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호스피탈리티 기업 경영의 화두는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Smart Mobile Office: SMO)의 구현이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히 SMO의 도구인 스마트 기기는 기존의 지식경영정보시스템 도구와는 달리 개인적인 변인들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 ...
최근 호스피탈리티 기업 경영의 화두는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Smart Mobile Office: SMO)의 구현이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히 SMO의 도구인 스마트 기기는 기존의 지식경영정보시스템 도구와는 달리 개인적인 변인들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SMO라는 새로운 KMIS의 성공적인 실행 및 확산을 위해 이를 수용하는 기업 구성원들의 수용행동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첫번째 단계로 먼저 SMO 수용에 대한 사용자의 수용행동을 개인의 가치구조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수단-목적 사슬 이론을 토대로 방법론적 도구인 하드 래더링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국내 호스피탈리티 기업의 사용자 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SMO 수용에 대한 사용자의 가치 구조는 업무 환경 특성에 따라 달리 나타날 것이라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의사결정권자 그룹과 주 사용자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SMO의 수용행동에 대한 가치맵(HVM)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의사 결정권자 그룹이 SMO 사용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은 ‘시스템의 정보 보완성’, ‘정보의 등록 · 검색 · 공유 · 전달 과정이 편리성’, ‘정보 검색 및 활용시 시스템 접속의 원활함’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어 고려된 속성을 통해 기대하는 결과 수준에서는 ‘업무관련 시간처리가 효율적임’, ‘업무에 필요한 자료를 검색 및 다운로드 할 때 시 · 공간적 제약이 없음’, ‘업무에 필요한 기기를 한가지로 휴대할 수 있음’, ‘업무관련 조직 내 정보의 공유 · 교육 · 전달이 용이함’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최종적으로 가치 수준에서는 ‘유능함’, ‘합리적 생활’ ’편안한 삶‘의 순으로 나타나, 조직 내 의사 결정권자 그룹은 SMO의 사용을 통해 궁극적으로 자신 또는 타 직원의 ‘유능함’ 이라는 가치를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주 사용자 그룹의 SMO 사용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은 ‘시스템 접속의 원활함’, ‘정보의 등록 · 검색 · 공유 · 전달 과정이 편리성’, ‘기존 사내 시스템과의 통합 또는 호환이 용이함’ 등의 순으로 나타나 의사 결정권자 그룹이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과의 차이가 밝혀졌다. 이어 고려된 속성을 통해 기대하는 결과 수준에서는 ‘업무에 필요한 자료를 검색 및 다운로드 할 때 시 · 공간적 제약이 없음’, ‘업무관련 시간처리가 효율적임’, , ‘업무에 필요한 기기를 한가지로 휴대할 수 있음’, ‘업무관련 물품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아 경제적임’, ‘업무관련 자료를 안심하고 등록, 검색, 공유, 전달함’ 등의 순으로 나타나, 의사 결정권자 그룹과는 달리 업무 관련 물품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아 경제적이라는 점과 KMIS의 보안성 및 시스템 안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최종적으로 가치 수준에서는 ‘유능함’, 편안한 삶‘, ‘합리적인 생활’ 의 순으로 나타나, 의사결정권자 그룹과 마찬가지로 주 사용자 그룹 또한 SMO의 사용을 통해 궁극적으로 자신 또는 타 직원의 ‘유능함’ 이라는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연구수행 2단계로 SMO의 주요 수용 요인 및 업무 성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TAM 이론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MO 수용 요인 중 지각된 유용성은 지식경영 요인인 조직학습 요인을 제외하고, 지식공유, 지식창출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MO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용이성은 조직학습, 지식공유, 지식창출 요인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번째로 지식경영의 도구로써 SMO는 조직 학습, 지식공유, 지식창출 측면에서 업무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업무환경에 특성에 따른 사용자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직급에 따라 의사 결정권자 그룹과 주 사용자 그룹으로 나누어 두 그룹의 차이를 분석해본 결과, SMO 수용 요인에 대해서는 의사 결정권자 그룹이 주 사용자 그룹보다 SMO의 유용성과 용이성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지식경영의 도구로서 SMO를 통한 조직학습, 지식공유, 지식창출에 대해서도 의사 결정권자 그룹이 주 사용자 그룹보다 다소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MO에 대한 성과 측면에서도 의사 결정권자 그룹이 주 사용자 그룹보다 업무성과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호스피탈리티 기업은 지식경영에 있어 SMO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인식하고, 이를 활용한 지적 자본의 효율적 관리를 통한 업무성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