갭(Gap)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2단계로 나누어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1)1단계: 수단-목적 사슬 이론: Laddering 기법 활용
    1. 수단-목적 사슬 이론에 따른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에 대한 기업의 의사결정권 역할 집단의 가치맵(HVM)은 어떠한가?
    2. 수단-목적 사슬 이론에 따른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에 대한 기업의 주 사용자 집단의 가치맵(HVM)은 어떠한가?

    2) 2단계: 기술수용모형(TAM) 이론
    1. 지식경영의 활용 도구로써 기업의 의사 결정권 역할 집단이 지각하는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의 역할은 무엇인가?
    2. 지식경영의 활용 도구로써 기업의 주 사용자 집단이 지각하는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의 역할은 무엇인가?
    3. 지식경영의 활용 도구로써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에 대한 두 집단의 스마트 갭(Gap)은 무엇인가?

  • 한글키워드
  • 업무성과,스마트워크,기술수용모형(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지식경영,스마트 모바일 오피스,래더링
  • 영문키워드
  • Smart Mobile Office(SMO),Knowledge Management,Performace,Smartwork,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Laddering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호스피탈리티 기업 경영의 화두는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Smart Mobile Office: SMO)의 구현이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히 SMO의 도구인 스마트 기기는 기존의 지식경영정보시스템 도구와는 달리 개인적인 변인들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SMO라는 새로운 KMIS의 성공적인 실행 및 확산을 위해 이를 수용하는 기업 구성원들의 수용행동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첫번째 단계로 먼저 SMO 수용에 대한 사용자의 수용행동을 개인의 가치구조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수단-목적 사슬 이론을 토대로 방법론적 도구인 하드 래더링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국내 호스피탈리티 기업의 사용자 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SMO 수용에 대한 사용자의 가치 구조는 업무 환경 특성에 따라 달리 나타날 것이라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의사결정권자 그룹과 주 사용자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SMO의 수용행동에 대한 가치맵(HVM)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의사 결정권자 그룹이 SMO 사용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은 ‘시스템의 정보 보완성’, ‘정보의 등록 · 검색 · 공유 · 전달 과정이 편리성’, ‘정보 검색 및 활용시 시스템 접속의 원활함’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어 고려된 속성을 통해 기대하는 결과 수준에서는 ‘업무관련 시간처리가 효율적임’, ‘업무에 필요한 자료를 검색 및 다운로드 할 때 시 · 공간적 제약이 없음’, ‘업무에 필요한 기기를 한가지로 휴대할 수 있음’, ‘업무관련 조직 내 정보의 공유 · 교육 · 전달이 용이함’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최종적으로 가치 수준에서는 ‘유능함’, ‘합리적 생활’ ’편안한 삶‘의 순으로 나타나, 조직 내 의사 결정권자 그룹은 SMO의 사용을 통해 궁극적으로 자신 또는 타 직원의 ‘유능함’ 이라는 가치를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주 사용자 그룹의 SMO 사용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은 ‘시스템 접속의 원활함’, ‘정보의 등록 · 검색 · 공유 · 전달 과정이 편리성’, ‘기존 사내 시스템과의 통합 또는 호환이 용이함’ 등의 순으로 나타나 의사 결정권자 그룹이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과의 차이가 밝혀졌다. 이어 고려된 속성을 통해 기대하는 결과 수준에서는 ‘업무에 필요한 자료를 검색 및 다운로드 할 때 시 · 공간적 제약이 없음’, ‘업무관련 시간처리가 효율적임’, , ‘업무에 필요한 기기를 한가지로 휴대할 수 있음’, ‘업무관련 물품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아 경제적임’, ‘업무관련 자료를 안심하고 등록, 검색, 공유, 전달함’ 등의 순으로 나타나, 의사 결정권자 그룹과는 달리 업무 관련 물품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아 경제적이라는 점과 KMIS의 보안성 및 시스템 안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최종적으로 가치 수준에서는 ‘유능함’, 편안한 삶‘, ‘합리적인 생활’ 의 순으로 나타나, 의사결정권자 그룹과 마찬가지로 주 사용자 그룹 또한 SMO의 사용을 통해 궁극적으로 자신 또는 타 직원의 ‘유능함’ 이라는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연구수행 2단계로 SMO의 주요 수용 요인 및 업무 성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TAM 이론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MO 수용 요인 중 지각된 유용성은 지식경영 요인인 조직학습 요인을 제외하고, 지식공유, 지식창출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MO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용이성은 조직학습, 지식공유, 지식창출 요인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번째로 지식경영의 도구로써 SMO는 조직 학습, 지식공유, 지식창출 측면에서 업무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업무환경에 특성에 따른 사용자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직급에 따라 의사 결정권자 그룹과 주 사용자 그룹으로 나누어 두 그룹의 차이를 분석해본 결과, SMO 수용 요인에 대해서는 의사 결정권자 그룹이 주 사용자 그룹보다 SMO의 유용성과 용이성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지식경영의 도구로서 SMO를 통한 조직학습, 지식공유, 지식창출에 대해서도 의사 결정권자 그룹이 주 사용자 그룹보다 다소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MO에 대한 성과 측면에서도 의사 결정권자 그룹이 주 사용자 그룹보다 업무성과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호스피탈리티 기업은 지식경영에 있어 SMO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인식하고, 이를 활용한 지적 자본의 효율적 관리를 통한 업무성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Smart Mobile Office recently becomes the conversation topic in the hospitality industry as an efficient tools for KMIS(Knowledg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lso the top management is concerned how they deploy this new resources usefully. This new technology is based on smart phones and tablet PCs, which are individualized and customized depending on work environment.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plores the user’s adoption behavior to the Smart Mobile Office and suggests an empirical study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and the spread of this new technology.
    The first stag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depth motivation of the SMO users in a means-end framework, which helps understanding the linkage of A(Attributes)-C(Consequences)-V(Values). An exploratory empirical study using a hard laddering approach provides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user’s adoption behavior to the SMO. Data was collected from 60 employees who are working in hospitality areas and using SMO for their work. The key idea from the HVM, interestingly, it was very clear that SMO users who selected 'SMO’s connectivity’, wanted the consequence of 'No constraints for searching and downloading data’ that they associated with a value for 'Capable’.
    The second stag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perception of SMO and their attitudes toward it. Data were collected from 357 employees who are using SMO systems and working at hospitality areas such as hotels and food service company.
    Resulted showe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generally made significant effects o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which subdivided into knowledge sharing, know creation and in-company training with the ex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in-company training’. And all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made significant effects on management performance. Interestingly, depending on work environment the decision-makers group perceived more than the lower level employee about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SMO.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최근 호스피탈리티 기업 경영의 화두는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Smart Mobile Office: SMO)의 구현이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히 SMO의 도구인 스마트 기기는 기존의 지식경영정보시스템 도구와는 달리 개인적인 변인들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SMO라는 새로운 KMIS의 성공적인 실행 및 확산을 위해 이를 수용하는 기업 구성원들의 수용행동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첫번째 단계로 먼저 SMO 수용에 대한 사용자의 수용행동을 개인의 가치구조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수단-목적 사슬 이론을 토대로 방법론적 도구인 하드 래더링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국내 호스피탈리티 기업의 사용자 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SMO 수용에 대한 사용자의 가치 구조는 업무 환경 특성에 따라 달리 나타날 것이라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의사결정권자 그룹과 주 사용자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SMO의 수용행동에 대한 가치맵(HVM)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의사 결정권자 그룹이 SMO 사용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은 ‘시스템의 정보 보완성’, ‘정보의 등록 · 검색 · 공유 · 전달 과정이 편리성’, ‘정보 검색 및 활용시 시스템 접속의 원활함’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어 고려된 속성을 통해 기대하는 결과 수준에서는 ‘업무관련 시간처리가 효율적임’, ‘업무에 필요한 자료를 검색 및 다운로드 할 때 시 · 공간적 제약이 없음’, ‘업무에 필요한 기기를 한가지로 휴대할 수 있음’, ‘업무관련 조직 내 정보의 공유 · 교육 · 전달이 용이함’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최종적으로 가치 수준에서는 ‘유능함’, ‘합리적 생활’ ’편안한 삶‘의 순으로 나타나, 조직 내 의사 결정권자 그룹은 SMO의 사용을 통해 궁극적으로 자신 또는 타 직원의 ‘유능함’ 이라는 가치를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주 사용자 그룹의 SMO 사용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은 ‘시스템 접속의 원활함’, ‘정보의 등록 · 검색 · 공유 · 전달 과정이 편리성’, ‘기존 사내 시스템과의 통합 또는 호환이 용이함’ 등의 순으로 나타나 의사 결정권자 그룹이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과의 차이가 밝혀졌다. 이어 고려된 속성을 통해 기대하는 결과 수준에서는 ‘업무에 필요한 자료를 검색 및 다운로드 할 때 시 · 공간적 제약이 없음’, ‘업무관련 시간처리가 효율적임’, , ‘업무에 필요한 기기를 한가지로 휴대할 수 있음’, ‘업무관련 물품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아 경제적임’, ‘업무관련 자료를 안심하고 등록, 검색, 공유, 전달함’ 등의 순으로 나타나, 의사 결정권자 그룹과는 달리 업무 관련 물품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아 경제적이라는 점과 KMIS의 보안성 및 시스템 안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최종적으로 가치 수준에서는 ‘유능함’, 편안한 삶‘, ‘합리적인 생활’ 의 순으로 나타나, 의사결정권자 그룹과 마찬가지로 주 사용자 그룹 또한 SMO의 사용을 통해 궁극적으로 자신 또는 타 직원의 ‘유능함’ 이라는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연구수행 2단계로 SMO의 주요 수용 요인 및 업무 성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TAM 이론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MO 수용 요인 중 지각된 유용성은 지식경영 요인인 조직학습 요인을 제외하고, 지식공유, 지식창출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MO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용이성은 조직학습, 지식공유, 지식창출 요인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번째로 지식경영의 도구로써 SMO는 조직 학습, 지식공유, 지식창출 측면에서 업무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업무환경에 특성에 따른 사용자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직급에 따라 의사 결정권자 그룹과 주 사용자 그룹으로 나누어 두 그룹의 차이를 분석해본 결과, SMO 수용 요인에 대해서는 의사 결정권자 그룹이 주 사용자 그룹보다 SMO의 유용성과 용이성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지식경영의 도구로서 SMO를 통한 조직학습, 지식공유, 지식창출에 대해서도 의사 결정권자 그룹이 주 사용자 그룹보다 다소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MO에 대한 성과 측면에서도 의사 결정권자 그룹이 주 사용자 그룹보다 업무성과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호스피탈리티 기업은 지식경영에 있어 SMO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인식하고, 이를 활용한 지적 자본의 효율적 관리를 통한 업무성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각 단계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 제 1단계로 래더링(Laddering) 기법을 통해 사용자 집단을 업무 환경의 특성에 따라 의사 결정권자 그룹과 주 사용자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첫번째 속성(A) 단계에서 의사 결정권자 그룹의 경우, ‘시스템 정보의 보안성’을 비교적 중요하게 고려한 반면, 주 사용자 그룹은 ‘정보 검색 및 활용시 시스템 접속의 원활함’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었다. 이는 그룹별 SMO를 통해 다루는 업무의 특성에 기인한 결과로 추측되는데, 의사 결정권자 그룹의 경우 전자결재 시스템을 통해 조직 내 중요 사안 등을 결재처리하게 되고, 대외비적 성격의 자료를 다루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시스템의 보안성을 비교적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SMO에 대한 사용자들의 가치구조(A-C-V)는 ‘정보 검색 및 활용시 시스템 접속의 원활함(A)-업무에 필요한 자료를 검색 · 다운로드할 때 시 · 공간적 제약이 없음(C)-유능함(V)’의 연결 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는데, 이는 사용자들이 SMO 수용과 관련하여 업무관련 정보를 검색 및 활용할 때 시스템 접속이 원활해야 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속성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SMO를 활용하여 업무에 필요한 자료를 검색 · 다운로드 할 때 시간이나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대 결과를 통해 사용자들은 ‘유능함’이라는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가치구조 (A-C-V)의 결과는 그룹별로 구분하였을 때도 유사한 결과로 도출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가치구조(A-C-V)의 결과는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과 사용자와의 관계를 변수 간의 인과 관계로 살펴본 선행 연구의 결과에서 발견할 수 없었던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SMO라는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일련의 가치 구조를 밝혀낸 것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SMO라는 새로운 KMIS 도구에 대한 사용자의 수용 행동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기술수용모델에서 벗어나 새로운 기술수용에 대한 사용자의 행동을 개인의 가치와 연관하여 이해해보고자 한 시도로써 큰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호스피탈리티 분야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학문 분야의 추가적 연구와 현재 관련 시스템을 사용하거나 향후 관련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의 실무자들에게 각 업무 특성별 사용자의 행동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지침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 제 2단계로 TAM 이론을 토대로 새로운 KMIS 도구로써의 SMO의 수용요인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과 지식경영, 업무 성과에 대한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KMIS의 도구로써 SMO의 수용에 대한 사용자의 수용요인은 선행연구와 같이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의 두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각 요인은 지식경영의 3가지 요인인 조직학습, 지식공유, 지식창출에 대부분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러한 지식경영의 도구로서의 활용에 대한 성과측면에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특이할만한 것은 SMO 수용에 대한 성과 측정에 있어 의사 결정권자 그룹이 주 사용자 그룹보다 SMO의 도구로써의 활용성 측면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그룹 간의 차이는 본 연구의 연구 목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업의 지식경영시스템 활용에 있어 SMO에 대한 사용자의 기술 수용 행동은 업무 환경 특성에 따라 (예: 기업의 의사 결정권자 vs 주 사용자) 수용요인 및 사용행동에 대한 갭(Gap)이 나타날 것이라는 연구 가설이 지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지금까지의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호스피탈리티 기업은 지식경영에 있어 SMO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인식하고, 이를 활용한 지적 자본의 효율적 관리를 통해 업무 성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재 SMO를 활용하고 있는 항공사, 호텔, 여행사 등 호스피탈리티 기업들과 도입을 고려중인 다수의 기업들에게도 SMO 기술 수용에 대한 사용자의 수용 행동을 이해하는 데 있어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해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SMO의 수용에 대해 실제 사용자 집단과 의사 결정을 담당하는 집단과의 차이를 분석해냄으로써 각 집단이 추구하는 내재 가치에 대한 이해와 수용행동 및 사용행동에 대한 GAP을 밝혀내었다. 이는 새로운 기술 수용과 관련하여 발생되는 집단 간의 갈등 혹은 문제점을 효율적인 관리할 수 있는 방안 및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색인어
  •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 지식경영, 지식경영정보시스템, 수단-목적 사슬이론, 기술수용모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