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20진법과 현대 프랑스어 수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우수논문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25-A00589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5월 01일 ~ 2012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김경자
연구수행기관 부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 연구목표

    2004년 일본의 한 도지사는 “프랑스어는 수를 계산할 수 없는 언어, 즉 '91'이라는 수를 나타내는 용어가 없어 '4개의 20 더하기 11'과 같은 식으로 밖에 표현하지 못하는 언어이므로, 국제어로서의 자격이 없다”고 발언하여 문제가 된 적이 있었다. 사실, 10진법에 익숙한 한국, 중국, 일본과 같은 동양문화권의 사람이나 영어나 독일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이 프랑스어 10의 배수를 접할 때 70 soixante et dix, 80 quatre-vingts, 90 quatre-vingt-dix에서 당황해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심지어 프랑스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들조차도 이 표현을 까다롭게 여긴다.
    그러나 벨기에나 스위스를 비롯한 몇몇 프랑스어권 지역에서는 프랑스에서와는 달리 70 septante, 80 huitante, 90 nonante을 사용하고 있다. 물론 이들 프랑스어권 지역에서도 방송 등의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70 soixante et dix, 80 quatre-vingts, 90 quatre-vingt-dix 표현을 사용한다고 한다. 그러나 실생활에서의 기본 표현은 어디까지나 70 septante, 80 huitante, 90 nonante이며, 특히 벨기에인들끼리 실생활에서 프랑스식의 70 soixante et dix, 80 quatre- vingts, 90 quatre-vingt-dix을 사용하는 경우는 ‘프랑스인은 보다 쉬운 수 단어를 두고도 왜 복잡한 방식으로 표현하는 것일까?’하며 프랑스인을 조롱하고자 할 때라고 한다. 'Septante-dix'와 'De soixante-dix à septante'라는 벨기에의 노래제목에도 이런 의도가 담겨 있다.
    우리가 보기에도 70 septante, 80 huitante, 90 nonante이 읽거나 쓸 때 쉬워 보이며 전 세계적으로 10진법 système décimal에 익숙한 많은 이들도 70 septante, 80 huitante, 90 nonante에 더 공감할 것 같다. 예를 들어 수 293의 경우 deux cent quatre-vingt-treize보다는 deux cent nonante trois가 더 간편하게 여겨지지 않는가!
    70, 80, 90을 가리키는 프랑스식 표현은 읽고 쓰기에 있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들을 때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어떤 이가 vingt quatre vingt cinq라고 전화번호를 불러 주었다면 그 전화번호는 24 25인가? 아니면 20 85인가? 프랑스어 수 quatre와 vingt은 단순히 4와 20을 가리키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두 수가 함께 쓰여 24 vingt-quatre를 나타내거나 80 quatre-vingts을 나타내기도 하기 때문에 trait d'union이나 복수표지 s가 드러나지 않는 듣기에 있어서 상대방은 전화번호를 잘못 알아 들을 수도 있는 것이다.
    본고는 20진법 système vigésimal으로 만들어진 70 soixante et dix, 80 quatre-vingts, 90 quatre-vingt-dix의 사용이 프랑스어 수 표현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간주하고 프랑스어 수에 있어서 통일된 기수법 système de numération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 기대효과
  • 2. 기대효과

    현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우리가 기대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고는 프랑스어 수표현의 복잡함의 원인을 설명할 수 있는 지침서가 되고자 한다. 현재 프랑스어 문법서를 검토해 보면, 70과 90에 대해서는 물론이고 가장 직접적인 20진법식 표현인 quatre-vingts의 구성법에 대해서조차 설명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20진법식 표현에 대한 무조건적인 암기식 교육이 아니라 이에 대한 역사적인 배경, 시대에 따른 수 표현의 변화와 같은 다양한 내용을 수 학습에 이용한다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으리라고 본다. 향후 프랑스어 기수 표현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보다 명확한 수학적 논리가 가미된 설명이 덧붙여진 교재 출간에 밑거름이 되고자하는 바램이다.
    둘째, 교사는 프랑스어의 70, 80, 90의 수 표현을 가르치는 데 있어, 10진법식 표현과 20진법식 표현을 둘 다 알려주어야 한다. 프랑스어의 70, 80, 90의 10진법식 표현은 벨기에, 스위스에서만이 아니라 프랑스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프랑스 금융가에서는 막대한 금액을 표현하는 데 있어 실수가 없도록 10진법식 표현을 권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70, 80, 90에 대하여 이미 20진법식 표현으로 학습한 외국인 학습자가 벨기에나 스위스에서 사용되는 10진법의 70,80,90를 접했을 때 당황하는 일이 없도록 미리 주지시켜 주어야 함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70, 80, 90의 10진법식 표현이 사어langue morte가 아님은 자명한 사실이므로 교재에 소개된 20진법식 표현만을 고집해서는 안된다고 본다.
    셋째, 궁극적으로 프랑스어 수 표현체계가 통일되기를 바라는 뜻에서 10진법과 20진법이 섞여 있는 프랑스어 수 표현의 복잡한 수열체계를 강조하였다. 보다 쉬운 10진법으로 전부 통일시키는 방법과 20진법으로 통일시키는 방법, 그 외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수 체계를 일관성있게 다시 구성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물론 언어의 변화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프랑스 내에서도 이 수 표현에 대한 토론이 계속 이어져 오고 있다는 점, 그리고 벨기에와 스위스에서도 늘 사용하는 10진법체계에 덧붙여 공식적인 상황에서 20진법식 표현이 사용될 때 혼란스러움을 느껴 부자연스러움을 토로하는 것을 보면 프랑스 언어학자들의 단호한 결심이 필요하다고 본다. 모국어화자들조차도 까다롭게 여기는 언어적 표현이라면 다소 인위적인 수정작업과 재학습의 성가신 상황을 거치는 일이 있더라도 많은 사용자들이 감수하리라 본다. 더구나 20진법이 프랑스어의 전통적인 셈방식이 아니었다는 점과 10진법식 표현이 더 쉽게 그리고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은 10진법식 표현으로의 통일을 부추기는 좋은 이유가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3. 연구요약

    오늘날 프랑스어 수 표현에 20진법 체계로 구성되었음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수는 80의 quatre-vingts이다. 그러나 문헌을 찾아보면 quatre-vingts외에도 20진법 식 수표현을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1개의 20’으로 220을 뜻하는 Les Onze-vingts은 당시 220명으로 이루어진 경찰병력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Hopital des Quinze-vingts은 13세기에 루이 9세가 맹인환자 300명을 수용하기 위해 지은 시설로서, 지금도 파리에 남아 있다. ‘맹인’을 뜻하는 un quinze-vingt과 ‘자다’를 뜻하는 entrer au quinze-vingts도 여기서 유래되었다. 19세기에 출판된 Victor Hugo(1802-1885)의 역사소설의 서명 「93년 Quatre-Vingt-Treize」에서도 20진법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여러 학자들이 20진법의 사용시기를 추정해 본 결과 11세기에 갑자기 북부 프랑스에 등장하여 이후 남쪽으로 퍼져나가 17세기에 서서히 그 사용이 줄어들게 되었다. 20진법의 쇠퇴의 원인을 추정해 볼 때, 20진법이 프랑스어에서 절대적인 기수법체계가 아니라는 것이 가장 강력한 증거로 거론된다. 그 근거로 프랑스어 수표현에서 20진법 등급에서 두 번째 계수 수준인 20'20=202 바로 직전(19'20)에서 끝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덧붙여 프랑스인에게 셈을 하는 데 있어 확실한 단위인 10이라는 개념이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는 점, 특정 시기, 특정 필요에 의해 외부에서 들어왔다는 점 등도 이를 뒷받침해 준다.
    그렇다면 다른 모든 20진법식 표현이 쇠퇴하는 상황에서 70 soixante et dix, 80 quatre-vingts, 90 quatre-vingt-dix만은 오늘날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17세기 Vaugela(1647)를 비롯한 아카데미의 몇몇 사전저자들 때문이다. 이들은 70, 80, 90에 있어서만큼은 10진법식 표현을 저버리고 20진법식 표현을 선택하였다. 그리하여 오늘날 현대프랑스어 수 표현은 10진법과 20진법이 혼합되어 있는 혼합수열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수학적인 지식에서 기수법체계에 사용되는 기수는 모두 다른 형태이어야 한다. 기수법체계가 10진법인 경우 기수는 zero, un deux, trois, quatre, cinq, six, sept, huit, neuf 이와 같은 10개의 단위unité가 사용되며, 20진법인 경우 zero, un deux, trois, quatre, cinq, six, sept, huit, neuf, dix, onze, douze, treize, quatorze, quinze, seize, 그리고 17, 18, 19에 해당하는 고유한 수 표현이 기수로 사용된다. 1부터 16까지의 수 표현을 보면 zero, un deux, trois, quatre, cinq, six, sept, huit, neuf, dix, onze, douze, treize, quatorze, quinze, seize로 각기 다른 형태이므로 20진법의 기수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러나 17부터 다시 dix-sept, 18 dix-huit, 19 dix-neuf 와 같이 17, 18, 19의 고유단어가 아닌 10보다 적은 기수들 즉 sept, huit, neuf가 사용된 것으로 보아 이는 10진법식 표현법이다. 또한 상위의 십단위수를 살펴보면 20 vingt , 30 trente, 40 quarante, 50 cinquante, 60 soixante까지는 10진법이다. 그러나 70 soixante-dix, 80 quatre-vingts, 90 quatre-vingt-dix은 20진법이다. 먼저 70의 soixante-dix에서 dix가 수를 만드는 용어로 사용된 것으로 보아 이는 10진법이 아닌 20진법식 구성이다. 10진법에 기수 dix은 사용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80의 quatre-vingts이 20진법식 구성임은 어떻게 알 수 있는 것일까? 프랑스어 수 표현에 이용된 vingt은 20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20단위 vingtaine를 가리키는 용어라고 한다. 그러므로 20이라는 집단이 네 개가 있음을 가리키고 아울러 다른 경우 기수nombre cardinal가 복수처리를 하지 않는 데 반해 quatre-vingts에서 vingt뒤에 복수로 처리한다. cent도 마찬가지이다. 수 표현에 사용된 cent은 100이라는 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100단위centaine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프랑스어 수표현은 비체계적으로 10진법과 20진법 체계를 계속 번갈아가며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복잡함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수 전체를 10진법으로 통일시키거나 20진법으로 통일시키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보다 더 쉬운 수 단어체계로 그 형태를 바꾸자고 하는 이러한 과감한 제안은 프랑스 사회 내부에서도 몇몇 학자(Condorcet)에 의해 일어났었고 여전히 일어나고 있는 움직임이다. 다소 위험해 보이기도 하고 실험정신도 필요로 하지만, 보다 쉬운 이해와 사용을 위해 기수법이 통일된 수 단어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재고하고 연구해 볼 가치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 한글키워드
  • 4. 한글 키워드 : 수,10진법,80,70,90,기수,20진법
  • 영문키워드
  • 5. 영문 키워드 : number,base,system visesimal, 70 septante,80 quatre-vingts,90 nonante 70 soixante et dix,80 huitante,90 quatre-vingt-dix,system decimal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